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KASNE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J Korean Acad Soc Nurs Educ 1225-9578 2093-7814 The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Korea jkasne-2021-27-1-59 10.5977/jkasne.2021.27.1.59 Original Article 간호사 인식개선을 위한 간호학-미디어학 융합 PBL 수업의 중재효과 연구: 수업 참여 학생들 및 PBL 성과발표회 참석 학생들의 인식 변화를 중심으로 The intervention effect of a nursing-media studies convergence problem-based learning (PBL) program to improve nurses’ public image: Changed perceptions of program participants and students attended a PBL presentation http://orcid.org/0000-0002-4550-4099 승철 Yoo Seungchul 1) http://orcid.org/0000-0002-7687-6469 승미 Kang Seungmi 2) http://orcid.org/0000-0002-4592-6320 주연 Ryu Jooyeon 3) 1) 이화여자대학교 커뮤니케이션·미디어학부, 부교수 1) Associate Professor, Division of Communication & Media, Ewha Womans University 2) 이화여자대학교 커뮤니케이션·미디어학부, 박사과정 2) Doctoral Student, Division of Communication & Media, Ewha Womans University 3) 이화여자대학교 커뮤니케이션·미디어학부, 석사과정 3) Master’s Student, Divison of Communication & Media, Ewha Womans University Address reprint requests to: Yoo, Seungchul School of Communication & Media, Ewha Womans University 301 Ewha-POSCO BD, 52 Ewhayeodae-gil, Seodaemun-gu, Seoul, 03760, Repubic of Korea Tel: +82-2-3277-2240, E-mail: communication@ewha.ac.kr

본 연구는 대한간호협회의 지원을 받았음.

This study was supported by the Korean Nurses Association.

02 2021 28 02 2021 27 1 59 67 18012021 15022021 15022021 Copyright © 2021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2021 This is an open 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Problem-based Learning (PBL) in an interdisciplinary college class. This class was run under the theme of ‘Nurse Social Content Creators’ (NSCC) in the Korean Nurses Association (KNA)’s industry-university collaborative project designed to promote a positive image of nurses among the public.

Methods

Study 1 examined changes in perception about nurses among the PBL participants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A one-group pre-post test experimental design was applied, and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a Wilcoxon signed-rank test. Study 2 identified differences of perceptions of nurses between people who had observed the PBL final presentation and people who had not. A post-test-only with nonequivalent group experimental design was used, and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a Mann-Whitney U test.

Results

Study 1 revealed a significant increase of positive perceptions towards nurses. Study 2 revealed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PBL presentation audience group and the control group. Students who had observed the PBL program showed more positive perceptions of nurses than students who had not.

Conclusion

This research is an important study with high practicality in the area of media studies as well as in nursing. The PBL teaching method was proven to be effective in enhancing perceptions of nurses.

Problem-based learning Nurse Perception Communication Nursing 주요어 문제중심학습 간호사 인식 커뮤니케이션 간호학
서 론 연구의 필요성

간호사의 사회적 위상이 날로 높아지고 사회적 기여가 커지고 있음에도 간호사의 전문성에 대한 일반인 및 대중매체의 인식은 왜곡되어있다. 2020년 국내 유명 여성 아이돌 그룹의 간호사 복장 퍼포먼스 논란에서 확인할 수 있었던 것처럼 대중들의 간호사에 대한 부적절한 이미지는 여전하다. 이런 왜곡된 인식이 디지털 미디어를 중심으로 확대 재생산되고 있다[1]. 대중의 간호사에 대한 인식을 다룬 선행연구에 따르면 간호사의 전문성에 대한 대중의 인식은 다른 전문직과 비교할 때 상대적으로 낮다. 특히 간호직의 다양화 및 전문화에도 불구하고, 전문적 건강교육자 및 건강 상담자로서의 간호사의 역할에 대한 대중의 인식은 취약한 현실이다[2,3]. Shin과 Kim [4]은 대중의 간호사에 대한 인식 조사를 통해 간호사에 대해 깨끗하고 단정한 이미지는 확인할 수 있었지만, 간호사를 전문가로서 인식하는 정도는 높지 못함을 확인했다.

Park 등[5]은 간호사와 관련 뉴스 기사 분석 결과 간호사의 전문성을 다룬 기사는 간호사의 근무환경 및 처우, 직무상 과실에 관련한 기사보다 유의미하게 적음을 확인했다. 또, Yom 등의 연구[6]에 따르면 국내 TV 드라마에서 간호사의 전문적인 능력에 대한 부분은 제대로 묘사되지 못하고 있다.

대중들의 간호사 이미지 형성에 영향을 끼치는 외부 요인으로는 미디어의 영향력이 가장 크다[4,7-9]. 미디어가 특정 직업의 고정관념 형성에 미치는 영향은 상당한데, 이는 대중의 직업에 대한 이미지 형성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10]. Shin과 Kim [4]은 미디어가 간호사를 주로 독자적인 역할 대신에 의사에 종속된 보조적 역할 수행자로 묘사하는 등 부정적으로 표현하는 경향이 있음을 확인했다. 국외 연구에서도 역시 미디어가 생산하는 간호사에 대한 부정적 이미지 형성에 문제를 제기했다[11].

실제로 각종 사건, 사고 뉴스에서도 간호사 관련 사건 보도의 부정적 프레이밍은 빈번하게 찾아볼 수 있다. 2015년부터 2019년 사이에 발생한 간호사 관련 사회적 이슈 보도에 따르면, 직장 내 괴롭힘으로 인한 간호사들의 자살, 상사의 폭언 및 폭행, 성추행 및 성희롱, 간호사에 대한 성적 대상화, 그리고 희화화 및 무시 등 총 다섯 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특히 ‘태움 문화’로 불리는 간호사의 직장 내 괴롭힘(workplace bullying)은 개인 및 업무 관련 공격 또는 역량과 명예에 대한 침해가 이루어지고 최종적으로 신체적, 심리적, 조직적으로 부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행위로 정의되며[12] 간호사와 관련해서 지난 수년간 언론을 통해 가장 자주 다뤄진 부정적 소재다.

이렇듯 국내 간호사들은 간호사를 전문 의료인으로 인식하지 못하는 대중들의 시선과 미디어의 왜곡된 표현 속에서 고통을 받고 있다. 우리 사회가 지닌 전문 직업인으로서 간호사에 대한 부정적 인식은 현직 간호사들의 직무 만족도 및 직업 충성도를 떨어뜨릴 뿐 아니라 향후 이직에도 문제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13,14]. 이렇듯 특정 전문직에 대한 사회의 이미지가 향후 해당 전문직의 발전에 큰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고려할 때[15], 간호사에 대한 사회적 이미지 개선을 위해 대중을 대상으로 한 미디어 캠페인은 시급하다.

최근 디지털 동영상의 사회적 영향력을 고려할 때 영상 기반의 콘텐츠에 대한 필요가 커지고 있다. 대중들의 간호사에 대한 인식 제고를 위한 영상 콘텐츠를 제작하기 이전에, 영상을 기획하고 만들어낼 제작 당사자의 간호사에 대한 인식 변화가 먼저 이루어져야 한다. 이러한 인식 변화는 단순 주입식 방법을 통해 변화를 기대하기보다는 참여적인 문제해결을 방법을 활용하는 것이 더 효과적이다[16]. 참여적 학습법으로 대표적인 것이 문제중심학습(Problem Based Learning, PBL)이다. PBL은 1969년 캐나다 McMaster 의과대학에서 Barrows와 Tamblyn [17]에 의해 시작된 방법론으로, 현실의 문제를 제공하고 학습자가 주체가 되어 수업을 진행하는 교수-학습 방법이다[18]. Koh [19]의 연구에서 PBL을 적용한 수업 진행 결과, 학습자들의 수업 태도가 긍정적이고 적극적으로 변화했고, 기존의 전통적 전달식 수업에 비교할 때 질적으로 향상된 학습결과가 나왔으며, 학습자의 학습 가치관뿐 아니라 교수자의 교사 효능감까지도 높아졌다.

이러한 PBL 교육 방법론은 이미 간호학 교육에서도 널리 활용되고 있다. 간호학 교육에서 PBL은 학생들이 간호와 관련된 문제해결과정을 통해 비판적, 성찰적 사고습관을 기르며 학습자 스스로 해결방법을 찾는 능력을 기르기 위한 목적으로 활용된다[20]. 기존 간호학 관련 선행 PBL 연구는 간호학 전공생을 대상으로 PBL 교육 참여자의 문제해결 능력에 대한 측정, 강의형 수업 참여자와 PBL 수업 참여자 간 학습성과 비교 등 PBL 교육 참여자의 학습 능력 및 비판적 사고 능력 향상에 관한 효과연구가 주를 이루었다[16,21,22]. 선행연구를 검토한 결과 간호 전공과 직접 관련된 PBL만을 다루었으며, 간호학 외 다른 전공과 협업한 PBL 관련 연구는 현재까지는 없었다. 특히 간호사 인식에 대한 국내 연구 동향을 살펴본 Heo 등[23]의 연구에 따르면, 주로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설문 조사연구가 가장 많았고, 일반인을 대상으로 하거나 간호사 이미지 인식을 높이는 PBL 시도를 한 연구는 매우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간호사 인식개선에 대한 필요가 커지고 있는 것을 염두에 둘 때, 간호학-미디어학을 융합한 학제적 PBL에 관한 연구는 실용적인 동시에 탐색적 연구로서 학술적 의미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이에 본 연구는 간호사 인식개선을 위한 소셜 미디어 콘텐츠 창작을 목표로 학부생을 대상으로 융합 PBL 수업을 진행하고 그 효과성을 검증했다.

연구 목적

본 연구는 간호사에 대한 시민들의 인식을 보다 긍정적으로 전환하기 위한 소셜 미디어 공유 목적의 비디오 콘텐츠 제작을 목표로 진행한 간호학-미디어학이 연계한 PBL 대학 수업에서, PBL 교육의 효과성을 분석했다. 본 연구의 연구 목적은 아래와 같다.

PBL 수업 전·후, PBL 수업 참여 학생들의 간호사에 대한 인식 변화를 확인한다.

PBL 성과발표회를 참관한 집단과 미참여 집단 간 간호사에 대한 인식 차이를 검증한다.

연구 가설 ● 가설1. PBL 수업 참여 전과 참여 후 학생들의 간호사에 대한 인식에서 변화가 있을 것이다.

가설1-1. PBL 참여 학생들은 PBL 후 간호사에 대한 전문직 이미지 인식이 높아질 것이다.

가설1-2. PBL 참여 학생들은 PBL 후 간호사에 대한 전통적 이미지 인식이 높아질 것이다.

가설1-3. PBL 참여 학생들은 PBL 후 간호사에 대한 사회적 이미지 인식이 높아질 것이다.

가설1-4. PBL 참여 학생들은 PBL 후 간호사에 대한 직업 전망에 대한 인식이 높아질 것이다.

● 가설2. PBL 성과발표회를 참관한 집단과 미참여 집단 간 간호사에 대한 인식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가설2-1. PBL 참관집단은 미참여 집단보다 간호사에 대한 전문직 이미지 인식이 높을 것이다.

가설2-2. PBL 참관집단은 미참여 집단보다 간호사에 대한 전통적 이미지 인식이 높을 것이다.

가설2-3. PBL 참관집단은 미참여 집단보다 간호사에 대한 사회적 이미지 인식이 높을 것이다.

가설2-4. PBL 참관집단은 미참여 집단보다 간호사에 대한 직업 전망에 대한 인식이 높을 것이다.

연구 방법 연구 설계

본 연구는 서로 다른 연구대상 집단의 간호사 인식개선 효과를 살펴보기 위하여 연구1과 연구2로 나눠 유사실험을 진행했다. 연구1은 PBL 전후, 참여 여자 대학생들의 간호사에 대한 인식에 차이가 있는지 규명하기 위해 단일집단 사전·사후 설계를 했다. 구체적으로, 연구1에서는 대학 학부에서 간호사 인식개선을 PBL 수업을 진행하고, PBL 수업 참여 전후 학습자의 간호사에 대한 인식에 차이가 나타나는지를 살펴보았다. 연구2는 PBL 수업 성과발표회에 참관한 집단과 미참여 집단 간에 간호사에 대한 인식의 차이가 있는지를 검증하기 위해 비동등성 대조군 사후 설계를 적용했다. 본 연구의 구체적인 연구 내용과 연구 방법은 아래 도해와 같다(Figure 1).

Research process

연구 대상

본 연구진은 2019년 6월 ‘간호 소셜 콘텐츠 크리에이터스(Nurse Social Content Creators, NSCC)’ PBL 수업을 위해 대한간호협회 산하 간호인력취업교육센터와 협약을 체결했다. 연구진이 연구 대상으로 삼은 PBL 수업은 수도권에 소재한 여자대학교에서 이루어졌다. 이에 따라 연구1과 연구2에 참여한 연구 대상의 생물학적 성(sex)이 모두 여성으로 구성되었으며, 사회문화적 성(gender) 또한 여성으로 구성되었다.

먼저 연구1의 대상자를 선정하기 위해, 협약 체결 이후 간호사 인식개선을 위한 소셜 동영상 콘텐츠를 제작하는 PBL에 참여할 대학생을 공개모집 및 선발했다. 최종적으로 14명의 참가자가 선발되었다. 이에 따라 연구1의 연구 대상은 PBL 수업에 참여하는 학생 14명이었다. 연구2의 연구 대상은 PBL 수업이 끝난 후, 성과발표회를 참관한 학생 중 설문 참여에 동의한 학생 33명, 성과발표회 미참여 학생 중 설문 참여에 동의한 학생 25명으로 총 58명이었다.

연구 도구 ● 간호사에 대한 인식

간호사에 대한 인식은 ‘개인이 생각할 때 인지하는 간호사에 대한 신념, 관념, 인상 등의 총합’으로 정의할 수 있다[4]. 간호사에 대한 인식 측정을 위해 Yang [24]의 문항을 그대로 활용했다. 간호사에 대한 인식은 네 가지 하위 척도인 전문적 이미지, 전통적 이미지, 사회적 이미지, 직업적 전망으로 구성했다. ‘간호사는 응급상황에서 올바르게 대처한다’, ‘간호사는 풍부한 전문적 지식을 갖고 있다’ 등 전문적 이미지 6문항, ‘간호사는 편견 없이 환자를 대해준다’, ‘간호사는 환자와 가족에게 호의적이다’ 등 전통적 이미지 6문항, ‘간호사는 의사와 동료의 입장에서 일한다’, ‘간호사는 항상 자신감 있고 당당하다’, ‘간호사는 건강 교육자이다’ 등 사회적 이미지 5문항, ‘간호사는 가족이나 친지에게 권하고 싶은 직업이다’, ‘간호사는 전망 있는 직업이다’ 등 간호직 전망 3문항을 포함한 총 20문항으로, 각 리커트(Likert) 5점 척도를 사용했다. Yang [24]의 연구에서 간호사에 대한 인식 도구의 신뢰도는 Cronbach’s ⍺= .883이었으며, 본 연구에서는 Cronbach’s ⍺= .919이었다. 각 하위 척도의 신뢰성(Cronbach’s ⍺)은 전문적 이미지 .909, 전통적 이미지 .852, 사회적 이미지 .821, 직업적 전망 .605으로 척도의 일관성을 확보했다. 직업적 전망 척도의 경우 신뢰도가 낮은 이유로 1개 측정 문항(간호사는 사회적 지위가 높은 편이다)을 제거한 이후에 신뢰도 재측정 결과 Cronbach’s ⍺가 .730으로 다소 상승했다. 하지만 최소기준으로 간주되는 0.6 이상[25]을 만족하는 이유로 문항 제거 없이 그대로 활용했다.

연구 진행

본 연구에서 진행한 PBL 수업은 간호업계 전문가들과 협업 및 관련 교육을 통해 학생 본인이 가지고 있는 간호사에 대한 왜곡된 인식을 바로잡고, 이를 통해 대중들이 가지고 있는 간호사에 대한 사회적 편견 등 문제점을 영상 제작과 소셜 미디어 유통을 통해 바로잡고 해결하는 데 있다. 본 PBL 수업은 2019년 6월 20일~10월 8일에 걸쳐 진행되었다. 총 14명의 참가자로 구성된 총 3개 제작팀으로 구성되었다. 2019년 6월 20일 발대식이 개최되었으며, 6월 28일 참가자들은 기초 영상 제작 교육을 이수했다. 7월 16일, 수도권 소재 종합병원에서 PBL 워크샵을 개최하여, 대학 병원에 재직 중인 간호사가 참가자들에게 간호 직급체계 및 업무체계를 교육하였다. 8월 3일부터 9월 30일까지는 PBL 참가자들이 간호사 인식개선 영상을 촬영 및 제작했다. 10월 8일, PBL 성과발표회 개최를 통해 제작된 영상을 학계 및 의료 간호업계 전문가, 학생, 그리고 대중 앞에서 발표했다. 본 발표회는 실험연구의 중재 도구로 활용되었다. PBL 프로그램의 구체적인 절차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 NSCC 수업 기획 및 준비

국내 수도권에 소재한 여자대학교는 본격적인 수업 시작에 앞서 먼저 2019년 6월 ‘간호 소셜 콘텐츠 크리에이터스(NSCC)’라는 이름으로 PBL 수업을 개설하고, 대한간호협회 간호인력취업교육센터와의 MOU를 체결했다. 이후 동영상 콘텐츠를 제작할 참여 학생 모집을 위해 홍보를 진행했고 학생들을 선발했다. 최종 14명의 참가자가 선발되었으며, 이들은 3개의 제작팀으로 나뉘어 구성되었다.

● NSCC 브리핑 및 발대식 개최

6월 20일, NSCC 브리핑 및 발대식이 개최되었다. 기존 국내외에서 제작된 간호사 인식개선 영상 및 간호협회 홍보영상에 관한 브리핑 교육을 진행하여 참가 학생들이 향후 기획 및 제작할 콘텐츠가 기존 문제점을 번복하지 않도록 교육했다. 브리핑에는 현직에서 일하고 있는 간호사를 연사로 초대해 현직 간호사로서 느끼고 있는 간호사 인식개선의 필요성과 기존 영상물의 문제점을 학생들에게 직접 알려줄 수 있게 하였고, 또한 간호사로서 일하면서 겪은 간호사에 대한 편견도 함께 공유했다.

● 영상 제작 교육 이수

참가자들은 6월 28일 영상 전문가들로부터 영상 제작 교육을 이수했다. 영상 제작 과정에서는 전문적 영상 제작 기술이 부족한 학생들을 위해 영화 제작 경험이 있는 연구원이 참가해 학생들의 촬영을 도왔고, 더불어 간호사들의 의료처치 장면 묘사의 정확성을 위해 촬영 기간 동안 현직 간호사가 학생팀들의 간호사 업무 장면 촬영을 꼼꼼히 감수했다.

● 워크샵을 통한 간호업계 이해도 향상

수업 진행 과정에서는 직접 수도권의 대학 부설 종합병원을 방문해 간호사들의 업무 과정을 배울 수 있도록 교육하였으며, 당일 워크샵에서는 병원에서 재직 중인 수간호사가 대학 병원 간호사의 직급체계 및 업무체계에 대해 발표하면서 학생들의 간호업계에 대한 이해를 높여주었다.

● 성과발표회 개최

현직 간호사 및 영상 전문가들의 교육을 통해 동영상을 제작한 참가팀 3개 조의 간호사 인식개선 영상은 10월 8일 개최된 성과발표회에서 학계 및 의료계 전문가와 간호업계 귀빈뿐 아니라, 관중으로 참석한 학생들, 그리고 일반 대중들 앞에서 상영되었다. 또한, 참가팀들은 경쟁 프레젠테이션을 펼쳐 본인들이 그동안 간호사에 대해 경험하고 배운 것들을 관객들에게 전달할 수 있도록 했다.

자료 수집

연구1의 사전 설문조사는 PBL 수업 시행 이전인 2019년 6월에 실시하였고, 사후 설문조사는 PBL 프로젝트가 종료된 이후인 2019년 11월에 중반에 실시했다. 연구2의 경우 2019년 10월 PBL 성과발표회를 마친 이후 1주일에 걸쳐 실험 및 통제 집단에 대해 설문조사를 진행했다. 설문조사에 참여하고자 하는 대상자에게는 사전에 연구의 목적, 절차 및 응답 방법을 충분히 설명한 뒤, 오프라인 및 온라인 설문을 진행했다.

연구의 윤리적 고려

본 조사는 초기에 학술 연구 목적이 아닌 사업성과 측정을 목적으로 기획되었던 사유로 기관윤리위원회(IRB)의 승인을 받는 과정을 밟지 못했다. 본 연구의 설문조사의 각 문항이 응답자의 사상, 신념, 정치성향, 범죄기록 등의 민감정보를 수집하지 않는 것은 사전에 확인했으며, 조사 과정에서는 자료 수집 전 연구 참여자에게 비밀 보장과 익명성 보장에 대하여 충분히 설명했다. 자료 수집 중이라도 대상자가 원하지 않으면 언제든 중단할 수 있으며, 설문 응답에 참여하는 것을 거부할 권리가 있음을 안내했다. 그리고 설문조사 참여 중도 철회 시 불이익이 없음을 설명했다. 이러한 설명을 들은 뒤 자발적으로 조사에 참여를 희망하는 자에게만 자료 수집 및 설문지를 배포했다. 취득한 개인식별정보는 결과 분석단계에서 파기했음을 밝힌다.

자료 분석

수집된 자료는 SPSS 22.0 프로그램으로 분석하였으며, 구체적 분석 방법은 다음과 같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기술 통계를 통해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를 이용하여 분석했다. 연구1에서 대상자의 PBL 수업 참여 전과 참여 후의 간호사에 대한 인식 차이 a 연구 대상자가 30명 이하이므로 정상분포를 가정하기 어려운 점을 고려해, 비모수 통계 방법인 Wilcoxon signed rank test를 사용해 분석했다. 연구2에서는 PBL 수업에 참관한 집단(실험군)과 미참여 집단(대조군) 간 간호사에 대한 인식 차이 검증을 위해 비모수 검정기법인 Mann-Whitney U test를 활용했다. 연구2의 실험군과 대조군의 일반적 특성과 사전 측정한 종속변수의 동질성 검정은 χ² test와 Fisher’s exact test, t-test를 이용하여 분석했다.

연구 결과 연구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연구1에 참여한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분석했다. 분석 결과, 대상자의 나이는 19세~24세였으며, 22세가 5명(38.4%)으로 가장 많았다. 대학교 학년으로는 4학년이 5명(38.4%)으로 가장 많았다.

PBL 수업 참여 사전-사후 간호사에 대한 인식 차이 검증

연구1에서 ‘PBL 수업 참여 전과 참여 후 학생들의 간호사에 대한 인식에서 변화가 있을 것이다’라는 가설1을 검정한 결과는 Table 1과 같다. 대상자의 PBL 전-후에 지각한 간호사에 대한 전반적 이미지의 수준은 PBL 전(3.84±0.57)보다 PBL 후(4.16±0.43)가 유의하게 더 높은 점수를 보여줬다(Z=-2.39, p=.017). 이에 따라 가설1은 지지되었다. 하위 척도를 분석한 결과 PBL 전-후에 간호사의 사회적 이미지 인식만 PBL 전(3.19±0.63)보다 PBL 후(3.67±0.80)가 유의하게 더 높은 점수를 나타냈다(Z=-2.50, p=.013). 이에 따라 가설 1-3도 지지되었다. 전문적 이미지 하위 척도는 PBL 전(4.58±0.57)보다 PBL 후(4.75±0.41)에 증가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Z=-1.13, p=.258), 따라서 가설 1-1은 기각되었다. 전통적 이미지는 PBL 전(4.00±0.76)보다 PBL 후(4.27±0.53)에 증가하였으나 역시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Z=-1.66, p=.097), 따라서 가설 1-2는 기각되었다. 간호직 전망은 PBL 전(3.57±0.87)보다 PBL 후(3.93±0.62)에 증가하였으나 역시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아(Z=-1.55, p=.122) 가설 1-4도 기각되었다.

Nurses’ Image Perceived by Subjects Before and After the PBL Program (N=14)

Variables Before the PBL program Mean±SD After the PBL program Mean±SD Z p
Professional image 4.58±0.57 4.75±0.41 -1.13 .258
Traditional image 4.00±0.76 4.27±0.53 -1.66 .097
Social image 3.19±0.63 3.67±0.80 -2.50 .013
Career vision 3.57±0.87 3.93±0.62 -1.55 .122
Total 3.84±0.57 4.16±0.43 -2.39 .017
연구2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연구2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분석했다. 분석 결과, PBL 성과발표회를 참관한 실험군은 33명, 참관하지 않은 통제군은 25명으로, 분석대상은 총 58명이었다. 실험군의 나이는 18세~25세였으며, 20세가 12명(36.4%)으로 가장 많았다. 또한 신입생인 1학년이 15명(45.4%)으로 가장 많았으며, 2학년 9명(27.3%), 4학년 6명(18.2%), 3학년 2명(6.1%), 대학원생 1명(3%) 순이었다. 대조군의 나이는 20~29세였다. 또한 3학년이 8명(32%)으로 가장 많았으며, 대학원생 7명(28%), 2학년 6명(24%), 4학년 3명(12%), 1학년 1명(4%) 순이었다. 두 군의 χ² test를 활용해 일반적 특성에 대한 동질성 검증을 진행한 결과, 두 군 간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두 군의 간호사에 대한 인식 각 하위 척도에 대한 Fisher’s exact test, t-test를 활용한 동질성 검증결과도 역시 두 군 간의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PBL 성과발표회 참관집단과 미참여 집단 간 간호사에 대한 인식 차이 검증

연구2에서 ‘PBL 성과발표회를 참관한 집단과 미참여 집단 간 간호사에 대한 인식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라는 가설2를 검정한 결과는 Table 2과 같다. PBL 성과발표회 참관집단과 미참여 집단 간 간호사에 대한 인식 간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Mann-Whitney U 검정을 실시했다. 분석 결과를 각 하위 척도별로 살펴보았을 때, 먼저 간호사의 전문적 이미지는 참관집단과 미참여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Z=-4.251, p<.001). 이에 따라 가설 2-1이 지지되었다. 간호사의 전통적 이미지는 참관집단과 미참여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Z=-3.649, p<.001). 이에 따라 가설 2-2 역시 지지되었다. 또한, 간호사의 사회적 이미지가 참관집단과 미참여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Z=-3.067, p=.002). 이에 따라 가설 2-3이 지지되었다. 마지막으로, 간호직 전망에 대한 인식에서 참관집단과 미참여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Z=-2.613, p=.008). 이에 따라 가설 2-4가 지지되었다.

Perceived Nurses Image Between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N=58)

Variables Group Mean rank Sum of ranks Mann-Whitney U (p-value) Z (p-value)
Professional image Experimental (n=33) 37.52 473.00 677.00 (p<.001) -4.25 (p<.001)
Control (n=25) 18.92 1238.00
Traditional image Experimental (n=33) 36.48 1204.00 643.00 (p<.001) -3.65 (p<.001)
Control (n=25) 20.28 507.00
Social image Experimental (n=33) 35.39 1168.00 607.00 (p=.002) -3.07 (p=.001)
Control (n=25) 21.72 543.00
Career vision Experimental (n=33) 34.50 1138.50 577.50 (p=.009) -2.61 (p=.004)
Control (n=25) 22.90 572.50
논 의

본 연구는 간호사에 대한 대중의 인식을 긍정적으로 바꾸는 것을 목표로 진행된 PBL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했다. 구체적으로 PBL 수업 전·후 간호사에 대한 인식에 차이가 있는지, PBL 성과발표회를 참관한 이들과 미참여한 이들 간 간호사에 대한 인식에 차이가 있는지를 확인했다. 본 연구를 통해 확인된 결과와 관련 논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간호사들에 대한 인식개선을 목표로 한 소셜 미디어 영상 콘텐츠 제작 과목에 PBL 수업을 접목하여 적용한 결과, PBL 수업 이후 간호사에 대한 인식이 PBL 수업 이전보다 긍정적으로 변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인식 변화는 간호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진행된 선행연구에서 학생들의 문제해결 능력, 학습만족도, 학습 역량 향상 등 PBL 효과 연구결과[21]와 맥락을 같이 한다. 또한, PBL 효과를 측정하는 변수로 ‘간호사라는 특정 직군에 대한 인식’을 살펴본 연구는 현재까지 없었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초기 연구로서 학술적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어떤 직군에 대한 사회적 인식은 고정관념화되는 경향이 있지만, 미디어를 통해 간접적으로 제공되는 새로운 경험과 학습을 통해서도 달라질 수 있다는 가변성을 지닌다[10]. 이러한 인식의 가변성을 염두에 두고 본 연구는 단순한 주입식 교육이 아니라 학습자의 비판적 사고를 자극하면서 스스로 지식을 체계화하는 것을 유도하는 자기 주도적 학습방법[26]인 PBL을 적용해 간호사에 대한 통념을 보다 긍정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다는 결론을 도출했다. 미래 사회를 주도해갈 대학생들의 의식변화를 끌어냈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함의가 있다.

둘째, 간호사에 대한 인식의 하위 척도 중 하나인 사회적 이미지는 연구1과 연구2에서 모두 전문적 이미지, 전통적 이미지, 직업적 전망 등의 다른 하위 척도에 비교할 때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이미지를 측정하는 문항은 ‘간호사는 의사와 동료라는 입장에서 일한다’, ‘간호사는 항상 자신감 있고 당당하다’, ‘간호사는 건강 교육자이다’ 등의 문항을 포함한다. 간호사에 대한 사회적 이미지 인식에서 비교적 연령이 적은 20대 피험자들조차 관련 인식이 낮게 나타났다는 점은 여전히 우리 사회에서 간호직의 사회적 위상이 평가절하되어 있음을 가늠할 수 있게 한다. 최근까지도 미디어는 간호사의 역할을 의사와 동료 입장이기보다는 의사의 단순보조직으로 표현하거나, 주체적이기보다는 수동적인 직업인으로 묘사하는 경우가 다수다. 본 연구결과에서 간호사에 대한 사회적 이미지 인식이 낮게 나타난 것은 미디어의 이미지 왜곡이 일반인의 인식에 부정적으로 작용하고 있을 것으로 추론할 수 있다. 그러나 본 연구1에서 PBL 수업 전-후, 간호사에 대한 사회적 이미지 인식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아졌다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간호를 주제로 한 PBL 수업을 통해 간호사에 대한 인식을 보다 긍정적으로 개선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셋째, PBL 수업에 직접 참여하지 않았으나, PBL 성과발표회 현장을 참관한 것만으로도 미참여한 대조군에 비해 간호사에 대한 인식에 있어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긍정적 변화가 있었다. 즉, 간호사에 대한 인식 변화를 주제로 한 PBL에 학생으로 참여하지 않았더라도, 관련된 내용에 간접적으로 노출되는 것만으로도 직업에 대한 인식이 달라질 수 있다는 것이다. PBL을 적용한 교육은 참여 학생에게 효과적이나 많은 학생을 대상으로 하기에는 제한점이 따른다. 본 연구결과는 직접적 PBL 참여가 아닌 간접적 방법을 활용하더라도 사람들의 인식 변화에 긍정적 영향을 줄 수 있음을 시사한다. 특정 직업에 대한 이미지는 그 직업을 수행하는 당사자의 직업적 가치관에도 영향을 주는 것은 물론, 청소년 및 대학생이 졸업 후 진로를 결정할 때 중요한 요인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본 연구가 제시하는 결과는 사회적 함의가 있다[27,28]. 본 PBL 성과발표회를 통해 대상으로 선정된 작품은 유튜브를 비롯한 소셜 미디어에 게재되어 2020년 12월 기준 10만 뷰(view)를 달성하는 등 미디어를 통한 광고효과 면에서도 성공적이었다(Figure 2 참조). 대중을 대상으로 한 간호사에 대한 긍정적 인식 변화를 위해 PBL 등을 통해 산출된 일반인들의 콘텐츠를 소셜 미디어 캠페인에 활용하는 소셜 미디어 소통 전략을 강화해야 할 것이다. 또, 향후 연구에서는 소셜 미디어를 통해 간호사 인식개선 동영상에 노출된 대중들의 인식 변화까지도 측정하는 보다 확대된 후속 연구도 필요할 것이다.

PBL(problem based learning) social media content outcomes

결론 및 제언

본 연구는 간호사에 대한 일반인의 인식을 개선하는 데 있어 PBL 수업의 효과성을 살펴보고자 했으며, 향후 간호사에 대한 인식개선을 위한 미디어 활용 캠페인 전략의 기초 토대를 마련하고자 했다. 연구결과, 간호사에 대한 참여자의 인식은 PBL 전보다 PBL 후 긍정적으로 변화한 것을 확인했다. 또한, PBL 프로그램 성과발표회를 참관한 그룹이 미참여한 그룹에 비해 간호사에 대한 인식이 긍정적임을 규명했다.

그러나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제한점을 지닌다. 첫째, 본 PBL은 특정 대학교의 여성 학생을 대상으로만 진행된 이유로, 연구결과를 일반화하기에는 부족하다. 더 넓은 연구대상을 포함한 추가 연구가 요구된다. 둘째, 본 연구의 연구 대상자가 적기 때문에, 후속 연구에서는 더 많은 수의 연구대상을 모집하여 PBL 프로그램을 통한 인식개선의 효과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 예컨대, 다수 학교의 다양한 전공생들을 대상으로 동일 프로그램을 진행한 후 그 결과를 비교해보는 것도 의미가 있을 것이다. 셋째, 본 연구는 연구대상 모집과정에서 실험연구로서 완벽하게 통제하기 어려웠던 점을 제한점으로 보았다. 수도권에 있는 특정 여자대학교와 간호협회 간 협약으로 이루어진 PBL 수업을 기반으로 하였고, 이에 참여한 사람을 연구대상으로 삼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수업에 참여할 학생을 모집하는 과정에서 간호학과 등 특정 학과만을 대상으로 한 것이 아니라, 본교 학생 중 영상 콘텐츠 제작에 관심을 가진 누구나 신청할 수 있도록 했다. 또한 성과발표회에 참석하는 학생들도 특정 과에 제한을 두지 않았다는 점도 함께 명시한다. 추후 연구에서는 실험연구의 통제성을 더 확보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본 연구는 간호학과 미디어학을 융합한 PBL 수업에 관한 연구로 향후 간호학을 중심으로 한 학제적 연구에 관련하여 참고할 연구가 될 수 있다는 점에서 학술적 의미를 지닌다. 또, 본 연구가 다룬 PBL을 통해 간호사에 대한 사회적 인식을 바꾸는 공익적 가치를 실현함과 동시에 학습자들의 미디어 실무 능력을 높이는 교육적 성과까지 거뒀다는 점에서 교육적인 함의 역시 크다. 본 연구에서 다룬 융합 PBL 수업들이 국내외 대학들에 확대되어 진행되길 고대한다. 또, 향후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간호사에 대한 인식개선을 위해 더 전문적이고 학제적인 연구 및 교육이 늘어갈 것을 기대한다.

Conflicts of Interest

No potential conflict of interest relevant to this article was reported.

Funding

None

Acknowledgements

This study was supported by the Korean Nurses Association.

Supplementary materials

None

Cho W Repeated controversy over 'sexual objectification'of nurses Concerns about media impact [Internet] Seoul Medipana 2020 cited 2020 December 10 Available from: http://medipana.com/news/news_viewer.asp?NewsNum=263693&MainKind=A&NewsKind=5&vCount=12&vKind=1 Kim HJ Kim HO A study on image of the nurs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01 7 1 97 110 Jung MS Kang YS The image of nursing projected in newspaper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1993 23 1 16 28 Shin MS Kim NH Nurses'image perceived by the public:Subjective image of nurses and the image of nurses in mass media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2012 14 2 937 948 Park SA Park SG Lee CM Yun MR Hwang KY Images of nurses portrayed in internet newspapers Culture and Convergence 2017 39 6 677 700 Yom YH Kim KH Son HS Lee JM Jeon JH Kim MA An analysis of the image of nurses portrayed on Korean TV dramas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2015 21 3 412 423 https://doi.org/10.22650/JKCNR.2015.21.3.412 Park SA Kwon HJ Kim HJ The portrayal of nurses and physicians in hospital administration journals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2010 16 2 33 42 Im ML Research on contents analysis on image of nursing on television drama Health &Nursing 1995 7 64 83 Yang IS A study on the image of nurses and determinants the imag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1998 4 2 289 306 Jeon YS A study on the content analysis of the job of secretary described in the television drama female secretary Korean Business Education Review 2005 6 121 141 Bridges JM Literature review on the images of the nurse and nursing in the media Journal of Advanced Nursing 1990 15 7 850 854 https://doi.org/10.1111/j.1365-2648.1990. tb01917.x Song HS Lim SH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bullying measurement in Korean nurses'workplac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20 12 478 487 Fletcher K Image:Changing how women nurses think about themselves. Literature review Journal of Advanced Nursing 2007 58 3 207 215 Takase M Maude P Manias E Impact of perceived public image of nursing on nurses'work behavior Journal of Advanced Nursing 2006 53 3 222 343 Yu SY What is perceived the image of nurses?:Comparison major and non-major student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2014 12 10 353 361 Kang M Park YJ Choi S Lee SJ The effect of PBL (problem-based learning) on academic resilience learning flow and academic motivation of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2018 19 6 291 298 https://doi.org/10/5762/KAIS.2018.19.6.291 Barrows HS Tamblyn RM Problem-based learning:An approach to medical education New York Springer Publishing Company 1980 1 205 Kim KH A qualitative study on the learning outcome of PBL instruction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2017 17 12 191 201 https://doi.org/10.5392/JKCA. 2017.17.12.191 Koh EH Research on instructional improvement of faculty with action learning The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Methodology Studies 2013 25 1 69 94 https://doi.org/10. 17927/tkjems.2013.25.1.69 Son YJ Song YA Choi EY Effects of problem-based learning of nursing student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2010 17 1 82 89 Kang SJ Kim EJ Shin HJ Convergence study about problem-based learning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problem solving skills academic self-efficacy, motivation toward learning of nursing student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2016 7 2 33 41 https://doi.org/10. 15207/JKCS.2016.7.2.033 Lee IS Park CS Park HO The effectiveness of problem based learning (PBL) across learning styles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2013 14 11 5658 5671 https://doi.org/ 10.5762/KAIS.2013.14.11.5658 Heo E Kim E Park M Lee J A study on the research trend of the nursing image in Korea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 2020 11 5 2257 2271 Yang, JJ Nurses'image perceived by student nurses before and after their first clinical practice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2003 9 1 64 72 Cronbach LJ Shavelson RJ My current thoughts on coefficient alpha and successor procedures Educational and Psychological Measurement 2004 64 3 391 418 Yun SY Choi JY A comparative study on learning outcomes according to the integration sequences of S-PBL in nursing students:Randomized crossover desig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9 49 1 92 103 Yoon EJ A study on the type of hospital nurses'professional nursing image:A Q-methodological approach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1996 2 2 17 42 Kim BS Jang BK The influence of self-congruity between preference vocational image and self-image on university student's career path The Journal of Career Education Research 2007 20 1 27 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