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 Korean Acad Soc Nurs Educ Search

CLOSE


J Korean Acad Soc Nurs Educ > Volume 19(4); 2013 > Article
Kim, Lee, and Eo: Clinical Practice Performance According to Type of Practices and Satisfaction of Clinical Practice in Students at Child Health Nursing

Abstract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clinical practice performance according to type of practice in students in pediatric nursing and the relationship with satisfaction of clinical practice. Methods: The subjects consisted of 531 nursing students (307 at a pediatric ward and 224 at a nursery) from 5 colleges of nursing. Data collected from March to June 2012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VONA and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Results: Clinical practice performance on direct nursing activity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the course on pediatric nursing, grade point average, and satisfaction of nursing major. Observation practice was different according to type of college, the course on pediatric nursing, grade point average, duration of practice and clinical educator in the pediatric ward. In the nursery, direct nursing activity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the type of college, the course on pediatric nursing, hospital type, and duration of practice. Observation practice was different according to type of college, satisfaction of a nursing major, and the clinical educator. In addition, significant correlations were found between clinical practice performance and satisfaction of clinical practice. Conclusion: Our research can assist effective pediatric nursing practice planning for nursing students.

서 론

연구의 필요성

간호전문가를 양성하는 간호학 교육과정은 이론교육 뿐 아니라 임상현장에서 대상자의 건강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실무능력을 함양하기 위한 임상실습 교육이 필수적이다. 임상실습 교육을 통해 이론적 지식을 적용하여 실무 능력을 배양할 수 있고 간호수행에 필요한 전문가로서의 태도와 가치관을 형성할 수 있는 기회를 갖게 된다.
특히 아동간호학의 임상실습은 성인과는 달리 가족의 한 구성원으로서 아동의 안녕에 초점을 두어야 하며, 아동의 요구와 대처 능력은 성장발달 단계에 따라 달라지므로 간호수행에는 성장발달 수준을 반영해야 한다는 점에서 다른 실습과 차이가 있다(Kwon, 2002). 이러한 실습교육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성장발달 단계에 있는 아동을 대상자로 실습해야 하므로 아동간호학 실습은 주로 입원아동과 신생아를 대상으로 이루어진다(Park, Tak, & Kang, 2006).
하지만 저출산이라는 사회적 문제와 소수의 소아과 병동을 운영하는 의료현장의 구조로 인해서 신생아와 소아과 환자는 계속 감소하는 추세이다. 더구나 최근 간호교육 기관이 200여개로 급증했지만 부속병원을 가지고 있는 경우가 41개교임에 불과함을 감안할 때, 아동간호실습 현장은 더욱 부족해질 전망이다(Song & Kim, 2013). 또한 신생아와 소아 환자라는 취약한 대상자와 그 부모를 포함하는 실습이기 때문에 아동실습을 하는 학생들은 다른 어는 실습보다 직접적 실습기회를 갖기가 어렵다(Shin & Shim, 2010).
실무과학으로서 간호학은 실습교육을 통해 임상실무능력을 키우는 것이 필수적이다(Shepherd, Kelly, Skene, & White, 2007). 그러나 최근의 임상실습환경은 졸업 후 신규간호사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임상수행을 하는데 제한점을 가지고 있다(Cho & Kwon, 2007). 또한 임상실습 교육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학생들의 임상실습만족도가 높아야 하지만 실습환경의 제한 요인으로 학생들의 실습만족도 역시 낮아지고 있다(Kim, Jang, Park, & Song, 2011; Park & Han, 2011; Yang & Moon, 2011).
아동간호실습 현장과 실습수행이 제한됨에 따라 아동간호실습은 간호교육 기관마다 다양한 형태로 운영되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는데, 실습 학점, 실습 학년, 실습 병원, 실습 지도자 등에서 학교마다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Kwon, 2002; Park et al., 2006). 실습병원이 대학병원, 종합병원, 전문병원 등으로 확장되면서 실습여건 또한 학교마다 다양해지고 있어 실습여건의 개선을 위해서는 실습운영형태에 따라 임상실습수행에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확인해 볼 필요가 있다.
아동간호실습은 다른 간호교육 실습보다 많은 제한점을 가지고 있으나 실제 아동간호실습에 대한 연구는 소수에 그치고 있다. 아동간호학 실습교육의 현황(Kwon, 2002; Park et al., 2006)에 관한 연구와 시뮬레이션 실습경험(Shin & Shim, 2010), 그리고 아동간호학 학내실습이 신생아 간호 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Kim, An, & Park, 2012)를 보고하는 연구들이 진행되었으나 아동간호 실습형태에 따라 학생들의 임상실습수행도을 파악하는 연구는 찾을 수 없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아동간호실습 환경이 취약해지고 있는 현 시점에서 다양한 아동간호실습 운영형태에 따라 학생들의 임상실습수행 정도가 어떻게 다른지 확인하고 실습만족도와는 어떤 관계가 있는지 파악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학생들의 임상실습수행을 향상시키고 실습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보고자 한다.

연구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아동간호실습 운영형태에 따라 간호학생의 임상실습수행 정도를 확인하고, 임상실습수행도과 실습만족도의 관계를 파악하는데 있으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간호대학생의 아동간호실습 운영 현황을 파악한다.
• 간호대학생의 아동간호실습 운영 형태에 따른 임상실습수행 정도를 파악한다.
• 간호대학생의 아동간호 임상실습수행도와 실습만족도 간의 관계를 파악한다.

용어 정의

● 아동간호 임상실습수행도

임상실습수행도는 간호학생이 임상실습에 참여하여 직접간호를 수행하거나 간호행위를 관찰하는 것으로 본 연구자가 개발한 아동간호실습 체크리스트에 직접간호나 관찰을 했다고 표기한 경우를 각 1점씩 부여한 것으로 점수가 높을수록 아동간호 실습학생이 임상에서의 직접적실습수행이나 관찰실습의 정도가 많은 것을 의미한다.

연구 방법

연구 설계

본 연구는 아동간호실습 운영형태에 따른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수행도를 파악하고, 실습만족도 와의 관계를 파악하는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연구 대상 및 자료 수집 방법

본 연구는 경기, 전북, 전남, 충북, 경북 등에 소재한 5개 대학에서의 아동간호실습을 하고 있는 간호학생을 대상자로 편의 추출하였다. 연구자가 각 학교의 아동전임교수에게 연구의 목적을 설명하고 허락을 구한 후에 자료수집 기간 동안 신생아 또는 소아과 실습을 마치고 실습집담회에 참여한 간호대학생에게 연구의 목적과 참여에 대한 서면동의를 구하고 자료를 수집하였다. 설문지에는 참여여부와 연구참여의 중단은 대상자의 자율적인 의지에 있음을 명시하였고 설문조사의 내용은 무기명을 유지할 것을 약속하였다. 2012년 3월부터 6월까지 5개 대학 587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포하여 543부를 회수(회수율 92.5%)하였으나 불충분한 설문지 12부를 제외하고 소아과 실습학생 307명과 신생아 실습학생 224명의 자료가 최종분석에 포함되었다. 각 대상자 수는 G-power 3.1.5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산정하였으며 상관관계 양측검정에서 유의 수준 .05, 중간크기의 효과크기 .30, 검정력 95%를 기준으로 하였을 때 134명이 산출되어 최소 표본 수를 충족하였다.

연구 도구

● 일반적 특성 및 실습운영현황

일반적 특성 및 실습운영형태에 관한 문항은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과 관련한 문헌고찰을 토대로 연구자가 선정하였다. 학제, 학년, 연령, 성별, 입학 동기, 전공 만족도, 평균 평점 등의 일반적 특성 7문항과 아동간호 이론수업의 수강여부, 실습병원 형태, 실습 기간, 실습 지도자 등의 실습운영형태에 관한 4문항으로 구성하였다.

● 아동간호 임상실습수행도

아동간호 임상실습수행 정도를 측정하기 위해 교육경력 6년 이상의 아동간호학 전공교수 3인이 아동실습 시 사용하고 있는 실습 체크리스트를 취합하여 실습학생이 경험해야 하는 문항별 내용타당도 지수가 0.8 이상의 항목을 최종 선택했다. 신생아실습 체크리스트는 21개 항목의 총 69문항으로, 소아과실습 체크리스트는 32개 항목의 총 83문항으로 최종 구성되었다. 각 항목의 실습을 시행한 경우와 관찰한 경우를 각 1점으로 처리하여 점수의 범위는 신생아실습이 0~69점, 소아과실습이 0~83점을 이룬다.

● 실습만족도

실습만족도를 측정하기 위해 Lee (1980)가 개발하고 Lee (2006)가 수정, 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본 도구는 5점 척도의 27문항으로 구성되었으며 점수가 높을수록 임상실습에 대한 만족도가 높음을 의미한다. Lee (2006) 연구에서 신뢰도 Cronbach's α는 .86이었고, 본 연구에서 Cronbach's α는 .87이었다.

자료 분석 방법

자료 분석으로 SPSS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빈도와 백분율 및 평균과 표준편차를, 일반적 특성 및 실습운영형태에 따른 임상실습수행도는 t-test와 ANOVA로 분석하였고 임상실습수행도와 실습만족도 간의 상관관계는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일반적 특성 및 실습운영현황

소아과 실습 학생의 경우는 4년제가 69.4%고 3학년이 48.8%로 나타났다. 아동간호강의를 1학기 이상 수강하고 나서 소아과 실습을 하고 있다고 응답한 경우가 54.7%였으며 실습병원은 대학병원이 85.4%였다. 실습기간은 79.5%가 2주간 실습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실습지도는 전공교수나 강사가 하는 경우가 51.5%로 나타났다<Table 1>.
신생아 실습 학생의 경우는 3년제가 73.7%고 3학년이 64.2%로 나타났다. 현재 아동강의를 수강하면서 신생아 실습을 하고 있다고 응답한 경우가 56.7%였으며 실습병원은 대학병원이 60.7%였으나 전문병원인 경우도 24.6%를 나타냈다. 실습기간은 61.6%가 1주간 실습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실습지도는 전공교수나 강사가 하는 경우가 61.1%로 나타났다<Table 1>.
<Table 1>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and Type of Clinical Practice

Variables Pediatric practice(n=307) Nursery practice(n=224)
n(%) Mean±SD n(%) Mean±SD
Type of college Aassociate 92(30.6) 165(73.7)
Bachelor 209(69.4) 59(26.3)
Grade 2nd 77(25.6) 78(35.8)
3rd 147(48.8) 140(64.2)
4th 77(25.6) 0( 0.0)
Age(yr) 21.25±2.17 21.17±2.73
Gender Male 20( 6.6) 16( 7.1)
Female 284(93.4) 208(92.9)
Motivation of admission Employment 178(59.5) 137(62.0)
Own intention 121(40.5) 84(38.0)
Satisfaction on nursing major Satisfaction 78(26.4) 209(95.5)
Usual 218(73.6) 10( 4.6)
Grade point average <3.5 106(35.9) 80(36.9)
≥3.5 189(64.0) 137(63.1)
Course on pediatric nursing >First semester 168(54.7) 97(43.3)
First semester 139(45.3) 127(56.7)
Hospital type General hospital 44(14.6) 33(14.7)
University hospital 258(85.4) 136(60.7)
Special hospital 0( 0.0) 55(24.6)
Duration of practice 1week 63(20.5) 138(61.6)
2weeks 244(79.5) 86(38.4)
Clinical education Professor or instructor 157(51.5) 137(61.1)
Clinical adjunct professor 148(48.5) 85(38.8)

Missing data excluded

일반적 특성 및 아동간호실습 운영형태에 따른 임상실습수행도

소아과 실습을 하는 학생이 임상에서 직접간호실습을 수행하는 경우는 학과만족도(t=2.27, p=.024), 학생의 평균학점(t=-3.06, p=.002)과 이론수업을 1학기 이상 수강(t=2.52, p=.012)하고 실습하는 경우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또한 임상에서 관찰실습을 하는 경우는 학제(t=5.82, p<.001), 학점(t=-3.85, p<.001), 이론수업의 수강여부(t=9.93, p<.001), 실습기간(t=-10.49, p<.001) 그리고 실습지도자(t=2.85, p=.005)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Table 2>.
<Table 2>

Clinical Practice Experience in Pediatric War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N=307)

Variables Direct nursing
activity
t p Observation
practice
t p
School type Associate 11.34±9.59 -1.01 .314 61.85±25.99 5.82 <.001
Bachelor 12.41±7.91 44.57±22.68
Motivation of admission Employment 11.89±8.32 0.10 .920 50.62±25.17 1.22 .223
Own intention 11.79±8.52 47.01±25.02
Satisfaction on nursing major Satisfaction 13.70±10.41 2.27 .024 52.32±26.02 1.31 .189
Usual 11.19±7.52 47.94±24.85
Grade point average <3.5 9.97±6.29 -3.06 .002 42.28±23.32 -3.85 <.001
≥3.5 13.06±9.25 53.65±24.90
Course on pediatric nursing >First semester 13.01±9.18 2.52 .012 60.13±25.25 9.93 <.001
First semester 10.58±7.14 35.18±16.23
Hospital type General hospital 11.47±9.05 -0.36 .718 55.45±26.80 1.87 .062
University hospital 11.96±8.22 47.90±24.31
Duration of practice 1week 6.17±4.19 -6.51 <.001 23.96±8.01 -10.49 <.001
2weeks 13.45±8.61 55.87±23.75
Clinical educator Professor or instructor 12.78±7.71 1.72 .085 53.29±24.16 2.85 .005
Clinical adjunct professor 11.11±9.13 45.18±25.53
한편 신생아 실습을 하는 학생이 직접간호실습을 수행하는 경우는 학제(t=2.61, p=.010), 이론수업의 수강여부(t=5.10, p<.001), 실습병원(t=4.98, p=.008), 실습기간(t=-2.88, p=.004)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그리고 관찰실습을 하는 경우는 학제(t=3.35, p=.001), 학과만족도(t=2.07, p=.040), 실습지도자(t=-2.06, p=.040)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Table 3>.
<Table 3>

Clinical Practice Performance in Nursery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N=224)

Variables Direct nursing
activity
t p Observation
practice
t p
School type Associate 18.76±13.94 2.61 .010 59.26±19.37 3.35 .001
Bachelor 23.93±9.95 68.35±12.57
Motivation of admission Employment 19.09±12.77 -1.22 .224 62.30±17.05 0.68 .497
Own intention 21.32±13.77 60.57±20.40
Satisfaction
on nursing major
Satisfaction 20.15±13.26 0.85 .392 62.47±18.25 2.07 .040
Usual 16.50±10.59 50.30±15.96
Grade point average <3.5 20.47±12.38 0.07 .937 60.71±17.69 -1.034 .302
≥3.5 20.32±13.66 63.32±18.05
Course on pediatric nursing >First semester 15.24±12.90 5.10 <.001 63.86±21.39 -1.58 .114
First semester 23.85±12.19 59.97±15.30
Hospital type General hospital 19.93±16.04 4.98 .008 63.69±17.97 2.51 .083
University hospital 18.27±12.15 63.08±18.33
Special hospital 24.81±12.87 56.90±17.69
Duration of practice 1week 18.15±12.89 -2.88 .004 60.79±15.54 -0.883 .378
2weeks 23.30±13.11 63.00±21.81
Clinical Professor or instructor 18.89±12.90 -1.84 .066 59.72±19.57 -2.06 .040
Educator Clinical adjunct professor 22.23±13.48 64.90±15.48

임상실습수행도와 실습만족도 간의 상관관계

소아과 실습에서 직접간호실습을 하는 경우가 많을수록 실습만족도(r=.20, p=.017)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고 관찰실습이 많은 경우도 실습만족도(r=.19, p=.001)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신생아 실습에서도 직접간호실습을 수행(r=.15, p=.027)하거나 관찰실습(r=.18, p=.009)을 하는 경우가 많을수록 실습만족도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Table 4>.
<Table 4>

Correlation among Variables

Variables Direct nursing activity(p) Observation on nursing(p)
Satisfaction of
clinical practice
Pediatric ward .20(.017) .19(.001)
Nursery .15(.027) .18(.009)

논 의

본 연구는 신생아실과 소아과의 실습 환경이 부족해져가는 현실에서 다양하게 운영되는 아동간호실습 운영형태에 따라 실습학생의 임상실습수행도에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고 학생들의 실습 만족도와의 상관관계를 파악하여 아동간호 실습운영에 대한 효율적인 방안을 모색해보고자 시도되었다.
연구 결과, 소아과 실습은 과반수이상이 1학기 이상의 아동간호 이론강의를 수강하고 이루어지고 있으며 신생아 실습은 아동간호 이론을 처음 수강하면서 실습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아동간호의 일반적인 교과과정 상 신생아 부분의 이론수업이 먼저 이루어지면서 신생아 실습도 우선 시 되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또한 아동간호 이론강의를 먼저 수강하고 나서 소아과 실습을 하는 학생은 직접간호실습과 관찰실습을 더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난 결과를 볼 때 이론강의를 수강하고 나서 소아과 실습을 하는 것이 임상실습수행을 더 촉진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그러나 신생아 실습의 경우는 수업을 하면서 임상실습에 임하는 경우가 임상실습수행이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여기에는 첫 실습학기에 있는 간호학생의 긴장감과 의욕이 실습교육에 효과적으로 작용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Sheu, Lin, & Hwang, 2002; Xabier et al., 2007).
최근 아동간호실습 현장이 축소되고 실습학생은 많아지면서 아동실습운영에 다양한 방안이 모색되고 있다. 이론을 먼저하고 실습을 하거나 이론과 실습을 병행하기도 하고 실습현장의 인원을 줄이기 위해 이론수업과 상관없이 소아과와 신생아 실습을 병행 운영하기도 한다. 하지만 본 연구결과를 볼 때, 소아과 실습의 임상실습수행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이론수업이 선행되는 것이 바람직하겠다.
한편 실습기간은 1주 또는 2주로 나타났는데 연구결과 실습기간이 긴 경우에 임상실습수행이 더 많았다. 일반적으로 아동간호실습은 소아과가 2학점, 신생아가 1학점으로 운영되고 있으나(Park et al., 2006), 본 연구결과 소아과 실습을 1주간 하는 경우도 20.5%를 나타냈다. 최근에 들어 아동간호실습 학점은 점차 축소되고 있다(Kwon, 2002; Park et al., 2006). 아마도 소아과 병동과 신생아실 실습지가 적어지면서 실습운영을 위한 현실적 방안으로 실습학점을 축소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실습기간에 따라 임상실습수행에서 직접간호실습과 관찰실습이 차이가 있다는 점을 고려한다면 학생들의 효과적인 실습을 위해서는 아동실습학점을 유지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 볼 필요가 있다. 최근 아동실습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임상뿐만 아니라 재활원이나 외래 그리고 어린이집 등으로 실습현장을 확대하고 있다(Park et al., 2006). 임상실습과 함께 아동의 성장발달을 확인할 수 있는 경험을 하는 것은 더없이 바람직하겠지만 임상실습을 대체하는 것이라면 아동간호실습 교육목적을 달성하기는 부족할 것으로 사료된다. 이처럼 아동간호실습의 여건이 점차 어려워지면서 실습운영형태를 조율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지만 간호학생을 위한 효율적인 임상실습교육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다.
신생아 실습의 경우는 전문병원에서 실습을 하는 경우가 직접간호를 더 많이 수행하는 것으로 나타나 종합병원과 대학병원보다 간호학생의 직접 간호를 경험할 수 있는 기회가 더 많은 것을 시사하고 있다. 출산율이 줄어들고 고위험 신생아는 늘어나면서 대학병원보다는 여성전문병원의 신생아 출산이 더 많아지고 있다(Health Insurance Review & Assessment Service, 2012). 일반적으로 학생들은 직접 간호에 참여하는 경우에 실습의 만족도가 더 높으므로(Shin & Shim, 2010) 신생아 실습의 경우는 학생들의 임상실습수행도를 촉진할 수 있는 전문병원을 활용하는 것이 좋은 방안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결과, 실습지도자에 따라서도 학생들의 임상실습수행도에는 차이가 있었다. 소아과 실습의 경우는 전공교수나 강사가 지도하는 경우에 관찰실습이 더 많았고 신생아 실습은 현장지도자가 임상실습을 지도하는 경우에 더 많았다. 실습 지도자로서 현장지도자가 적절하다는 의견이 많은 선행연구(Park et al., 2006; Song & Kim, 2013)와 본 연구결과를 종합해 볼 때 신생아실 같이 격리가 필요하여 접근이 용이하지 않은 곳은 현장지도자가 더 적합할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소아과 실습지도자에 대해서는 선행연구와 본 연구결과에 차이가 있어 추후 연구가 더 필요하겠다.
소아과 실습의 경우 학점에 따라 임상실습수행도에 차이가 나타나 선행연구(Lee et al., 2011)와 다른 결과를 보였다. 학점이 높은 학생의 경우가 학습에 대한 동기부여가 잘 되어 있고 이론적 지식도 풍부하여 임상실습에서 더 많이 배우고자 할 수 있기 때문인 것으로(Park & Jang, 2010) 추측되지만 선행연구가 일반적인 실습에 대한 결과이므로 아동실습수행에 관한 연구를 더 확장해서 명확히 비교할 필요가 있다.
아동간호실습을 하는 학생들의 임상실습수행도와 실습만족도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선행연구 결과(Yang, 2009; Yang & Park, 2004)를 뒷받침한다. 임상실습교육의 효과를 위해서는 임상실습의 만족도가 높아야 하고 그러기 위해서는 임상실습 환경을 긍정적으로 느껴 실습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때 실습 만족감이 커질 수 있다(Choi, 2009; Lewin, 2007).
따라서 이론수업 수강여부, 실습기간, 실습병원 그리고 실습지도자에 따라 아동간호 임상실습수행도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난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하여 아동간호실습에 관한 추후 연구를 확장하고 이러한 결과를 근거로 효과적인 아동간호 임상실습방안을 마련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결론 및 제언

출산율 감소와 소아환자 보호자의 과민 반응 등으로 아동간호 실습지가 축소되고 실습 환경은 취약해지고 있다. 따라서 아동간호 실습도 현실에 맞춰 다양한 형태로 운영되고 있는데 본 연구는 이러한 다양한 실습운영형태에 따라 간호학생의 임상실습수행도에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파악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 결과, 소아과에서 직접간호실습을 수행하는 경우는 이론수업의 수강여부, 학점, 학과만족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관찰실습을 하는 경우는 학제, 이론수업의 수강여부, 학점, 실습기간 그리고 실습지도자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신생아 실습에서 직접간호를 수행하는 경우는 학제, 이론수업의 수강여부, 실습병원, 그리고 실습기간에 따라 차이가 있었고 관찰실습을 하는 경우는 학제, 학과만족도, 실습지도자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결론적으로 아동간호실습에서의 임상실습수행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학점 및 실습기간의 확장과 실습 전의 이론교육이 선행되는 것이 바람직하겠다. 특히 신생아 실습의 경우는 전문병원의 활용과 현장 지도자의 실습지도가 확대될 필요가 있다. 추후 연구에서는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아동간호 임상실습수행도에 영향을 미치는 연구를 제안하며 학생들이 임상실습에서 직접간호실습을 더 많이 경험할 수 있도록 임상실무 지도자와 간호교육자의 협력관계를 위한 방안마련을 제언하하고자 한다.

Acknowledgements

“This study was supported by the Gachon University research fund of 2013.” (GCU-2013-M003)
“이 논문은 2013년도 가천대학교 교내연구비 지원에 의한 결과임.”(GCU-2013-M003)

References

Cho, M. H, Kwon, I. S. A study on the clinical practice experiences on nursing activities of nursing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2007). 13(2):143-154.

Choi, G. Y.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ptions of nursing college students regarding clinical practice environment and related variables.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009). 21(1):129-139.

Health Insurance Review & Assessment Service. 2011 National health insurance statistical yearbook. Seoul: Health Insurance Review & Assessment Service. (2012.

Kim, I. S, Jang, Y. K, Park, S. H, Song, S. H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stress of clinical practice and clinical competence of nursing students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Society of Nursing Education(201117(3337-345
crossref
Kim, J. Y, An, M. S, Park, H. J. Effectiveness of infant care competence according to pediatric nursing practice at school. Korean Parent-Child Health Journal, (2012). 15(1):14-19.

Kwon, I. S. An analysis of research on clinical nursing educatio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02). 32(5):706-715.

Lee, E. J, Yi, Y. J, Kim, Y. S, Jo, H. S, Kim, H. S, Kim, Y. M, Park, K. H, Kim, J. SComparison of factors affecting clinical competence between 3-year and 4-year nursing students completed nursing courses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201117(2218-225
crossref
Lee, J. D. The study of preceptor-guided nursing students' critical thinking propensity, clinical competency and satisfaction for clinical practice.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Gwangju, (2006.

Lee, S. J. Level satisfaction on clinical practice of baccalaureate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1980). 10(2):41-52.

Lewin, DClinical learning environments for student nurses: key indices from two studies compared over a 25 year periodNurse Education Practice(20077(4238-246
crossref
Park, E. S, Tak, Y. R, Kang, K. A. Evaluation of clinical practicum for child health nursing for baccalaureate student nurses in Korea.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hild Health Nursing, (2006). 12(1):5-14.

Park, H. J, Jang, I. SStress, depression, coping styles and satisfaction of clinical practice in nursing students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201016(114-23
crossref
Park, W. J, Han, J. YThe effect of ego-resilience, stress coping styles, teaching, effectiveness, and family support on satisfaction of clinical practice in nursing students by AMOS structural equation model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Society of Nursing Education(201117(3365-375
crossref
Shepherd, I. A, Kelly, C. M, Skene, F. M, White, K. TEnhancing graduate nurses' health assessment knowledge and skills using low-fidelity adult human simulationSimulation in Healthcare(20072(116-24
crossref
Sheu, S. L, Lin, H. S, Hwang, S. LPerceived stress and physio-psycho-social status of nursing students during their initial period of clinical practice: the effect of coping behaviors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Studies(200239(2165-175
crossref
Shin, H. S, Shim, K. K. Nursing students' experiences on pediatric nursing simulation practice. Journal of East-West Research, (2010). 10(2):147-155.

Song, J. H, Kim, M. WStudy on clinical education for nursing in hospital in Korea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Society of Nursing Education(201319(2251-264
crossref
Xabier, Z. G, Xabier, H. E, Mari, J. U. I, Inma, E. G, Maite, B. L, Xabier, S. CStress source in nursing practice evaluation during nursing trainingNurse Education Today(200727(7777-787
crossref
Yang, J. JThe influencing factors on clinical competence of nursing students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200915(2159-165
crossref
Yang, J. J, Park, M. Y. The relationship of clinical competency and self-directed learning in nursing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2004). 10(2):271-277.

Yang, N. Y, Moon, S. YRelationship of self-leadership, stress and satisfaction in clinical practice of nursing students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201117(2216-225
crossref


ABOUT
BROWSE ARTICLES
FOR CONTRIBUTORS
Editorial Office
Department of Nursing,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1 Chungdae-ro, Seowon-gu, Cheongju-si, Chungcheongbuk-do, 28644, Korea
Tel: +82-43-249-1712    E-mail: spark2020@chungbuk.ac.kr                

Copyright © 2024 by The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