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 Korean Acad Soc Nurs Educ Search

CLOSE


J Korean Acad Soc Nurs Educ > Volume 29(1); 2023 > Article
임상 실습을 경험한 간호대학생의 사회적 지지 측정 도구 개발

Abstract

Purpose:

This methodological study developed a scale that reflects the social support characteristics of nursing students who have experienced clinical practice and verified their reliability and validity.

Methods:

The 37 initial items of the scale were derived based on the results of a previous study that analyzed the concept of nursing students’ social support. The initial items were revised through content validity verification, and 29 preliminary items were finally selected. Data were collected from 220 students enrolled in a nursing department in Jeollabuk-do, who had clinical practice experience, and 205 surveys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The data collection period was from March 11 to April 26, 2022. A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maximum likelihood factor extraction and varimax rotation.

Results:

The social support scale for nursing students who have experienced clinical practice consisted of a total of three sub-factors and 17 items. The three sub-factors were ‘support from family and friends’ (eight items), ‘support from school, professors, and clinical instructors’ (seven items) and ‘support from department seniors’ (two items). The reliability of the developed scale was found to be high, with a Cronbach’s alpha of .93.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criterion validity of the developed scal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criterion tool and the scale developed in this study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Conclusion: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it developed a scale to measure social support for the first time among nursing students in Korea.

서 론

연구의 필요성

간호대학생은 이론교육과 임상 실습을 병행하는 교과과정으로 인해 스트레스 수준이 높다[1-3]. 스트레스는 학습몰입, 임상 적응 능력, 우울 등에 영향을 미치므로[1,4-7] 간호대학생의 적응 증진을 위해 스트레스 감소에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 사회적 지지(social support)는 스트레스를 감소하여 힘과 기운을 북돋는 효과가 있어 스트레스 관련 연구에 많이 활용되고 있으며[2,4,8], 스트레스 상황에서 개인의 적응을 돕고 스트레스로 인한 부정적 영향을 완화하는 효과가 있다[9,10]. 사회적 지지에는 가족과 친구 등의 정서적 지지, 학업에 대한 교육적 지지, 문제해결을 위한 정보적 지지, 자신의 가치를 인정받고 존중받는 긍정적 평가 지지, 중요한 타인으로부터 받는 물질적 지지 등의 속성이 포함되므로[8,11] 다양한 측면에서 개인에게 지지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위와 같이 간호대학생의 사회적 지지는 스트레스 감소, 적응 능력 증진 등에 효과적이고 다양한 긍정적 지원을 제공하므로[8,12] 간호대학생의 스트레스 감소와 적응 증진을 위해 관심을 갖고 정확하게 측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특히, 간호대학생은 이론교육과 임상 실습을 병행하는 과정에서 생긴 스트레스를 감소시킬 수 있는 지원을 원하므로[8,13,14] 간호대학생의 사회적 지지를 측정할 때는 이런 부분이 고려되어야 한다.
국내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사회적 지지의 개념 분석을 시행한 Choi와 Park [8]의 연구에서 이론교육과 임상 실습 관련 특성이 반영된 8개의 사회적 지지 속성이 도출되었다. 8개 속성은 사회적 관계망, 교육적, 정서적, 물질적, 정보적, 긍정적 평가, 자아존중감 및 롤 모델 제공 지지였으며, 이와 관련된 이론교육과 임상 실습 관련 특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회적 관계망 지지에서는 가족과 친구뿐만 아니라 학교의 교수, 실습지도 교수, 선후배까지 그들의 사회적 관계망 체계로 인식하였고, 간호대학생은 임상 실습 동안에도 실습지도 교수, 현장지도자, 선후배의 교육적 지지가 필요하다고 인식하였다. 또한, 학과 친구 등으로부터 정서적 지지를 원하고, 학교에서 해외 연수, 자기 주도학습 등에 대한 물질적 지원을 받는 것도 필요하다고 인식하였다. 학업 관련 정보적 지지는 학과 동료 등으로부터 얻고 싶어 하였고, 학과 교수님, 간호사, 환자, 친구 등으로부터 자신에 대한 긍정적 평가, 자아존중감을 높일 수 있는 지지가 필요하다고 하였다. 자신이 닮고자 하는 이상적 롤 모델은 학교의 교수와 임상현장에서 만난 지도자를 뽑고 있다[8,14]. 따라서, 간호대학생의 사회적 지지를 측정할 때 이론교육과 임상실습 관련 특성이 잘 반영되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간호대학생의 사회적 지지를 측정하기 위해 국내에서 많이 활용된 도구는 Park [15]의 사회적 지지 척도, Oh 등[16]의 한국 사회적 지지 측정 도구, Nolten [17]의 Student Social Support Scale (SSSS), Zimet 등[18]의 Multidimensional Scale of Perceived Social Support (MSPSS)가 있다. 국내에서 최초로 사회적 지지 측정 도구를 개발한 Park [15]은 선행 문헌을 고찰하여 도출된 속성과 사회적 지지를 받은 사건 세 가지를 작성하여 도출된 속성을 통합하여 도구를 개발하였다. 도구 문항에는 ‘나는 거의 모든 부류의 사람과 어울려 지낼 수 있다’, ‘나는 스스로 가치 있는 사람이라고 느낀다’, ‘그들은 모두 나를 인격적으로 존중한다’, ‘그들은 모두 내가 결단을 못 내리고 망설일 때 결단을 내리게끔 자극을 주고 용기를 준다’ 등이 있다. 이 도구는 국내에서 최초로 개발된 사회적 지지 측정 도구이지만, 개발된 지 30년 이상 되었고 일반적인 사회적 지지(general social support)를 측정하기 위해 개발되어 간호대학생의 이론교육과 임상 실습 관련 특성을 고려한 사회적 지지를 측정하는 것에 한계가 있다. Oh 등[16]이 개발한 한국 사회적 지지 측정 도구는 다년간 사회적 지지 개념을 연구한 대학교수 7인이 도출한 속성 및 문항으로 도구를 개발하였다. 도구의 하부 요인으로 정, 믿음, 도움 요인을 구성하였고, 일반 대학생과 중년 대상자에게 설문지를 배포하여 총 32개 문항을 개발하였다. 도구의 문항을 살펴보면, ‘나를 챙겨준다’, ‘나를 이해한다’, ‘나에게 관심 있다’, ‘나와 공감한다’, ‘편안하다’ 등의 일반적인 사회적 지지를 묻는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도구도 전문가 집단이 도출한 사회적 지지 속성을 근거로 개발되었고 일반적인 사회적 지지를 측정하기 위해 개발되어 간호대학생의 이론교육과 임상 실습 관련 특성을 고려한 사회적 지지를 측정하는 것에 한계가 있다.
Nolten [17]의 SSSS는 미국에서 청소년을 대상으로 개발된 도구로 부모, 교사, 친구로부터 받은 지지를 측정하는 도구이다. 본 도구는 적용 대상이 청소년이고 외국에서 개발된 도구이다. 따라서, 국내 간호대학생에게 적용하기 위해서는 먼저 간호대학생에게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는 절차가 필요하다[19]. 이 도구는 개발 당시에 4개 하부 영역, 총 60개 문항으로 구성된 도구이지만, 국내에서 적절한 타당화 과정 없이 임의로 3개 하부 영역, 총 27개 문항으로 사용되고 있고, 도구 제목도 한국어로 번안하지 않고 영어로 사용하고 있다[20]. 이 도구는 초등학생과 중학생을 대상으로 개발된 도구로 간호대학생의 사회적 지지 특성을 측정하기에는 제한점이 있다. Zimet 등[18]의 MSPSS는 국외에서 일반 대학생을 대상으로 개발된 도구로 가족, 친구, 의미 있는 타인의 지지를 측정하는 도구이다. 이 도구 역시 외국에서 일반 대학생을 대상으로 개발되었으므로 국내 간호대학생에게 적용하기 위해서는 먼저 국내 간호대학생에게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는 절차가 필요하다. 그러나, 이 도구도 국내에서 적절한 타당화 과정 없이 임의로 사용되고 있고, 도구 제목도 한국어로 번안하지 않고 사용되고 있다[21]. 이 도구 또한 일반 대학생을 대상으로 개발되기는 하였지만, 간호대학생에 초점을 맞추어 개발된 것이 아니므로 간호대학생의 사회적 지지 특성을 반영하지 못한 한계가 있다.
개념을 측정하는 도구는 사용 대상자의 특성을 반영하여 개발하는 것이 필요하다[22]. 위에서 살펴본 도구들은 간호대학생에 초점을 맞추어 개발된 도구가 아니며, 일반 대학생, 일반인, 청소년을 대상으로 개발된 도구로 간호대학생의 사회적 지지의 속성으로 도출된 이론교육과 임상 실습 관련 특성[8]을 반영하지 못한 한계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선행연구를 통해 도출된 사회적 지지의 특성인 이론교육과 임상 실습 관련 특성[8]을 반영한 도구를 개발하고자 하며, 이를 위해 임상 실습 경험이 있는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도구를 개발하고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고자 한다.

연구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임상 실습을 경험한 간호대학생의 사회적 지지를 측정하는 도구를 개발하고 검증하는 것이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첫째, 임상 실습을 경험한 간호대학생의 사회적 지지 측정 도구를 개발한다.

  • 둘째, 도구의 구성 타당도를 검증한다.

  • 셋째, 도구의 준거 타당도를 검증한다.

  • 넷째, 도구의 신뢰도를 검증한다.

연구 방법

연구 설계

본 연구는 임상 실습을 경험한 간호대학생의 사회적 지지를 측정하는 도구를 개발하고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는 방법론적 연구이다.

본 연구의 개념적 기틀

본 연구는 혼종 모형(hybrid model)을 이용하여 간호대학생의 사회적 지지의 개념을 분석한 Choi와 Park [8]의 연구에서 도출된 8개의 하부 속성을 본 도구의 하부 구성개념으로 활용하였다. 즉, 이론 단계(theoretical stage)에서 사회적 관계망, 교육적, 정서적, 정보적, 물질적, 긍정적 평가, 자아존중감, 롤 모델 제공 지지의 8개 하부 속성이 도출되었고, 현장 단계(fieldwork stage)에서 17명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통해 8개 하부 속성이 다시 한번 확인되었다[8]. 첫째, 사회적 관계망 지지는 개인이 친밀하게 지내는 지지 그룹의 크기, 접촉 빈도이다. 둘째, 교육적 지지는 이론교육과 임상 실습 관련 지지로 학과 지도교수, 임상현장지도자, 임상 실습 지도교수, 학교 선배로부터 학업적 지지 및 정보 제공, 가족으로부터 학업 관련 지지, 학교에서 제공되는 지지(예: 소그룹 수업, 학습증진 센터 등) 등이다. 셋째, 정서적 관심과 지지는 가족, 친구 등으로부터 신뢰, 관심, 공감 등의 정서적 관심 또는 지지를 받는 것이며, 가족과 친구 지지가 포함된다. 넷째, 정보적 지지는 개인이 문제를 해결하고 대처하도록 돕는 정보를 제공받는 것이다. 다섯째, 물질적 또는 도구적 지지는 개인에게 제공되는 물질적 지원이나 경제적 도움을 의미한다. 여섯째, 긍정적 평가 지지는 학과 교수, 친구, 간호사, 환자 등으로부터 자기 자신에 대한 긍정적 평가 지지 정도이다. 일곱째, 자기 존중감 지지는 학과 친구, 후배 등으로부터 자신의 능력, 행동 등을 존중받는 것이다. 여덟째, 롤 모델 제공 지지는 교수 또는 멘토에 의한 지지로 학생들에게 모범이 되는 롤 모델을 제공해 주는 것이다.

연구 대상자

본 연구의 대상자는 전북에 있는 2개 간호학과에 재학 중인 학생으로 연구 참여에 자발적으로 동의한 대상자이다. 간호대학생의 사회적 지지 개념 분석에 관한 선행연구[8]에서 임상 실습 관련 사회적 지지 경험이 충분해야 한다고 제시한 내용을 근거로 본 연구에서는 8주 이상 임상 실습 경험이 있는 간호학과 4학년 학생을 연구 대상자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는 2022년 1학기 초에 시행되어 3학년 학생들은 아직 임상 실습 경험이 없는 상태였기 때문에 연구 대상에서 제외되었다.
본 연구의 대상자 포함 기준은 다음과 같다. 간호학과 4학년에 재학 중인 학생이면서 임상 실습 경험이 8주 이상이고, 연구 참여에 자발적 동의를 한 대상자이다. 연구 대상자 제외 기준은 임상 실습 경험이 8주 미만이거나, 연구 참여에 동의하지 않은 학생이다.
도구 개발 시 구성 타당도 검증을 위해 필요한 대상자 수는 도구 예비문항의 5~10배 또는 200명 이상이다[23]. 본 연구는 200명 이상이라는 기준을 충족하기 위해 탈락률 10%를 고려하여 220명에게 설문 조사를 시행하였고, 이 중 212부의 설문지가 회수되었다. 회수된 설문지 중 설문 응답이 불충분한 7부를 제외하고 총 205부를 자료 분석에 최종적으로 활용하였다.

연구 절차

본 연구는 도구 개발 단계 및 검증 단계로 구성된다. 도구 개발 단계는 도구의 예비문항 개발, 내용 타당도 검증, 예비 조사, 본 조사 시행이며, 도구 검증 단계는 문항 분석, 구성 타당도 검증, 준거 타당도 검증, 신뢰도 검증이다(Figure 1).
Figure 1
Procedure of this study
jkasne-29-1-5-g001.jpg

● 도구 개발 단계

∙ 예비문항 개발
8개 하부 요인에 해당하는 예비문항을 개발할 때에 연구 참여자의 주요 진술문을 참고로 하여 37개 문항을 개발하였고, 주요 진술문은 선행연구[8]에서 자료수집 되었던 심층 면담 내용을 연구자에게 사용승인을 받고 활용하였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사회적 관계망 지지는 ‘관계망의 크기’ 1문항, ‘접촉 빈도’ 1문항, 총 2개의 예비문항을 개발하였다. 교육적 지지는 ‘지도교수 지지’ 1문항, ‘임상현장지도자 지지’ 3문항, ‘실습 지도교수 지지’ 2문항, ‘선배 지지’ 2문항, ‘학교 지원’ 3문항, 총 11개의 예비문항을 개발하였다. 정서적 지지는 ‘가족 지지’ 2문항, ‘친구 지지’ 2문항, 총 4개의 문항을 개발하였으며, 정보적 지지는 ‘정보적 지지 자원’ 관련 총 4개의 문항을 개발하였다. 물질적 지지는 ‘경제적 지원’ 관련 총 6개의 문항을 개발하였으며, 긍정적 평가 지지는 ‘자신에 대한 긍정적 평가’ 관련 총 4개의 문항을 개발하였다. 자아존중감 지지는 ‘존중받음’ 관련 총 2개의 문항을 개발하였고, 롤 모델 제공 지지는 ‘모범이 되는 롤 모델 제공’ 관련 총 4개의 문항을 개발하였다.
∙ 내용 타당도 검증
간호학과 교수 5인에게 예비문항에 관한 내용 타당도를 검증받았다. 간호학과 교수 5인의 전공 분야는 아동, 성인, 여성이었으며, 교육 및 임상실습지도 경력은 15~22년이었다. 내용 타당도는 문항 내용 타당도 지수(Item Content Validity Index) 및 총점 내용 타당도 지수(Sum Content Validity Index)를 이용하여 검증하였으며, 문항 및 총점 내용 타당도 지수가 모두 1.00인(전문가 5인 모두가 ‘적절한 문항’으로 평가) 문항만을 최종 도구 문항으로 선정하였다. 문항 내용 타당도 지수는 예비문항 각각에 대한 내용 타당도 지수이고, 총점 내용 타당도 지수는 전체 예비문항에 관한 내용 타당도 지수이다. 내용 타당도 지수는 4점 Likert 척도로 구성되며, 1점(매우 적절하지 않음) 또는 2점(적절하지 않음)은 도구의 예비문항으로 적절하지 않은 문항이고, 3점(적절함) 또는 4점(매우 적절함)은 도구의 예비문항으로 적절한 문항이다[24]. 37개 예비문항이 처음에 개발되었고, 내용 타당도 검증과정을 통해 9개 문항이 제거되고 1개 문항이 추가되어 총 29개 예비문항이 설문 조사에 활용되었다. 내용 타당도 검증과정에서 제외된 문항은 5인의 전문가가 문항 내용 타당도 평가 점수를 1점 또는 2점을 부여한 항목이었다.
내용 타당도 검증 결과, 사회적 관계망 지지는 2개 문항이 그대로 포함되었고, 교육적 지지는 11개 문항 중 3개 문항이 제외되어 총 8개 문항이 포함되었다. 제외된 3개 문항은 ‘임상현장지도자는 임상실습에 도움이 되는 간호 정보를 제공해 준다’, ‘실습지도 교수는 사례 연구에 도움이 되는 정보를 제공한다’, ‘학교 또는 학과는 임상실습에 도움이 되는 교육 정보를 제공해준다’였다. 정서적 지지는 4개 문항이었으나, 내용 타당도 검증과정에서 ‘학과 교수 지지’ 1개 문항이 추가되어 총 5개 문항이 포함되었다. 추가된 문항은 ‘학과 지도교수님은 내가 힘들 때 정서적 지지를 제공한다’였다. 정보적 지지는 4개 문항에서 2개 문항이 제외되어 총 2개 문항이 포함되었고, 제외된 문항은 ‘나는 학과 지도교수님으로부터 필요한 정보를 제공받는다’, ‘나는 친구나 선후배로부터 필요한 정보를 얻는다’였다. 물질적 지지는 6개 문항 중 2개 문항이 제외되어 총 4개 문항이 포함되었고, 제외된 문항은 ‘학교 또는 학과는 영어 공부 관련 물질적 지원을 제공한다’, ‘학교 또는 학과는 국내외 연수 관련 재정적 지원을 제공한다’였다. 긍정적 평가 지지는 총 4개 문항이 그대로 포함되었고, 자아존중감 지지는 2개 문항 중에서 1개 문항이 제외되어 총 1개 문항만 포함되었다. 제외된 문항은 ‘나는 주변 타인으로부터 가치를 인정받고 있다’이었다. 롤 모델 제공 지지는 4개 문항 중에서 1개 문항이 제외되어 총 3개 문항이 포함되었고, 제외된 문항은 ‘나는 학과 지도교수님을 나의 롤모델로 생각한다’이었다. 따라서, 총 37개 예비문항 중에서 9개 문항이 제외되고 1개 문항이 새롭게 추가되어 총 29개 문항이 설문 문항으로 포함되었다.
∙ 예비 조사
본 연구의 예비 조사를 위해 전북 소재 4년제 간호학과에 재학 중인 학생 20명을 편의표집하여 최종 선정된 설문 문항에 대한 이해도를 확인하였다. 예비 조사 대상자의 연령 분포는 21~26세이며, 남학생 5명, 여학생 15명이었고, 임상 실습 경험은 10~12주였다. 예비 조사 결과, 설문 문항을 이해하는 것에 문제가 없어서 수정된 문항은 없었다.
∙ 본 조사
전북에 있는 4년제 간호학과에 재학 중인 학생 220명을 편의표집하여 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 중 총 212부의 설문지가 회수되었고, 자료 분석에는 총 205부의 자료가 최종적으로 활용되었다. 본 조사 시에 예비 조사에 참여했던 대상자는 제외하였다.

● 도구 검증 단계

∙ 문항 분석
본 연구에서 개발된 도구의 문항 분석을 위해 왜도 및 첨도 값을 확인하였고, 문항-총점 간의 상관관계를 확인하였다. 문항의 왜도는 절댓값 3 이상, 첨도는 절댓값 7 이상인 문항을 제거하였고, 문항-총점 간 상관관계는 .30 미만인 문항을 제거하였다[24].
∙ 구성 타당도 검증
본 조사에서 수집된 205부의 설문 자료를 이용하여 도구의 구성 타당도 검증을 위해 탐색적 요인 분석을 시행하였다[23].
∙ 준거 타당도 검증
준거 타당도는 연구에서 개발한 도구의 측정값을 이미 기존에 잘 활용되고 있는 준거 도구의 측정값과 비교함으로써 타당도를 확인한다[23]. 준거 타당도 검증을 위해 Oh 등[16]의 한국 사회적 지지 척도(준거 도구)와의 상관관계를 확인하였다. Oh 등[16]의 도구는 선행연구에서 간호대학생의 사회적 지지를 측정하기 위해 많이 활용되었던 도구이므로[25] 본 연구의 준거 도구로 활용하였으며, 총점 간의 상관관계를 비교하여 확인하였다. 준거 타당도 도구를 선택할 때, 오래전에 개발되었거나[15] 국내에서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지 않은 국외 도구는 제외하였다[17,18].
∙ 신뢰도 검증
도구의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해 Cronbach’s α 계수 및 문항 제거 시에 Cronbach’s α 계수를 확인하였다[24].

연구 도구

● 한국 사회적 지지 척도

Oh 등[16]이 개발한 한국 사회적 지지 척도를 원저자에게 사용승인을 받은 후에 사용하였다. 이 도구는 3개 하부 요인, 32문항으로 구성되며, ‘정 요인’ 15문항, ‘믿음 요인’ 6문항, ‘도움 요인’ 11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 문항은 ‘아주 많이 그렇지 않다’ 1점에서 ‘아주 많이 그렇다’ 5점까지 5점 Likert 척도로 측정되며, 점수가 높을수록 사회적 지지가 높음을 의미한다. Oh 등[16]의 연구에서 Cronbach’s α는 .93이었으며, 본 연구에서는 .99였다.

자료 수집 방법

예비 조사 및 본 조사 자료수집 기간은 2022년 3월 11일부터 4월 26일까지였으며, 전북에 있는 2개 간호학과에 재학 중인 4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이용하여 수집하였다. 설문지는 본 연구에서 개발된 사회적 지지 측정 도구(29문항), 준거 타당도 검증을 위한 Oh 등[16]의 한국 사회적 지지 척도(32문항), 일반적 특성을 묻는 문항(7문항)으로 구성되었으며, 설문 작성 소요 시간은 15~20분이었다. 해당 간호학과의 장에게 본 연구 목적 및 절차, 연구 참여 방법, 익명성과 비밀 보장, 연구 참여 철회 가능성 등에 관해 설명하고 자발적으로 참여에 동의한 학생에게 자료수집에 대한 허락을 받고 설문 조사하였으며, 해당 학과의 행정조교와 반 대표의 도움을 받아 설문지 및 동의서를 배포하고 회수하였다.

자료 분석 방법

수집된 자료는 SPSS 24.0 프로그램(IBM Corp., Armonk, NY, USA)을 활용하여 분석하였고 대상자의 특성은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로 분석하였다. 문항 분석을 위해 왜도 및 첨도 값을 확인하였고 왜도는 절댓값 3 이상, 첨도는 절댓값 7 이상인 문항을 일차적으로 제거하였고 문항-총점 간의 상관관계를 확인하여 .30 미만인 문항을 이차적으로 제거하였다. 수집된 자료가 탐색적 요인 분석을 수행하기에 적합한지를 확인하기 위해 Kaiser-Meyer -Olkin (KMO) 값 및 Bartlett의 구형성 검증 값을 확인하였다. 도구의 구성 타당도 검증을 위해 탐색적 요인 분석을 시행하였으며, 최대우도 요인 추출(maximum likelihood) 및 varimax 회전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고유값(eigen values) 1.00 이상인 요인만을 도구의 하부 요인으로 추출하였으며, 요인 부하량(factor loading)은 .50 이상인 문항만 포함하였고, 교차 요인 부하량(cross factor loading)은 .40 미만인 문항만 포함하였다[26]. 도구의 준거 타당도 검증을 위해 준거 도구와 본 연구에서 개발된 도구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고, 도구의 신뢰도 검증을 위해 Cronbach’s α 계수 및 문항 제거 시 Cronbach’s α 계수를 분석하였다.

연구의 윤리적 고려

본 연구의 예비문항 개발을 시작하기 전에 연구자가 소속된 국립군산대학교 생명윤리위원회의 승인(1040117-202112-HR-025-01)을 받았다. 대상자에게 연구의 목적, 익명성, 비밀 보장, 자발적 참여 및 연구 참여를 원하지 않을 때 언제든지 철회 가능성이 있음을 설명한 후 참여 의사를 밝힌 대상자에게만 서면 동의서를 받고 설문 조사를 시행하였다. 자발적 참여 의사를 위해 연구의 설명문을 학과의 행정조교와 반 대표의 도움을 받아 공지한 후, 참여 의사를 밝힌 대상자들만 별도 장소에 모이게 하여 설문 조사를 시행하였다. 본 연구에 참여한 일부 대상자들은 연구자가 소속된 기관의 학생들이었으나, 연구자에게 수업을 받거나 학점을 부여받는 관계가 아니었으며, 지도교수와 학생 간의 관계도 아니었다.
동의서와 설문지에는 개인 정보가 포함되지 않도록 하였고 수집된 설문지는 익명성과 비밀 보장을 위해 아이디 번호를 부여하여 자료 코딩을 하였으며, 자료 유출 예방을 위해 연구자의 개인 컴퓨터에 암호화된 파일로 저장하였다. 자료는 연구 목적 외에는 사용하지 않을 것이며, 연구 결과가 학회지에 게재되면 저장된 파일을 즉시 폐기할 것이다. 연구 참여에 대한 보상으로 소정의 사례품을 제공하였다.

연구 결과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본 연구에 참여한 대상자의 특성은 다음과 같다. 성별은 83.9% (172명)가 여학생이었고 평균 연령은 24.88±6.87세였으며, 임상 실습 경험은 평균 14.47±2.66주였다. 전공 만족도는 보통 49.3% (101명), 만족 48.8% (100명)였고, 학과 만족도는 보통 54.1% (111명), 만족 44.4% (91명)였다. 실습 만족도는 보통이 60.5% (124명)로 가장 많았고, 사회적 지지 제공자는 부모, 친구, 형제자매 등이었다.

문항 분석

문항 분석 결과, 왜도 범위는 -1.84~-0.02로 절댓값 3 이상의 문항이 없어서 제거된 문항은 없었으며, 첨도 범위는 -0.67~4.76으로 절댓값 7 이상인 문항이 없어서 역시 제거된 문항은 없었다(Table 1). 각 문항과 총점 간의 상관관계를 확인한 결과, .54~.78로 나타나 .30 미만인 문항이 없어서 제거된 문항은 없었다[24]. 따라서 총 29개 문항 그대로 구성 타당도 검증을 위한 탐색적 요인 분석에 활용되었다.
Table 1
Item Analysis (N=205)
Item number Minimum Maximum Mean Standard deviation Skewness Kurtosis
1 1.00 5.00 3.97 0.85 -0.78 1.01
2 1.00 5.00 3.88 0.90 -0.61 0.09
3 1.00 5.00 3.72 0.86 -0.69 0.57
4 1.00 5.00 4.01 0.72 -0.73 1.84
5 1.00 5.00 3.86 0.84 -0.66 0.61
6 1.00 5.00 4.07 0.74 -0.90 2.08
7 1.00 5.00 3.21 1.11 -0.34 -0.52
8 1.00 5.00 3.21 1.12 -0.18 -0.67
9 1.00 5.00 3.01 1.06 -0.02 -0.51
10 1.00 5.00 3.69 0.82 -0.34 0.22
11 1.00 5.00 3.45 1.00 -0.17 -0.47
12 1.00 5.00 4.34 0.83 -1.44 2.62
13 1.00 5.00 4.39 0.78 -1.43 2.64
14 1.00 5.00 4.33 0.72 -1.22 3.05
15 1.00 5.00 4.06 0.84 -1.09 2.11
16 1.00 5.00 3.65 0.97 -0.54 0.01
17 1.00 5.00 4.30 0.70 -1.19 3.45
18 1.00 5.00 3.97 0.91 -0.78 0.52
19 1.00 5.00 3.38 0.97 -0.15 -0.11
20 1.00 5.00 3.26 0.96 -0.05 -0.05
21 1.00 5.00 4.42 0.78 -1.84 4.76
22 1.00 5.00 4.21 0.77 -0.98 1.71
23 1.00 5.00 3.82 0.83 -0.43 0.28
24 1.00 5.00 3.71 1.00 -0.60 0.12
25 1.00 5.00 3.65 0.96 -0.46 0.13
26 1.00 5.00 3.87 0.86 -0.64 0.63
27 1.00 5.00 3.21 1.02 -0.13 -0.22
28 1.00 5.00 3.43 0.94 -0.34 0.29
29 1.00 5.00 3.27 1.03 -0.23 -0.24

구성 타당도 검증

탐색적 요인 분석을 시행하기 전, 자료가 요인 분석에 적합한지 확인하기 위해 KMO 값과 Bartlett의 구형성 검증을 시행하였다. 그 결과, KMO 값은 .90으로 요인 분석에 적합한 자료로 확인되었다. Bartlett의 구형성 검증은 요인 분석 모형으로서 적합한지를 확인하는 것이며, 유의확률 p값이 .05보다 작으면 요인 분석에 적합한 모형으로 판단된다. Bartlett의 구형성 검증 결과는 요인 분석에 적합한 모형으로 확인되었다(χ2=2701.50, p<.001). 탐색적 요인 분석을 시행하기 위해 varimax 회전 방식을 이용하여 최대우도 분석을 시행하였다.
1차 요인 분석을 시행한 결과, 각 문항의 공통성(communality)이 .28~.98로 나타났다. 공통성이 .50 미만인 문항은 제거해야 하므로 총 8개 문항이 제거되었다. 제거된 문항은 3번(.47), 5번(.39), 9번(.38), 16번(.28), 17번(.44), 18번(.40), 19번(.35), 23번(.43)이었으며, 구체적으로 3번 ‘학과 교수님은 학업에 도움이 되는 정보를 제공한다’, 5번 ‘임상현장지도자는 간호 술기 수행 기회를 제공한다’, 9번 ‘학교 또는 학과는 국내외 연수 기회를 제공한다’, 16번 ‘나는 서적을 통해서 필요한 정보를 찾는다’, 17번 ‘나는 인터넷 검색을 통해 필요한 정보를 찾는다’, 18번 ‘국가 또는 학교는 학업 지속을 위한 장학금을 지원한다’, 19번 ‘학교 또는 학과는 자기 계발 혹은 취업 관련 재정적 지원을 제공한다’, 23번 ‘나는 임상 실습 중 환자 간호에서 자부심을 느낀다’였다. 8개 문항을 제거한 후 2차 요인 분석을 시행하였다.
2차 요인 분석 결과, 4번 문항의 공통성이 .49로 나타나 4번 문항(임상현장지도자는 실습부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을 제거한 후에 다시 3차 요인 분석을 시행하였다. 그 결과, 모든 문항의 공통성이 .50 이상으로 나타나 더 제거된 문항은 없었다. 3차 요인 분석 결과, 고유값 1.00 이상인 요인 총 3개가 추출되었고, 요인들에 의한 설명 분산의 누적 백분율은 63.9%로 나타났다. 그러나 3차 요인 분석 결과, 6번, 10번, 26번 문항의 교차 요인 적재값이 .43, .42, .54로 나타나 해당하는 문항을 제거한 후에[26] 다시 4차 요인 분석을 시행하였다. 그 결과, 고유값 1.00 이상인 요인 총 3개가 그대로 추출되었고, 요인들에 의한 설명 분산의 누적 백분율은 65.1%로 나타났다(Table 2).
Table 2
Factor Analysis (N=205)
(Item number) Item content Communality Factor loading

Factor 1 Factor 2 Factor 3
(1) I have a lot of family, friends, and seniors and juniors who provide social support. .52 .62 .20 .23
(2) I often meet with family, friends, and seniors and juniors who provide social support. .55 .66 .22 .27
(12) My family provides emotional support. .72 .82 .21 .00
(13) My family trusts me. .77 .84 .24 .00
(14) My friends provide emotional support. .72 .83 .17 .08
(15) My friends provide support to help with academic life. .59 .66 .30 .26
(21) My family provides me financial support. .53 .72 .10 .07
(22) My friend gives me confidence. .65 .76 .26 .09
(11) The professors provide emotional support. .51 .30 .62 .17
(20) The school or department provides financial support for self-directed learning. .50 .19 .58 .34
(24) Clinical instructors praise me for a job well done. .50 .38 .51 .28
(25) The professor gives me praise and encouragement. .67 .36 .70 .20
(27) I perceive clinical instructor as my role models. .58 .11 .73 .20
(28) I want to imitate my professor’s meticulous consideration and attention. .88 .26 .89 .11
(29) I perceive my professor as my role model. .81 .16 .87 .14
(7) Department seniors provide information useful for clinical practice (e.g., notes on practice department, handover details, information on residence, etc.). .81 .12 .34 .82
(8) Department seniors provide academic information. .79 .17 .29 .83

Eigen value 8.24 2.52 1.24
Explained variance (%) 29.4 24.5 11.2
Cumulative variance (%) 29.4 53.9 65.1
각 요인은 포함된 문항의 특성을 반영해 다음과 같이 명명하였다. 제1요인에는 8개 문항이 포함되었고, ‘나에게는 사회적 지지를 제공해 주는 가족과 친구, 선후배가 많다’, ‘나는 사회적 지지를 제공해 주는 가족과 친구, 선후배와 자주 만난다’, ‘가족은 정서적 지지를 제공한다’, ‘가족은 나를 신뢰한다’, ‘친구는 정서적 지지를 제공한다’, ‘친구는 학과 생활에 도움이 되는 지원을 제공한다’, ‘가족은 나에게 경제적 지원을 제공한다’, ‘내 친구는 나에게 자신감을 준다’ 문항이 포함되었다. 제1요인은 가족, 친구들에게 정서적, 경제적 지원을 받고, 또한 나를 신뢰하며 자신감을 주는 문항들을 포함하고 있어 ‘가족과 친구의 지지’로 명명하였다.
제2요인에는 7개 문항이 포함되었고, ‘학과 교수님은 정서적 지지를 제공한다’, ‘학교 또는 학과는 자기 주도학습 관련 재정적 지원을 제공한다’, ‘임상현장지도자는 내가 잘한 일에 대해 칭찬한다’, ‘학과 교수님은 나에게 칭찬과 격려를 제공한다’, ‘나는 임상현장지도자를 나의 롤 모델로 생각한다’, ‘나는 학과 교수님의 세심한 배려와 관심을 본받고 싶다’, ‘나는 학과 교수님을 나의 롤 모델로 생각한다’ 문항이 포함되었다. 제2요인은 학교로부터 재정적 지원을 받고, 교수님, 임상현장지도자로부터 칭찬과 격려, 임상 실습 동안의 교육적 지지를 받으며, 자신이 닮고자 하는 이상적 롤 모델을 제공해 주는 문항들을 포함하고 있어 ‘학교, 지도교수, 임상현장지도자의 지지’로 명명하였다.
제3요인에는 2개 문항이 포함되었고, ‘학과 선배는 임상실습에 도움이 되는 정보를 제공한다’, ‘학과 선배는 학업 관련 정보를 제공한다’ 문항이 포함되었다. 제3요인은 학과 선배가 임상 실습 및 학업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문항들을 포함하고 있어 ‘학과 선배의 지지’로 명명하였다.

준거 타당도 검증

Oh 등[16]의 한국 사회적 지지 척도와 본 연구에서 개발된 도구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양의 상관관계가 나타나 준거 타당도가 검증되었다(r=.55, p<.001).

신뢰도 검증

문항 제거 시 Cronbach’s α 값과 하부 요인 및 전체 문항에 대한 Cronbach’s α 값을 확인하였다. 총 17개 문항의 신뢰도는 .93이었고, 하부 요인별 신뢰도는 ‘가족과 친구의 지지’ .95, ‘학교, 지도교수, 임상현장지도자의 지지’ .91, ‘학과 선배의 지지’ .89로 도구의 전체 신뢰도 및 하부 요인의 신뢰도가 모두 .70 이상으로 나타나 도구의 신뢰도가 검증되었다. 또한, 문항 제거 시에 신뢰도가 많이 증가하는 문항이 없어서 추가로 제거된 문항은 없었다(Table 3).
Table 3
Reliability Analysis (N=205)
Factor Item number Cronbach’s α if item deleted Cronbach’s α
Support from family and friends 1 .94 .95
2 .94
12 .95
13 .94
14 .94
15 .94
21 .94
22 .95
Support from school, professors, and clinical instructors 11 .91 .91
20 .91
24 .91
25 .89
27 .90
28 .89
29 .89
Support from department seniors 7 .81 .89
8 .81
Total .93

논 의

본 연구는 임상 실습을 경험한 간호대학생의 특성에 적합한 사회적 지지 측정 도구를 개발하기 위해 시도되었으며, 연구의 결과로 총 3개 하부 요인, 17개 문항이 개발되었다. 3개 하부 요인은 ‘가족과 친구의 지지’, ‘학교, 지도교수, 임상현장지도자의 지지’, ‘학과 선배의 지지’였으며, 본 연구에서 개발된 사회적 지지 측정 도구의 하부 요인의 의미와 도구 개발의 의의, 활용에 대해 논하고자 한다.
제1요인인 ‘가족과 친구의 지지’는 8문항이 포함되었고, 가족의 지지 3문항, 친구의 지지 3문항, 사회적 관계망 지지 2문항이었다. 가족의 지지에는 정서적 지지, 경제적 지원, 나를 신뢰해 주는 가족을 측정하는 문항이 포함되었고, 친구의 지지에는 정서적 지지, 학과 생활에 도움이 되는 지원, 나에게 자신감을 주는 친구가 있는지를 측정하는 문항이 포함되었다. 사회적 관계망 지지는 사회적 관계망의 크기 및 빈도를 묻는 2문항이 포함되었다. 이러한 요인은 국내에서 간호대학생의 사회적 지지를 측정하기 위해 활용되고 있는 Nolten [17]의 도구와 Zimet 등[18]의 도구에서 부모와 친구의 지지를 사회적 지지 속성으로 측정하고 있는 것과 상응한다. 또한, 사회적 지지 관련 선행연구에서 가족의 정서적 지지[8,27,28], 가족의 경제적 지원, 가족이 나를 신뢰하는 것을[8] 사회적 지지의 속성으로 포함하고 있어 본 연구 결과와 유사하였다. 본 연구 결과에서 친구의 지지에 포함된 3문항은 친구의 정서적 지지[27,28], 학과 생활에 대한 지원[8]을 친구의 지지로 포함한 선행연구 결과와 유사하였다. 반면 자신감을 북돋는 친구에 대한 문항은 기존 선행연구 결과에서 정확히 일치되는 내용을 찾을 수 없었으나, 칭찬과 존중을 통해 자신이 인정받고 있다는 확신을 주는 것을 사회적 지지 속성으로 포함한 선행연구[10], 자신의 가치를 인정받고 존중받는다는 것을 속성으로 포함한 선행연구 결과[11]와 유사하였다. 사회적 관계망 지지는 주로 개인이 주변의 타인들과 맺는 사회적 관계의 크기 및 빈도를 측정하며, 사회적 상호작용을 통해 얻어진다[10,29]. 사회적 관계망 지지는 사회적 지지의 구조적 측면의 속성으로 동일한 특성을 사회적 지지의 속성으로 제시하고 있는 선행연구 결과를[8] 뒷받침하고 있다.
이상의 선행연구 결과와 본 연구의 차이점은 본 연구에서는 가족과 친구의 지지가 별도의 다른 하부 영역으로 분류되지 않고 한 영역으로 묶여서 도출되었으나, 선행연구[17,18,27,28]에서는 가족과 친구의 지지가 별도 하부 영역으로 분류된 점이다. 이러한 측면을 고려해 볼 때, 간호대학생은 가족과 친구의 지지를 동일한 수준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향후 확인적 요인 분석 연구를 통해 동일한 연구 결과가 도출되는지를 확인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제2요인인 ‘학과, 지도교수, 임상현장지도자의 지지’는 7개 문항이 포함되었고, 교수의 지지 4문항, 임상현장지도자 2문항, 학교 및 학과의 지원 1문항이었다. 교수의 지지에는 정서적 지지, 칭찬과 격려 제공, 롤 모델 제공 지지 등을 측정하는 문항이 포함되었고, 임상현장지도자의 지지에는 잘한 일에 대한 칭찬 제공, 롤 모델 제공 지지가 포함되었다. 학교 및 학과의 지원은 자기 주도학습 관련 재정적 지원을 측정하는 문항이 포함되었다. 사회적 지지 관련 선행연구에서도 교수의 정서적 지지 및 롤 모델 제공 지지[14], 임상현장지도자의 롤 모델 제공 지지[8], 칭찬과 격려[13], 학교 또는 학과의 학습 관련 지원[8,13] 등이 포함되어 본 연구 결과와 유사하였다. 학과와 학교는 간호대학생의 적응을 돕기 위해 임상 실습과 학업에 대한 경제적 지원을 해야 한다[8,13]. 간호대학생은 학업에 대한 지원을 학교 또는 학과로부터 받기를 원하므로 향후 학생들의 학업 지원 시스템을 점검하고 지속 지원 체계를 유지하도록 노력할 필요가 있다.
제3요인인 ‘학과 선배의 지지’는 2개 문항이 포함되었고, 임상실습에 도움이 되는 정보 제공, 학업 관련 정보 제공을 측정하는 문항이었다. 선행연구에서도 학과 선배의 임상 실습 및 학업 관련 정보 제공은 사회적 지지로 포함하여 제시하였다[8,27,30]. 간호대학생은 이론과 실습 관련 학업적 정보 제공을 학과 선배에게 받고자 하며, 이를 사회적 지지로 지각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그들보다 먼저 이론과 실습교육을 경험한 선배들의 학업 지원이 실질적 도움이 된다고 인식하고 있었다[27,30]. 따라서, 향후 이러한 측면을 고려하여 학업 지원을 위해 멘토-멘티 시스템을 적극적으로 활용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본 연구는 임상 실습 경험이 있는 간호대학생의 사회적 지지를 측정하는 도구를 개발하였으므로 실습 경험이 없는 간호학과 1, 2학년 재학생에게 적용할 수 없는 제한점이 있다. 향후 간호학과 1, 2학년 간호대학생을 포함하여 이들의 사회적 지지를 측정할 수 있는 도구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한다. 본 연구는 임상 실습을 경험한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최초로 사회적 지지를 측정할 수 있는 도구의 예비문항을 개발하고, 전문가의 내용 타당도 검증, 탐색적 요인 분석을 통한 구성 타당도 검증을 시행하였다. 요인 분석을 위해 200명 이상의 대단위 연구가 필요한 만큼 이번 연구에서는 도구의 하부구성요인을 확인할 수 있는 탐색적 요인 분석만을 시도하였으나, 추후 도구의 하부구성 요인과 문항이 적절한지를 재확인할 수 있는 확인적 요인 분석, 수렴 및 판별 타당도 검증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한다.
본 연구의 의의는 국내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최초로 사회적 지지를 측정할 수 있는 도구를 개발한 점이다. 기존에 국내에서 활용된 도구는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개발된 것이 아닌 일반인, 일반 대학생 등을 대상으로 개발되어[15-18] 간호대학생의 임상 실습과 이론교육 관련 특성을 반영하지 못한 한계가 있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개발된 도구는 이러한 측면을 고려하여 개발되었으므로 간호대학생의 사회적 지지의 특성을 좀 더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측면이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제2요인인 ‘학교, 지도교수, 임상현장지도자의 지지’와 제3요인인 ‘학과 선배의 지지’는 본 연구를 통해서 처음으로 도출된 하부 속성이며, 기존 도구에서 측정되지 않은 임상 실습 및 이론교육 관련 사회적 지지 문항들이 다수 포함되었다. 포함된 문항은 ‘학과 선배는 임상실습에 도움이 되는 정보를 제공한다’, ‘학과 선배는 학업 관련 정보를 제공한다’, ‘학교 또는 학과는 자기 주도학습 관련 재정적 지원을 제공한다’, ‘임상현장지도자는 내가 잘한 일에 대해 칭찬을 한다’, ‘임상현장지도자를 나의 롤 모델로 생각한다’, ‘학과 교수님을 나의 롤 모델로 생각한다’, ‘학과 교수님의 세심한 배려와 관심을 본받고 싶다’였으며, 기존 도구에서 측정하지 못한 이론교육과 임상실습에서 제공하는 지지를 측정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특히, 본 연구에서 개발된 도구는 간호대학생의 이론교육과 임상 실습 관련 특성을 고려하여 개발되었으므로 향후 임상 실습 스트레스, 학업 스트레스 등과의 관련성 또는 인과성을 파악하는 연구에 활용해 볼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또한, 사회적 지지 향상을 통한 간호대학생의 위기와 스트레스 완화에 도움이 되는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해 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결론 및 제언

본 연구는 임상 실습을 경험한 간호대학생의 이론교육과 임상 실습 관련 특성을 반영한 사회적 지지 측정 도구를 개발하고 이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최종 개발된 도구는 3개 하부 요인, 17개 문항으로 구성되며, 3개 하부 요인은 ‘가족과 친구의 지지’ 8문항, ‘학교, 지도교수, 임상현장지도자의 지지’ 7문항, ‘학과 선배의 지지’ 2문항이었다. 임상 실습을 경험한 간호대학생은 가족과 친구의 지지를 별도로 지각하기보다 동일하게 인식하였고 이들로부터 정서적 지원과 격려를 받고 싶어 하였다. 또한, 이론 및 임상 실습 동안에도 학과 교수와 임상현장지도자로부터 정서적 지지와 지원을 원하고, 학과 선배와 학교로부터 학업적 지원을 받고 싶어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도구는 향후 임상 실습을 경험한 간호대학생의 사회적 지지 관련 다양한 연구에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도구를 이용하여 다양한 간호교육, 실무 환경에서 임상 실습을 경험한 간호대학생의 사회적 지지 수준을 측정하고 비교, 분석하는 연구를 시도해 볼 것을 제언한다. 또한,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향후 임상 실습을 경험한 간호대학생을 위한 사회적 지지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효과를 검증하는 연구를 시도해 볼 것을 제언한다.

CONFLICTS OF INTEREST

No potential conflict of interest relevant to this article was reported.

Notes

Funding

None

Acknowledgements

None

Supplementary materials

None

References

1. Kim YS. Academic stress, daytime sleepiness, depression and learning flow in nursing students.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2018;8(5):867-883. https://doi.org/10.35873/ajmahs.2018.8.5.082
crossref
2. Seo MJ, Oh JJ.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on academic stress of nursing students and adjustment to college lif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2021;21(4):815-824. https://doi.org/10.5392/JKCA.2021.21.04.815
crossref
3. Hamadi HY, Zakari NMA, Jibreel E, Nami FN, Smida JAS, Haddad HH. Stress and coping strategies among nursing students in clinical practice during COVID-19. Nursing Reports. 2021;11(3):629-639. https://doi.org/10.3390/nursrep11030060
crossref pmid pmc
4. Yoo KH. A mediator effect of social support in the association between stress for college life and depression among nursing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2019;25(1):125-135. https://doi.org/10.5977/jkasne.2019.25.1.125
crossref
5. Choi SK. Relationship between life stress and quality of life of a nursing students. Journal of Digital Contents Society. 2019;20(4):807-815. https://doi.org/10.9728/dcs.2019.20.4.807
crossref
6. Yıldırım N, Karaca A, Cangur S, Acıkgoz F, Akkus D. The relationship between educational stress, stress coping, self-esteem, social support, and health status among nursing students in Turkey: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pproach. Nurse Education Today. 2017;48, 33-39. https://doi.org/10.1016/j.nedt.2016.09.014
crossref pmid
7. Park S, Choi M, Lee S. The medi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ampus life adaptation and clinical competence. Nurse Education Today. 2019;72, 67-72. https://doi.org/10.1016/j.nedt.2018.11.009
crossref pmid
8. Choi M, Park S. Concept analysis of social support of nursing students using a hybrid model.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2020;26(2):222-237. https://doi.org/10.4094/chnr.2020.26.2.222
crossref pmid pmc
9. Onu DU, Onyedibe MC. Positive and negative affect explains the association between social support and perceived stress among nursing students. Psychology, Health &Medicine. 2022;27(4):815-822. https://doi.org/10.1080/13548506.2021.1891267
crossref pmid
10. Kim MH, Kim YH, Kim EH, Park MK, Seo NS, Park OJ. A concept analysis of social support. Chonnam Journal of Nursing Sciences. 2000.5(1):15-27.

11. Bae JM.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obilization impacts, social supports, coping behaviors and PTSD symptoms &psychological wellbeing in emergency service firefighters [master's thesis]. Seoul: University of Seoul; 2008. p. 1-161.

12. Kim MR. The theory of a conceptual definition and the effect of social support, and the methodological issues of the effect of social support. Korean Journal of Clinical Social Work. 2005.2(1):99-121.

13. Arribas-Marín J, Hernández-Franco V, Plumed-Moreno C. Nursing students'perception of academic support in the practicum:Development of a reliable and valid measurement instrument. Journal of Professional Nursing. 2017;33(5):387-395. https://doi.org/10.1016/j.profnurs.2017.03.001
crossref pmid
14. Price L, Hastie L, Duffy K, Ness V, McCallum J. Supporting students in clinical practice:Pre-registration nursing students'views on the role of the lecturer. Nurse Education Today. 2011;31(8):780-784. https://doi.org/10.1016/j.nedt.2011.04.009
crossref pmid
15. Park JW. A study to development a scale of social support [dissertation]. Seoul: Yonsei University; 1985. p. 1-127.

16. Oh KS, Oh KO, Lee SJ, Kim JA, Jeong CJ, Kim HR, et al. Psychometric evaluation of the Korean social support questionnair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08;38(6):881-890. https://doi.org/10.4040/jkan.2008.38.6.881
crossref pmid
17. Nolten PW. Conceptualization and measurement of social support:The development of the student social support scale [dissertation]. Madison: University of Wisconsin-Madison; 1994. p. 1-178.

18. Zimet GD, Dahlem NW, Zimet SG, Farley GK. The multidimensional scale of perceived social support.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1988;52(1):30-41. https://doi.org/10.1207/s15327752jpa5201952
crossref
19. Song HS, Lim SH. Validity and reliability of Korean version of the Grit Scale for Korean nursing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2020;26(3):322-331. https://doi.org/10.5977/jkasne.2020.26.3.322
crossref
20. Lee SY, Lee JS. The convergent effect of ego-resilience, nursing professionalism, and social support on department satisfaction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2017;15(12):403-412. https://doi.org/10.14400/JDC.2017.15.12.403
crossref
21. Cho BR, Lee JM. Effects of undergraduate students'stress, social support, and resilience on college life adjustment.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2019;17(4):1-11. https://doi.org/10.14400/JDC.2019.17.4.001
crossref
22. Lee BS, Eo YS, Lee MA. Development of job satisfaction scale for clinical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8;48(1):12-25. https://doi.org/10.4040/jkan.2018.48.1.12
crossref pmid
23. Lee EO, Lim NY, Park HA, Lee IS, Kim JI, Bae J, et al. Nursing research and statistical analysis. Seoul: Soomoonsa; 2009. p. 1-790.

24. Boateng GO, Neilands TB, Frongillo EA, Melgar-Quiñonez HR, Young SL. Best practices for developing and validating scales for health, social, and behavioral research:A primer. Frontiers in Public Health. 2018;6, 149.https://doi.org/10.3389/fpubh.2018.00149
crossref pmid pmc
25. Lee JS, Cho HY. The medi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mpathy and caring efficiency in nursing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2021;27(2):186-196. https://doi.org/10.5977/jkasne.2021.27.2.186
crossref
26. Costello AB, Osborne J. Best practices in exploratory factor analysis:Four recommendations for getting the most from your analysis. Practical Assessment, Research, and Evaluation. 2005;10(7):1-9. https://doi.org/10.7275/jyj1-4868
crossref
27. Gidman J, McIntosh A, Melling K, Smith D. Student perceptions of support in practice. Nurse Education in Practice. 2011;11(6):351-355. https://doi.org/10.1016/j.nepr.2011.03.005
crossref pmid
28. Warshawski S, Itzhaki M, Barnoy S. The associations between peer caring behaviors and social support to nurse students'caring perceptions. Nurse Education in Practice. 2018;31, 88-94. https://doi.org/10.1016/j.nepr.2018.05.009
crossref pmid
29. Kocalevent RD, Berg L, Beutel ME, Hinz A, Zenger M, Härter M, et al. Social support in the general population:Standardization of the Oslo social support scale (OSSS-3). BMC Psychology. 2018;6(1):31.https://doi.org/10.1186/s40 359-018-0249-9
crossref pmid pmc
30. Jacobs S. A scoping review examining nursing student peer mentorship. Journal of Professional Nursing. 2017;33(3):212-223. https://doi.org/10.1016/j.profnurs.2016.09.004
crossref pmid


ABOUT
BROWSE ARTICLES
FOR CONTRIBUTORS
Editorial Office
Department of Nursing,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1 Chungdae-ro, Seowon-gu, Cheongju-si, Chungcheongbuk-do, 28644, Korea
Tel: +82-43-249-1712    E-mail: spark2020@chungbuk.ac.kr                

Copyright © 2024 by The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