Effects of Self Study Circle Activity o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Learning Attitude in Nursing Students

간호대학생의 자율적인 학습동아리 활동이 자기주도 학습능력과 학습태도에 미치는 효과

Article information

J Korean Acad Soc Nurs Educ. 2014;20(4):659-666
Cha Nam Hyun1)
Kim Yun Kyung2)
Kim, Yun Kyung Department of Nursing, Suseong College (Manchondog)528 dalgubeol-daero 15-gil, Suseong-gu Daegu 706-711, Korea Tel: 82-53-749-7241 Fax: 82-53-749-7240 E-mail: kyk4689@hanmail.net
Received 2014 September 17; Revised 2014 November 10; Accepted 2014 November 11.

Abstract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s of self-study circle activity o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learning attitude in nursing students. Methods: This research design is modeled on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conducted on 36 nursing students (exp.: 21, con.: 15). Data collection was performed from March 2 to July 20, 2013. Data were analyzed using χ2-tests and t-tests via the SPSS Win 12.0 program package. The variables wer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learning attitude. Results: The experimental group reveal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p<.05) and physiology grade (p<.01) relative to the control group. In contrast,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learning attitude were manifest between the two groups. Conclusion: It confirmed that study circle activity is effective in increasing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in nursing students.

서 론

연구의 필요성

일반적으로 우리는 대학교 교육의 목적이 학문탐구와 지식연마에 있다고 인식하고 있으며, 대학교육을 받은 사람은 학문적으로 연구할 수 있는 기본 바탕이 형성되어 있다고 믿기에 대학교육을 받은 사람을 엘리트라 칭한다. 즉, 대학은 다양한 전공교육을 통해 전문 인력을 양성함으로 국가와 사회에 기여하고 인류에 봉사하는 인재를 양성한다는 이념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대학생들이 대학진학을 하는 목적 1순위는 유망한 직업을 갖기 위해서가 51.0%로 가장 많았으며, 전문적 지식을 습득하기 위해서 라는 응답은 28.2%에 머무르고 있다(Jeju National University, 2009). 또한, 하루가 다르게 변화하는 산업화, 과학화의 발달은 대학교에서 취업 맞춤형 교육을 학생들에게 시행하도록 요구받고 있고 이는 교육과정의 변화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따라서, 전통적인 학교 교육만으로는 사회의 발전과 나란히 할 수 있는 인재를 기르기에는 한계가 있으므로 이런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교수모형이 꾸준히 요구받고 있다. 이러한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 학교 교육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교육적 패러다임을 가르치는 교수자 중심에서 배우는 학습자 중심으로 전환하자는 구성주의(constructivism)가 1980년대 중반부터 대두되기 시작하여(Kang, 1997) 인지적 도제교육, 상황학습 등이 제시(Brown, Collins & Duguid, 1989) 되었고, 정보통신의 급격한 성장 추세에 따라 인터넷과 디지털 기술을 이용하여 교육경험을 제공하는 e-러닝 학습이 대학마다 좋은 학습방법으로 권고, 실행되고 있다. 이들의 공통점은 개방성, 융통성, 분산성을 가진 학습 환경을 제공하며 잘 설계된 학습자 중심의 양방향 학습을 가능하게 하는 학습방법으로 학습자들은 누구나 언제 어디서나 학습공동체를 형성하고 토론을 할 수 있으므로 학습권이 어느 특정계층에 부여되지 않고 누구나 누릴 수 있다는 것이다.

이처럼, 대학교 교육이 현실의 변화에 발맞추어 새로운 교수방법을 적용하고 있으며, 대학생의 93.4%가 집에서 인터넷을 이용하고 있고 컴퓨터 활용능력 수준 97.1% 활용능력을 갖추고 있는데도 불구하고(Woo, Kim, & Lee, 2009), 대부분의 대학교육은 아직도 교수자 중심의 전통적인 면대면 수업을 통해 학업성취도를 달성하고 있다.

교수자 중심의 전통적인 면대면 수업은 짧은 시간에 많은 양의 지식을 학생들에게 넣어줄 수 있어 학생 입장에서는 시간을 절약할 수 있고 집중적인 지식을 획득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지만, 학습자는 학습에 대해 주도권을 가지고 스스로 주체가 되어 학습활동을 능동적으로 수행하는 학습법을 배우지 못함으로 지식기반 사회에서 대학의 교육이념인 고등교육의 질적 향상 및 사회 구성원으로서 현장 적용능력 및 일반화 능력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는 단점을 가진다.

따라서, 교수자 중심의 면대면 학습의 장점을 살리고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학생들이 학습의 주도권을 가지고 스스로 주체가 되어 학습활동을 능동적으로 수행하고 학습자가 자기주도적으로 지식을 구성할 수 있는 자기주도적 학습(self-directed learning)이 요구되고 있고 대학교육에서 학생들의 주도성 강화가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다(Kim, 2009). 자기주도 학습능력이란 개별 학습자가 교수자와 상관없이 학습자 스스로 학습에 있어서 주도권을 가지고 자신의 학습요구를 진단하고 학습목표를 설정하며 학습에 필요한 자원을 확보하고 적합한 학습전략을 선택, 실행하여 성취한 학습결과를 스스로 평가하는 과정이며 활동이다(Knowles, 1975).

학습동아리 활동은 대학의 교과 외 활동 중 하나이며, 스스로 배우고 각자 자신의 생각과 경험을 공유함으로써 서로 가르치며 배움으로써 자발성과 창의성을 발휘하여 개인의 학습욕구 실현과 성장을 촉진시키는 주요한 요인이 될 수 있다. Hong (2001)의 연구에서 학습자의 학습동아리를 통한 다양한 경험이 학습자의 자기주도 학습능력 준비도를 높여주고 있다고 제시하였으며, 학습동아리활동 참여는 사회적 관심이 높아지고 자아실현의 기회가 되었다고 분석하였다.

현재까지 수행된 학습동아리 활동에 대해 대학생활 만족 및 현황분석적 연구는(Kim, 2009; Jung, 2013; Cho, 2007) 있지만 학습동아리 활동의 효과를 검증한 연구는 많지 않고 특히,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학습동아리 활동의 효과를 연구한 것은 거의 없었다. 그러므로 간호대학생의 학습동아리 활동의 중요성을 입증하기 위한 효과검증 연구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자는 학생들이 자기주도적 학습을 경험하고 전공과목에 대해 흥미를 가지며 전공 만족도를 높이고자 기초간호과목인 생리학 학습동아리를 만들었다. 이유는 전공 동아리 활동을 하는 학생들이 77.9%(Kim, 2013)로 조사되고 있는 바, 대학생 대부분이 동아리활동을 선호하는 편이고 동료간의 공부에 대한 격려를 통해 학생들 자신의 학습주도권, 자율성, 책임감의 배양할 수 있는 토대가 될 수 있는 학습 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고 생각되었다. 따라서, 학생들은 생리학 과목 교수학습과 병행하여 학생 스스로 자율적인 학습동아리 활동을 함으로써 면대면 학습의 주입식 교육의 단점을 보완하고 학생 스스로 자율적인 학습계획에 따라 다른 학습자와 협동을 통해 지식을 구성해 나갈 수 있는 학습동아리 활동을 함으로 생리학이라는 낯선 과목에 대한 학습 이해력을 높이고 적극적인 참여를 통해 실제적인 교과목 성적 향상에도 도움이 되고자 하여 본 연구를 시행하게 되었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간호 대학생들의 자기주도학습 능력과 학습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함으로써 자율적인 동아리 활동의 학습효과에 대한 간호중재의 적용 가능성의 기초를 마련하고자 한다.

연구 목적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자율적인 학습동아리 활동이 자기주도 학습능력과 학습태도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기 위한 것으로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 간호대학생의 자율적인 학습동아리 활동이 자기주도 학습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한다.

  • • 간호대학생의 자율적인 학습동아리 활동이 학습태도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한다.

용어 정의

● 학습동아리 활동

자생적이고 자율적인 소그룹으로 지속적인 학습활동을 전제로 하는 모임을 말하며 본 연구에서는 학생들이 스스로 자기주도학습 능력을 올리고자 하는 목표를 가지고 주 1회 1시간에 걸쳐 생리학 과목을 공부하는 간호대학생 모임을 말한다.

● 자기주도 학습능력

자기주도 학습능력(self-directed learning ability)이란 개별 학습자가 타인의 조력여부와는 상관없이 학습자 스스로 학습에 있어서 주도권을 가지고 자신의 학습요구를 진단하고 학습목표를 설정하며 학습에 필요한 자원을 확보하고 적합한 학습전략을 선택, 실행하여 성취한 학습결과를 스스로 평가하는 과정과 활동으로 Knowles (1975)가 제시한 자기주도 학습을 의미한다.

연구의 제한점

• 본 연구는 S시에 위치한 일개 간호대학에서 학습동아리 활동을 하고 있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시행하였고 대상자 중 남학생의 수가 많지 않아서 본 연구 결과를 일반화하는데 제한점이 있다.

• 본 연구는 설문지 답변이 불충분한 대조군의 탈락률이 높아서 본 연구결과를 일반화하는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연구 방법

연구 설계

본 연구는 대학생의 자율적인 학습동아리 활동이 자기주도 학습능력, 학습태도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실험설계(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의 유사실험연구이다.

연구 대상

본 연구의 대상자는 S시에 소재한 1개의 대학의 간호학과에 재학중인 2학년을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자 수는 Cohen의 G-Power 3.1 program을 이용하여 유의수준(α)=.05, 효과크기인 .50, 검정력(1-β)은 .80으로 설정하고 산출한 결과 필요한 표본의 크기는 각 군에 17명이었다. 본 연구의 탈락을 고려하여 임의표집 방법에 의해 실험군과 대조군은 각 그룹당 22명이었으나 사전 조사와 사후 조사에서 수거된 설문지 중 실험군 1명과 대조군 7명이 답변이 불충분하여 탈락되었다. 따라서 최종대상자는 실험군 21명, 대조군 15명으로 최종 36명에 대한 자료를 분석하였다. 실험군과 대조군의 외생변수는 동질성 검정으로 통제하였다.

연구 도구

● 일반적 특성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조사하기 위해 연령, 성별, 종교, 경제상태, 학습동아리 활동 이전 학점, 전공에 대한 만족도에 대한 조사를 하였다.

● 자기주도 학습능력

Lee 등(2003)이 개발한 대학생용 자기주도 학습능력 척도 40문항 중 20번 문항(준비물이나 과제, 교재 등을 잊어버리고 학습 장소에 간적이 있다)을 삭제한 39문항을 사용하였다. 응답형태는 전혀 그렇지 않다 1점부터 매우 그렇다 5점까지 5점 평정척도로 최저 39점에서 최고 195점의 범위를 가지며, 자기주도 학습능력 점수가 높을수록 자기주도 학습능력이 높음을 의미한다. Lee 등(2003)의 연구에서 도구 신뢰도 값은 Cronbach's α=.69~.89로 나타났고 본 연구의 도구 신뢰도는 Cronbach's α= .885 로 나타났다.

● 학습태도

학습에 대한 학생의 습관, 신념, 동기를 포함하는 태도를 평가하기 위해 Korean Education Development Institute (1991)에서 개발한 학습태도 측정도구 40문항을 Hwang (2003)이 간호 대학생의 학습태도를 측정하기 위해 수정,보완한 도구 16문항을 사용하였다. 전혀 그렇지 않다 1점, 항상 그렇다 5점의 likert 식 5점 척도로 최저 16점에서 최고 80점의 범위를 가지며 점수가 높을수록 학습태도가 좋음을 의미한다. 본 도구의 역산문항은 2, 3, 11, 15번 문항이며 Hwang (2003)의 연구에서 도구 신뢰도는 Cronbach's α= .84이었고 본 연구에서의 도구 신뢰도는 Cronbach's α= .750 이었다.

연구 진행 절차

자료수집은 2013년 3월 2일부터 7월 20일까지 사전조사, 실험처치 그리고 사후조사의 순서로 진행하였다. 연구의 진행절차는 다음과 같다.

● 사전조사

사전조사는 학습 동아리 활동에의 참여 전에 본 연구의 목적과 참여과정 및 프로그램 운영 등에 대하여 모든 설명을 한 후 본 연구에 참여하기로 동의한 대상자들에게 사전 설문지를 배부하였고 연구참여 동의서에 서명을 하고 자기기입식으로 설문지를 작성하게 하였다. 연구 참여에 동의한 실험군과 대조군 모두에게 일반적인 특성, 자기주도 학습능력과 학습태도를 측정하였다.

● 실험처치

실험군과 대조군 모두는 생리학 과목을 수강하는 상황에서 실험군은 자율적인 학습동아리활동을 주 1회 1시간씩 13주간 총 13회 참여하였고 대조군은 교과목 수강만 하였다. 실험군에 해당하는 학생들은 학생 스스로의 학습계획에 의해 생리학 책의 system 별로 주제를 나누어 조별로 강의를 맡았고 강의를 맡은 그룹의 각 조원은 강의부분을 공부하여 각 조원당 3-5명의 다른 학생들에게 강의를 한 후 퀴즈를 통해 학생들의 참여도와 흥미도를 높여 학습효과를 확인하였다.

운영계획은 한주에 한 조씩 과제를 담당하였으며, 담당 조는 학습자료를 준비하여 팀원에게 제시하였다. 팀원은 제공된 자료를 일주일 동안 선행 학습하였고 담당 조는 팀원들에 의해 교수성과를 평가하였다. 평가방식은 쪽지시험, TV 퀴즈 프로그램 형식, 포인트제로 이루어졌다.

● 사후조사

사후조사는 실험처지 15주 후에 시행하였으며, 사전조사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험군과 대조군에게 자기주도 학습능력과 학습태도를 측정하였다.

자료 분석 방법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2.0 version program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실험군과 대조군의 일반적 특성과 측정변수의 동질성 검사는 기술통계와 χ2, Fisher's exact probability test 및 t-test로 분석하였고, 실험전과 후의 차이검정은 t-test를 실시하였다.

윤리적 고려

본 연구를 진행하기 위해 실험군 대상자에게는 연구의 목적, 설문지 수집, 학습동아리 프로그램 진행방법과 절차, 연구를 통해 얻게 되는 혜택과 협조사항에 대해 정보제공과 동의를 먼저 구하고 시작하였다. 또한, 대조군 대상자에게도 연구의 목적, 설문지 수집, 학습동아리 프로그램 진행방법과 절차, 연구를 통해 얻게 되는 혜택과 협조사항에 대해 정보제공과 동의를 먼저 구하고 연구를 진행하였다. 아울러 연구의 참여는 자발적이며 연구도중 언제든지 철회가 가능하고 수집한 자료는 익명으로 처리될 것임을 설명하고 서면동의를 받은 후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대한 동질성 검정

본 연구 대상자의 평균 연령은 실험군 21.48세, 대조군 19.93세 이었다. 본 연구 대상자 대부분이 여학생이 80.6%로 남자보다 많았고, 종교는 없다는 대상자가 58.3%로 더 많았다. 경제상태는 보통이 66.7%로 많았고 자율적인 학습동아리 활동 이전 학기의 총 평균학점은 3.0-3.99점이 72.2%, 4.0점 이상 학점이 22.2% 이었으며, 생리학 과목에 대한 만족도는 만족한다고 응답한 대상자가 61.2%, 보통이라고 응답한 대상자는 38.8%이었다. 또한, 실험군과 대조군의 일반적 특성에 대한 사전 동질성 검정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어 동질한 것으로 나타났다(Table 1).

Homogeneity Test of General Characteristics in Groups (N=36)

측정변수에 대한 동질성 검정

실험군과 대조군의 측정 변수에 대한 사전 동질성 검정 결과, 자기주도 학습능력은 실험군 평균126.26±11.75, 대조군 평균 125.50±20.56로 두 집단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t=10.514, p=.997). 학습태도의 경우 실험군 평균 52.26±4.52, 대조군 평균 51.41±6.05로 두 집단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t=7.556, p=.940). 자율적인 학습동아리 활동을 하기 전 예상되는 생리학 점수은 실험군 평균 3.83±1.25, 대조군 평균 3.77±1.17로 두 집단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t=3.385 p=.932). 따라서 자기주도 학습능력, 학습태도 및 자율적인 학습동아리 활동을 하기 전 예상되는 생리학 점수가 두군 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나 동질한 것으로 나타났다(Table 2).

Homogeneity Test of Dependent Variables (N=36)

자율적인 학습동아리 활동이 자기주도 학습능력, 학습태도에 미치는 효과

자율적인 학습동아리 활동이 자기주도 학습능력, 학습태도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한 결과, 자율적인 학습동아리활동 후 실험군의 자기주도 학습능력은 139.57±15.80, 대조군의 자기주도 학습능력은 133.91±10.66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t=1.618, p<.05), 자율적인 학습동아리활동 후 실험군의 학습태도는 53.25±4.69, 대조군의 학습태도는 52.43±4.35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t=.065, p=.799).

자율적인 학습동아리활동 전 두 군의 예상되는 생리학 점수는 실험군의 경우, 평균 학점은 3.83점을 받을 것이라고 예상하였고 실제적인 생리학 학점은 사후 평균 3.94점을 받아 예상보다 높게 받은 반면, 대조군은 사전 예상되는 생리학 점수의 평균학점은 3.77점이었으나 사후 생리학 학점은 평균 3.34점으로 낮게 나타났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t=3.385, p<.05)(Table 3).

Effects of Self-directed learning, Learning attitude and Physiology Credit Score among Groups (N=36)

논 의

본 연구는 간호 대학생의 생리학 교과목과 병행하여 동아리 활동에의 자율적 참여라는 중재방법을 통해 자기주도 학습능력, 학습태도 및 생리학 점수를 긍정적으로 향상시키고자 시도되었다. 연구결과, 연구대상자의 자율적 참여 학습을 통해 생리학 학과목의 적극성을 높이고 자기주도 학습능력 점수와 예상되는 생리학 학점 이상의 성적향상을 가져왔고 통계적으로도 유의하였다.

본 연구대상자 중 자율적인 학습동아리 참여를 한 실험군에서 생리학 과목이 학습참여 적극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학습자들이 자율적으로 학습을 계획하고 학습의 효과성을 높일 수 있는 좋은 방안을 스스로 마련하고 수행함으로써 학습능력을 상호 자극하여(Cho, 2005) 지속적인 학습의 의지를 높이고(Lee, 2008) 학습만족도와 성과에(Kim, 2009) 긍정적인 영향력을 미칠 것으로 생각한다. 따라서, 학생들의 자율적인 학습동아리 활동은 학습자가 의미 있고 체계적인 지식을 구성할 수 있도록 학습자들의 흥미와 동기유발을 도모하고 촉진하는 안내자 역할을 수행하는 중재방법이라 할 수 있으므로 지속적인 자율 학습동아리 활동과 동아리 학습활동 과목의 확대를 제안한다.

자기주도 학습능력은 자율적인 학습동아리 활동에 참여한 실험군과 학습동아리 활동에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 모두 실험 전 점수가 중간 이상으로 높았고, 실험 후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해 자기주도 학습 점수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또한, 실험군과 대조군 모두 학습실행과 학습평가 노력을 중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본 연구 대상자들이 자기주도 학습능력은 어느 정도 갖추고 있는 상태이며 자율적인 학습동아리 활동에의 참여와 같은 중재요법으로 자기주도 학습능력이 향상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자기주도 학습능력은 입시 위주의 교육을 받아 온 수동적인 학습태도(Yoo et al., 2011)와 대학교육을 어렵게 느끼는 대학생에게 도움이 되는 개인의 전문성을 개발하는 주요 능력(Yoo, 2002)으로 지속적인 자기 개발과 학문탐구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 따라서, 대학생의 자기주도 학습능력을 높이기 위한 학습지원 및 관련 프로그램의 활성화 방법의 하나로 자율적인 학습동아리 활동 방안을 추천하며 학습동아리 활동이 활성화 될 수 있도록 사회적, 학교 측면에서의 행정적, 교육적, 재정적 지원방안이 요구된다.

학습자들이 생리학과목의 예상학점은 두 군이 4.5점 만점에 모두 B+을 예상하였으나, 실험 후 생리학 필답고사를 시행한 결과 학점은 실험군의 경우 0.11점 상향한 평균 B+을 받은 반면, 대조군은 평균 B 학점으로 감소되었고 두 군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이 결과 또한, 본 연구와 직접적인 관련이 있는 연구가 없어 비교하기 어렵지만 유사한 선행연구에 의하면, 동아리 학습활동 학습은 학습태도와 학습동기를 향상시키고(Park & Kim, 2009; Chol, 2010) 심리적 안정감(Ross & Broh, 2000)과 학업성취도(Park & Kim, 2009; Cho et al., 2010; Ross & Broh, 2000)를 향상시켜 실제 지식을 습득(Cho et al., 2010)하는 효과가 있다는 선행연구 결과를 지지하는 결과이다. 또한, 팀워크 및 학업성취도를 향상시키고 미생물과(McInerney & Fink, 2003) 병태생리학을 수강하는 학생들의 문제해결능력과 의사소통 기술을 향상시켰다는 보고(Beatty, Kelley, Metzger, Bellebaum, & McAuley, 2009))가 있다. 즉, 생리학 과목을 수강 후 학습자들이 함께 자율적으로 모이는 학습 동아리활동에서 소그룹별 자율적인 학생들간 강의와 학습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퀴즈활동, TV 퀴즈 프로그램 형식, 포인트제를 통한 학습보상이 학생들을 동아리 활동에의 적극성을 높였고 이는 학습성과 결과를 긍정적으로 이끈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자율적인 학습동아리 활동이 학습자들의 개인 역랑을 높여 예상했던 학점보다 더 효과적인 결과를 얻게 함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자율적인 학습동아리 참여활동은 학습자에게 학습에 대한 동기유발과 학습에의 흥미도를 높이고 학습에 대한 책임감을 가지게 하여 학문탐구를 하는데 촉진적인 역할을 하며 자기 주도적인 학습능력 준비도와 책임감을 높이고 더불어 학업 성취도를 거둘 수 있게 할 수 있는 중재방법이 학습동아리 활동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학생들의 자율적인 동아리 활동의 활성화를 위해 인적,정서적, 물리적, 행·재정적 지원이 지속적으로 필요하다.

그러므로, 대학 본연의 학문탐구와 개발에 학생들이 적극적으로 참여시키기 위해서는 의사소통, 문제해결, 피드백 교환 등을 통해 전문적인 지적역랑 강화와 학습공동체 형성을 위한 긍정적인 분위기를 조성하여 높은 학업성취도를 거둘 수 있게 할 수 있는 자율적인 학습동아리 활동을 많이 할 수 있는 분위기 조성을 권장한다.

결론 및 제언

본 연구는 자율적인 학습동아리에 참여하는 간호 대학생을 대상으로 동아리 활동이 자기주도 학습능력과 학습태도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설계에 의한 유사실험연구이다. 본 연구결과 자율적인 학습동아리 활동의 참여가 간호대학생의 자기주도 학습능력 및 생리학 학점 향상의 효과가 있음이 입증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자율적인 학습동아리 활동은 학생들에게 학습에 대한 흥미와 동기를 격려하여 학습 만족도를 높여 주고 학생 스스로의 학습능력 향상에 효율적인 중재방법의 이론적 근거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따라서, 간호대학생의 주도적인 학습 수행능력을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자율적인 학습동아리 활동을 활성화할 수 있도록 다양한 지원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전공 학습의 어려움을 경험하는 대상자에게 다양한 학습동아리 활동 효과를 규명하는 연구와 다양한 대상자에게 적용한 학습동아리 활동의 효과 연구가 이루어질 것을 제언한다.

References

1. Beatty S. J., Kelley K. A., Metzger A. H., Bellebaum K. L., et al, McAuley J. W.. 2009;Team-based learning in therapeutics workshop sessions. American Journal of Pharmaceutical Education 73(6)Article 100. 10.5688/aj7306100.
2. Brown J. C., Collins A., et al, Duguid P.. 1989;Situated cognition and the culture of learning. Educational Researcher, Jannuary-Feburary :33–40.
3. Cho A. R., Han S. I., Yoon S. H., Park J. H., Yoo N. J., Kim S.. 2010;Methods of effective team-based learning administration and expected effects on medical education. Korean journal of medical education 22(1):47–55. 10.3946/kjme.2010.22.1.47.
4. Cho D. Y.. 2005;The relationship between self-direction in learning and interpersonal skills within teams. Journal of research in education 23,:223–242.
5. Cho S. H.. 2007;(The) relationship among social support, academic adjustment, and campus life satisfaction with the extracurricular club activities of university stud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Yeonsei University, Seoul.
6. Choi Y. M.. 2010;Learners' evaluation on team learning activities in college education. Journal of Educational Methodology 22(4):143–163.
7. Hong S. H.. 2001;(The) research for study circles facilitating scheme Unpublished Master's thesis, Yeonsei University, Seoul.
8. Hwang S. Y.. 2003;Effects of problem-based learning on the knowledge achievement, critical thinking ability, attitude and motivation toward learning of nursing student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Chonnam National University, Kwangju.
9. Jung J. E.. 2013;The casual relationship of undergraduate student's career adaptability social support, self-esteem and self-directed learning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10. Jeju National University. 2008;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freshman in 2009 Capacity Developing Institute in Jeju National University.
11. Kang I. A.. 1997;Why is the constructivism: The age of digital information and learner-centered education environment Seoul; Moonumsa:
12. Kim B. K. 2009;Effects of club activitis on satisfaction of recreation and campus life in university stud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Dong-A University, Busan.
13. Kim J. K.. 2009;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arner's perception of a sense of community and learning readiness and learning effectiveness in the online learning environment. Korean Journal for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91(1):1–22.
14. Kim J. H.. 2009;A understanding of the directedness in education. Journal of Educational Principles 14(1):133–173.
15. Kim Y. H.. 2013;An analysis of differences in the recognition of career choice, satisfaction, and major adjustment among university students - focused on the comparison between health-care majors and social science majors. Journal of Safety and Crisis Management 9(10):165–181.
16. Knowles M.. 1975;Self-directed learning: A guide for learner and teachers New York: Association Press Korean Education Development Institute: 1991;Study on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programs for improving thinking(iv) Seoul: Korean Education Development Institute.:
17. Lee J. Y.. 2012;The effect of perceived customer orientation to emotional presence, commitment and customer satisfaction in e-learning. International Conference on Digital Policy & Management 10(10):139–146.
18. Lee S. J., Jang Y. K., Lee H. N., et al, Park G. Y.. 2003;Study on the development of life-skills: communication, problem solving, and self-directed learning Seoul: Korean Education Development Institute:
19. McInerney M. J., et al, Fink L. D.. 2003;Team-based learning enhances long-term reention and critical thinking in an undergraduate microbial physiology course. Microbiology Education 4(1):3–12.
20. Park I. S., et al, Kim D. K.. 2009;Effect of TBL(Team-Based Learning) on oral prophylaxis education of dental hygiene curriculum.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Oral Health 33(1):125–133.
21. Ross C. E., et al, Broh B. A.. 2000;The roles of self-esteem and the sense of personal control in the academic achievement process. Sociology of Education :270–284. 10.2307/2673234.
22. Woo J. J., Kim B. N., Lee O. H.. 2009;A Study on the blended learning as an alternative o face-to-face learning in university. Journal of Korean Information Technology 7(2):219–225.
23. Yoo H. S.. 2002;Research on the national standards of life skill and quality management for learning system. 1 Seoul: Korean Education Development Institute:
24. Yoo H. S., Lim H. N., Seo Y. I., Ko J. W., Shin H. S., Park S. H., et al, Hur E.. 2011;National survey of student engagement in korean universities 2 Seoul: Korean Education Development Institute:

Article information Continued

<Table 1>

Homogeneity Test of General Characteristics in Groups (N=36)

Characteristics Categories Exp.(n=21) Con.(n=15) Total χ2 or t p
n(%) or
Mean±SD
n(%) or
Mean±SD
n(%) or
Mean±SD
Age(years) 21.48±3.76 19.93±1.33 20.83±3.07 3.385 .311
Gender* Male 6(16.6) 1(2.8) 7(19.4) 1.213 .408
Female 15(41.7) 14(38.9) 29(80.6)
Religion Yes 9(25.0) 6(16.7) 15(41.7) .271 .965
No 12(33.3) 9(25.0) 21(58.3)
Economic state* High - 1(2.8) 1(2.8) 3.620 .164
Middle 15(41.7) 9(25.0) 24(66.7)
Lower 6(16.7) 5(13.8) 11(30.5)
Academic grade* 2.0-2.99 2(5.6) - 2(5.6) 3.321 .190
3.0-3.99 14(38.9) 12(33.3) 26(72.2)
4.0- 5(13.8) 3(8.4) 8(22.2)
Satisfaction for physiology Satisfaction 12(33.4) 10(27.8) 22(61.2) 0.077 .782
Average 9(25.0) 5(13.8) 14(38.8)

Exp.=Experimental Group, Con.=Control Group

* Fisher's exact probability test

<Table 2>

Homogeneity Test of Dependent Variables (N=36)

Variables Exp.(n=21) Con.(n=15) t p
Mean±SD Mean±SD
Self-directed learning 126.26±11.75 125.50±20.56 10.514 .997
Learning attitude 52.26±4.52 51.41±6.05 7.556 .940
Predictable score of physiology 3.83±1.25 3.77±1.17 3.385 .932

Exp.=Experimental Group, Con.=Control Group

<Table 3>

Effects of Self-directed learning, Learning attitude and Physiology Credit Score among Groups (N=36)

Variables Group Pre-test Post-test Difference t p
Mean±SD Mean±SD Mean±SD
Self-directed learning Exp.(n=21) 126.26±11.75 139.57±15.80 13.31±4.05 1.618 <.05
Con(n=15) 125.50±20.56 133.91±10.66 8.41±9.90
Learning attitude Exp.(n=21) 52.26±4.52 53.25±4.69 0.99±0.17 0.065 .799
Con(n=15) 51.41±6.05 52.43±4.35 1.02±1.70
Physiology credit score Exp.(n=21) 3.83±1.25 3.94±1.26 0.11±0.01 3.385 <.01
Con(n=15) 3.77±1.17 3.34±1.72 0.43±0.55

Exp.=Experimental Group, Con.=Control Grou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