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교육 프로그램 개발
본 연구는 교수설계모형으로 가장 널리 활용되는 ADDIE (Analysis, Design, Development, Implementation, Evaluation) 모형을 기반으로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 분석(analysis) 단계
(1) 국내외 문헌 자료 분석
국내의 경우 2019년 Shin 등[
5]의 연구에 따르면, 2018년 기준 전국 89개 의료기관 중 간호교육팀이 설치되어있는 기관은 58.6%인 51개이며 주로 교육 전담인력은 관리자 수준에 집중 배치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프리셉터 제도를 운영하고 있는 기관은 응답 기관 중 87.6%인 78개이며 프리셉터와 프리셉티 비율이 1:1인 기관이 63개(80.8%), 그 외는 3:1에서 4:1의 분포를 보였다. 프리셉터 제도를 운영하지 않는 곳은 병원과 요양병원급이 대부분이었다. 프리셉터 제도를 시행하는 병원 중 프리셉터의 자격요건을 지정한 곳은 86.7%이며 모든 곳에서 임상경력을 자격으로 규정하고 있었다. 프리셉터 양성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이 있는 기관은 72.0%인 54개였고 한번 획득 시 특별한 절차 없이 지속되는 경우가 60.5%였다[
5]. 2019년 대한간호협회에서는 ‘신규간호사 교육관리체계 가이드라인’을 통해 신규간호사 교육을 전담하는 간호교육팀의 구성은 교육관리자, 교육전담자, 프리셉터로 구성하도록 안내하고 있으며, 프리셉터는 임상현장에서 신규간호사의 지도와 평가를 담당할 것을 제안하고 있다. 또한 대한간호협회 프리셉터 역량강화 교육에서는 성인학습이론을 근거로 한 프리셉터의 역할과 책임을 인식하고 임상현장에서의 교육전략과 피드백 스킬, 리더십, 코칭 등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하는 8개 모듈 구성의 교육을 운영하고 있다[
14].
해외 사례를 살펴보면, 미국의 경우 간호사 레지던시 프로그램(Nurse Residency Programs)을 시행하고 있는데 이는 간호사 면허취득 후 근무경력이 12개월 이내인 간호사에게 임상현장의 업무에 대한 지식, 기술, 태도를 갖출 수 있도록 훈련하여 업무 표준을 준수할 수 있도록 하는 체계적이고 통합적인 프로그램이다[
15]. 이러한 프로그램은 Benner의 ’초보자에서 전문가로’의 모델에 기반하고 성인학습이론 등을 이용하여 개발된 것으로, 근거기반 실무, 비판적 사고 및 정서적 지지 등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과 충분한 임상 실습기회를 제공하며, 그 기간은 평균 6개월 이상이다[
16].
캐나다의 간호대학 협회(Canadian Association of Schools of Nursing)에서 시행하고 있는 간호사 레지던시 프로그램은 신규간호사가 병원에 채용된 후 임상에 적응할 수 있도록 운영하는 교육 및 프리셉터-멘토 프로그램이다. 통상적으로 6개월간 임상역량 강화 프로그램을 적용하며, 2개월의 프리셉터 훈련 기간과, 신규간호사는 5일의 OT기간, 11주의 프리셉터십 기간, 이후 3개월 간 프리셉터-멘토 지원 프로그램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캐나다 정부에서는 2023년 기준 이를 지원하기 위해 240만 달러를 지원하겠다고 발표한 바 있다.
(2) 타 기관 교육 프로그램의 벤치마킹
타 기관의 교육 프로그램 벤치마킹을 위해 약 10~20년 전부터 프리셉터 제도를 운영하고 있는 서울특별시의 3개 기관을 견학한 결과, 기관별로 병동당 2~3명의 프리셉터가 있었다. 견학 기관의 초창기 프리셉터 양성과정은 임상실무, 마인드십 등 임상핵심역량에 대한 전반적인 내용을 포함하였으나, 이미 프리셉터 교육과정이 체계를 갖추고 있어 현재 프리셉터로 활동하는 간호사들은 재직기간이 충분히 길고 신규 및 재직자 교육을 거쳐 프리셉터로 선발되고 있기 때문에, 현재는 프리셉터 마인드십 중심으로 교육과정이 구성되어 있었다. 프리셉터는 신규·전입자의 역할 모델로서 임상실무에 일정 수준 이상의 역량과 자격요건이 필요하다. 서울특별시 어린이병원의 경우 해당 병원의 첫 프리셉터 제도 적용임을 감안하고 문헌고찰과 외부병원 견학, 내부 및 전문가 의견을 종합하여 선발·운영기준과 양성교육과정을 마련하였다.
(3) 요구자 분석
분석(analysis) 단계는 학습자의 수준과 학습 관련 특성, 일반적 사항을 파악하는 단계이다. 본 연구에서는 교육이 필요한 부분을 파악하기 위해 현재 근무하고 있는 간호사 100명을 대상으로 예비조사를 시행하여 대상자의 요구를 사정하였다. 도구는 선행 연구에서 이용한 간호역량 측정도구를 바탕으로 본 연구를 위해 어린이병원 특성에 맞게 재구성한 어린이병원 간호역량 평가도구 (26개 영역, 100문항)를 활용하였다. 조사결과를 간호역량 점수를 하위영역부터 나열하고 교육 요구도를 상위영역부터 나열하였을 때 인공호흡기 관리, 응급간호, 수혈, 정맥관 유지 관리, 전동 및 입퇴원 간호, 환자 안전간호의 6개 영역은 간호역량과 교육 필요성 모두 우선 순위에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교육과정에 우선적으로 반영하기로 하였다.
∙ 설계(design) 및 개발(development) 단계
설계 단계는 효율적인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교수방법을 구체적으로 결정하는 과정이다. 이 과정에서 수행목표를 상세하게 규정하고, 구체적인 교수전략 및 교육 매체, 평가방법을 선정한다. 본 교육 프로그램의 목표는 어린이병원 프리셉터 제도를 새로 도입하여 체계를 만들고 프리셉터 교육과정을 구성, 적용하여 신규 프리셉터를 양성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먼저 기존의 간호교육 행정 담당 1인 체제를 보완, 강화하기 위해 교육훈련 TF팀을 신설하였다. 교육훈련 TF팀은 TF팀장 1인, 교육전담 1인과 기준에 따라 선발된 1차 프리셉터 18인으로 구성하였으며, 간호부장 직속 조직으로 편성하였다.
교육훈련 TF팀을 중심으로 타 기관의 교육자료 리스트를 참고하고 요구도 조사에서 간호역량이 낮고 교육수요가 높은 것으로 나타난 인공호흡기 관리, 응급간호, 수혈, 정맥관 유지 관리, 전동 및 입퇴원 간호, 환자 안전간호의 6개 영역을 우선적으로 포함하였다. 또한 신규·전입 간호사가 독립하여 1인의 의료인으로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프리셉터에게 필요한 임상역량으로 수혈, 주사, 흡인 등 임상술기와 인공호흡기, 환자감시장치, 정맥주입기 등 의료장비 사용법, 갈등관리, 효과적 교수법 등을 포함하는 4일차 프리셉터 양성 교육과정을 구성하였다. 교육전달 방법으로는 이론뿐 아니라 교육자의 시범과 실습, 그리고 동영상 청취 등을 포함하였으며, 교육강사는 원내 전문가뿐 아니라 실무경험이 많은 원외 전문가를 활용하기로 하였다.
개발 단계는 교육에 필요한 교재와 매뉴얼 등의 교수 자료를 개발하고 제작하는 단계이다. 설계 단계에서 선정한 1차 교육 항목과 내용은 임상전문가와 아동간호학, 지역사회간호학 교수로부터 검증 받아 수정되었다. 또한 매뉴얼에 대해서도 원내외의 임상전문가인 의사, 간호사로부터 내용검토를 받았다. 또한 이 모든 설계와 개발단계에서 아동간호학 교수 1인, 지역사회간호학 교수 1인을 자문단으로 위촉하여 단계마다 논의를 지속하였다.
∙ 수행(implementation) 단계
수행 단계는 개발단계에서 완성된 교육 프로그램을 실제 적용하는 단계로 교육의 유지 및 관리 활동이 포함된다. 기준에 따라 선발된 프리셉터에게 4일간의 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하도록 계획하였으며, 구체적인 교육 내용과 방법은
Table 1과 같다.
Table 1
Pediatric Nurse Preceptor Education Program
Day |
Duration (minutes) |
Topic |
Education method |
1 |
15 |
Orientation |
- |
45 |
Rehabilitation care for children |
Lecture |
90 |
Role of preceptor nurse |
Lecture |
120 |
Communication skill |
Lecture |
120 |
Nursing core competency and Effective teaching method |
Lecture |
2 |
90 |
Suction & home ventilator care |
Lecture/practice with manikin |
60 |
Wound care |
Lecture |
90 |
Hospital associated infection control |
Lecture |
30 |
Medical device handling (infusion pump, suction, etc.) |
Practice at ward |
60 |
Blood transfusion |
Lecture |
60 |
Safe injection practicum |
Lecture/practice with manikin |
3 |
90 |
Stress and conflict management |
Lecture |
240 |
Hospital ventilator management |
Lecture |
Individual practice for ventilator |
Practice |
60 |
Individual video review on clinical nursing practice |
Video watching |
4 |
420 |
Critical care nursing course developed by National Medical Center |
Online lecture |
60 |
Course evaluation Questionnaire Knowledge test |
Discussion/self-report/test |
∙ 평가(evaluation) 단계
평가 단계는 교육의 질 향상을 위하여 수정 및 개선사항을 확인하는 단계이다. 교육에 참여한 프리셉터를 대상으로 교육 전과 후의 임상수행능력을 설문도구와 필기시험으로 평가하고 교육 후 프로그램 만족도를 확인하는 방식으로 교육의 효과성과 적절성을 평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