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 Korean Acad Soc Nurs Educ Search

CLOSE


J Korean Acad Soc Nurs Educ > Volume 24(1); 2018 > Article
시뮬레이션 간호 교육에서의 ‘촉진자(facilitator)’ 개념분석

Abstract

Purpose

This study was to identify and define the concept of a facilitator and specific attributes for providing basic data on simulation nursing education.

Methods

Using Walker and Avant’s (2005) criteria that identify the attributes,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of facilitators in simulation nursing education, the findings of research articles published from 2001 to 2017 were reviewed.

Results

There were three aspects of the facilitator concept in simulation nursing education: (1) continuous support throughout the entire simulation process; (2) skilled progress based on clinical expertise; (3) guidance for learners to actively understand and reflect on the situation.

Conclusion

This concept analysis helps us to better understand better facilitators in simulation nursing education.

서 론

연구의 필요성

시뮬레이션 간호 교육은 임상현장과 유사한 경험을 학습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중요한 교육 전략으로(Moulton, Lucas, Monaghan, & Swoboda, 2017), 간호대학생은 반복적인 시뮬레이션 교육을 통해 자신감이 향상되었으며, 긍정적인 경험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Baillie & Curzio, 2009). 특히 학습자 중심의 시뮬레이션 교육은 지식 전달 방식의 교육보다 효율적이며, 역동적인 임상상황을 모의 경험 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나, 간호 및 의학 교육에서 점차 확대하고 있는 추세이다(Shin, 2014). 그러나 전통적인 교육방식에 익숙한 교수자가 학습자 중심의 시뮬레이션을 구현하고, 학습자와 함께 디브리핑을 진행하는 촉진자(facilitator)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기 어려울 것으로 사료되므로, 촉진자(facilitator)로서의 역할을 이해하고 강화해줄 필요가 있다.
촉진자(facilitator)는 학습자의 성공적인 시뮬레이션 경험과 효과적인 디브리핑(debriefing)을 위해 필수적인 역할로(Moulton et al., 2017), International Nursing Association for Clinical Simulation and Learning (INACSL)에서는 촉진자(facilitator)에 대한 9가지 표준을 제시하고 있다(Boese et al., 2013). 국내 시뮬레이션 간호 교육에서도 교수자, 강사, 연구원, 조교 등이 촉진자(facilitator)의 역할을 담당하고 있으며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이에 최신 학습이론을 토대로 교수자가 시뮬레이션 교육에서 학습자의 교육과 학습을 촉진하기 위해 소그룹 운영, 비판적 반영, 임상 추론 기법의 사용을 주요 내용으로 제시하였으며, 교수자가 학습을 촉진하여 학습자 스스로 심층적 이해에 도달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하였다(Shin, 2014). 그러나 이처럼 강조되고 있는 촉진자(facilitator)에 대한 명확한 개념이 도입되지 않았으며, 관심이나 연구도 미흡하다. 또한 시뮬레이션 간호 교육에서의 촉진자(facilitator)에 대한 국외 문헌에서의 의미, 표준과 국내 간호 교육과는 차이가 있을 수 있으므로, 국내 현실에 맞는 개념을 명확히 하는 것이 요구된다.
사회과학에서 촉진자(facilitator)는 이전에 조직자(organizer)에게 포함되어 있던 역할이 진행 과정의 전문가로서 분리된 것으로, 회의 내용에 대한 전문가일 필요가 없다고 하였다(Wikipedia, 2017). 소그룹 토론 촉진을 위해 간호 교육에서 촉진자(facilitator)는 주제 전문가의 경우 본인의 주제 관련 전문성을 사용하였으며, 비전문가는 토론 과정을 촉진하는 전문성을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Dolmans et al., 2009). 시뮬레이션 교육에서 촉진자(facilitator)는 전문성을 갖추고 신뢰관계를 구축하여, 전문 지식을 공유해야 하며(Boese et al., 2013; Mayville, 2011), 디브리핑 시 학습자의 행동을 관찰하고 이에 대한 근거를 확인하기 위한 질문 사용이 권장되고 있다(Mayville, 2011). 즉, 사회과학에서와 달리 시뮬레이션 간호 교육에서 촉진자(facilitator)는 토론 촉진의 기술과 더불어 내용의 전문성이 요구된다고 사료된다. 따라서 시뮬레이션 상황에 대한 전문성을 가진 교수자에 의한 촉진자(facilitator)의 개념을 탐색해야할 것이다.
시뮬레이션 간호 교육에서의 개념분석 연구를 살펴보면, 간호학생을 위한 교육 전략으로서 시뮬레이션 개념분석 연구(Bland, Topping, & Wood, 2011)를 통해 잠재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는 경험적 평가가 필요한 역동적인 개념이라는 본질적인 특성을 확인하였으며, 간호대학생의 역량 획득에 대한 개념분석 연구(Hansen & Bratt, 2015)에서는 핵심 요소로 생생하게 재연된 환경, 시연 및 평가를 제시하였다. 시뮬레이션 운영 과정 중 촉진자(facilitator)가 주요하게 담당하고 있는 디브리핑은 필수적인 개념으로 연구되었다(Dieckmann et al., 2011). 반면 시뮬레이션 간호 교육에서 촉진자(facilitator)에 대한 개념분석은 이루어지지 않은 실정으로, 이에 대한 개념을 분석하고 성공적인 역할 수행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해야할 것이다.
개념분석은 결정적 속성들을 확인하고 개념을 정의하는 것을 도와주는 방법으로, 간호의 지식체 발전에 기본이 되며, 비판적인 사고와 정확한 의사소통을 위해 필수적이다(Walker & Avant, 2005). 이에 본 연구는 시뮬레이션 간호 교육에서 촉진자(facilitator) 개념의 속성을 파악하고 정의하고자 한다. 이는 학습자 중심의 시뮬레이션 간호 교육을 수행함에 있어 촉진자(facilitator)라는 개념을 명확히 제공하고, 질 높은 시뮬레이션 교육을 위한 촉진자(facilitator) 역량 강화 지침과 체계적인 평가 마련에 근거가 될 것이다.

연구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촉진자(facilitator)의 개념을 사용한 문헌들을 분석하여 개념의 속성의 의미를 규명하고 이를 조직화하여 촉진자(facilitator)의 역할에 대한 이론적 근거를 마련하기 위함이다. 이는 시뮬레이션 간호 교육에서 촉진자(facilitator)에 대한 새로운 인식을 구축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연구 방법

연구 설계

본 연구는 Walker와 Avant (2005)의 개념분석방법을 적용하여 시뮬레이션 간호 교육에서 촉진자(facilitator)에 대한 개념분석을 시도한 연구이다. 개념분석을 위한 여러 방법론들이 있지만, 촉진자(facilitator) 개념이 촉매자(catalyst), 조정자(coordinator, mediator), 조언자(counsellor), 전달자(deliver), 교수자(instructor), 진행자(moderator) 등 다양한 역할과 명확한 구분 없이 사용됨에 따라, Walker와 Avant (2005) 방법을 활용하여 유사한 개념과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이해하고 명확하게 개념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현장 관찰을 필요로 하지 않았으며, 기존의 관련 문헌에서 촉진자(facilitator)의 개념 정의, 목적, 준거, 근거, 관계 및 과정 등이 어떻게 제시되어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연구 대상

시뮬레이션 간호 교육의 고성능 인체 환자 모형, 표준화 환자를 활용한 방법을 모두 포괄하여 교수자가 수행하는 촉진자(facilitator)의 개념을 적용하고자 하였으며, 개념의 속성을 확인하고자 사회과학, 교육학, 간호학 및 의학 등 다양한 분야의 문헌에서 ‘견인자’, ‘도우미’, ‘원조자’, ‘조력자’, ‘조정촉진자’, ‘지원자’, ‘촉진자’, ‘촉진’, ‘퍼실리테이터’, ‘학습촉진자’, ‘facilitator’, ‘facilitation’이라는 주제어로 검색하였다.

연구자의 훈련과 준비

연구자는 7년 이상의 임상경력과 3년 이상의 시뮬레이션 교육 경력을 갖추었다. 연구자는 시뮬레이션 교육의 효과를 파악한 3편의 유사 실험 설계 연구와 시뮬레이션 교육에 참여한 교수자 또는 학습자의 경험에 대한 5편의 질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또한 박사과정에서 <간호이론개발>, <간호이론분석 및 평가>를 이수하고, 2편의 개념분석 논문을 게재한 바 있다. 시뮬레이션학회 참석 및 구두 발표, 포스터 발표, 워크숍 참석을 통해 시뮬레이션 교육에 대한 훈련을 지속하였다. 시뮬레이션 교육을 운영하고, 관련 연구 진행을 위한 문헌고찰을 진행하면서 촉진자(facilitator)의 모호한 개념을 정리하고, 분석하여 명료화해야할 필요성을 인식하게 되었다. 연구 진행과정 동안 Walker와 Avant (2005) 자료와 이를 활용한 다양한 문헌을 탐색하여 개념을 명확히 이해하고자 준비하였다.

자료 수집 및 분석 방법

2001년에서 2017년까지 문헌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국외논문은 의학 분야 전자데이터베이스(Pubmed), 간호 분야 전자데이터베이스(Cumulative Index to Nursing and Allied Health Literature, CINAHL), google scholar 등에서 영어로 작성된 논문에 접근하였고, 국내논문은 연구정보공유시스템(Research Information Sharing Service, RISS), 학술정보통합서비스 사이트(DBpia), 한국학술정보(Korean studies Information Service System, KISS), google scholar, 한국간호과학회 및 분과학회 홈페이지 등에서 찾을 수 있는 문헌 중 원문을 찾을 수 있는 논문을 분석하였다. 문헌관리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중복자료를 제거한 후, 적합여부를 확인하였다. 자료 분석은 Walker와 Avant (2005)가 제시한 8단계 개념분석방법에 따라 진행하였다(Table 1).
Table 1.

Eight Step Process of Concept Analysis according to Walker and Avant

1. Selecting a concept
2. Determining the aims or purposes of analysis
3. Identifying all the uses of the concept
4. Determining the defining attributes
5. Identifying a model case
6. Identifying borderline, related, contrary, invented, and/or illegitimate cases
7. Identifying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8. Defining empirical referents

연구의 타당성 확보

연구 방법(연구 대상, 자료수집 및 분석방법 등)을 상세히 기술하고, Walker와 Avant (2005)의 분석 절차를 그대로 따랐다. 질적 연구 모임에 참석하여 질적 연구 전문가인 간호학과 교수의 조언을 받았고, 문헌에서 나타난 개념의 특징을 기록하고 확인하며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촉진자에 대한 문헌고찰, 개념의 결정적 속성 확인, 개념의 모델 사례, 개념의 부가 사례, 개념의 선행요인과 결과 확인, 개념의 경험적 준거 확인을 고찰하였다.

촉진자(facilitator)에 대한 문헌고찰

● 사전적 의미

Walker와 Avant (2005)는 가능한 개념을 활용한 많은 자료를 분석할 것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전적 의미는 국외출판 영영사전, 국내출판 영한사전, 한글사전, 검증된 논문들, 제목이나 내용에서 검색어를 포함하고 있는 단행본들을 검색하여 살펴보았다.
facilitation은 ‘facile’라는 프랑스어와 ‘facilis’라는 라틴어에서 유래된 개념으로, ‘일을 쉽게 하다’라는 의미가 있다(Barnhart & Steimnetz, 1988). Schwarz (2002)는 facilitation이란 조직의 효과성을 증진할 목적으로 모든 구성원이 토의하는 주제에 대해 중립적인 태도를 유지하며, 의사결정권은 없는 사람이 구성원들의 문제 인식과 문제해결, 의사결정 방법을 개선하기 위해 진단하고 개입하는 과정이라고 정의하였으며, 촉진자(facilitator)는 집단 활동을 촉진하고 지원하는 facilitation 과정에서 집단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도록 촉진하고 지원하는 사람이라고 하였다.
Facilitator는 Collins essential english dictionary (Collins, 2008)에서 다른 사람이 특정한 일을 하거나 성취하도록 돕는 사람 또는 조직이라고 하였고, Merriam-Webster's Collegiate Dictionary (Webster, 2003)에서 facilitator는 지도, 감독을 제공함으로써 학습, 생산성 또는 의사소통에 도움이 되는 활동을 하는 사람이라고 정의하였다. Wikipedia (2017)에서 facilitator는 촉진자, 퍼실리테이터, 조력자, 조정촉진자, 학습촉진자로 번역하였으며, 회의, 워크숍, 심포지엄, 교육 등에서 진행을 원활하게 하면서 합의 도출이나 상호 이해를 위해 깊은 논의 또는 효과적인 교육이 이루어지도록 조정하는 역할을 담당하는 사람이라고 하였다. Human resources development terminology dictionary (2010)에서도 facilitator, 퍼실리테이터는 번역되지 않고 단어 자체로 폭넓게 사용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개인이나 집단의 문제해결능력을 키워주고 조절함으로써 조직체의 문제와 비전에 대한 자신의 해결책을 개인이나 집단으로 하여금 개발하도록 자극하고 돕거나, 교육훈련프로그램의 실행과정에서 중재 및 조정역할을 담당하는 사람을 의미하였다. 또한 팀 구성원들에게 질문을 던지고, 팀 구성원들의 생각에 맞서며, 한편으로는 독려하고, 궁극적으로 학습을 가속화시키는 것으로 팀이 취하는 다양한 행동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고 성찰을 고무하며 학습자들이 문제를 어떻게 해결하고 있는지에 대해 성찰하고 학습을 촉진하는데 도움을 준다고 정의하였다.

● 촉진자(facilitator) 개념의 속성

촉진자(facilitator)는 다양한 분야의 문헌에서 개념이 사용되고 있었으며, 촉진자(facilitator)로서의 역할은 경영 촉진자, 분쟁 해결 촉진자, 교육 촉진자, 소그룹 진행자, 훈련 진행자 등 다양한 역할을 수행되고 있었다. 시뮬레이션 간호 교육의 촉진자(facilitator) 개념 특성을 반영할 수 있도록 사회과학 문헌은 제외하였고, 교육학, 간호학 논문으로 제한하였다.
∙ 교육에서의 촉진자(facilitator)
교육에서의 촉진자(facilitator) 개념에 앞서 학습이론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한다. 최신 학습이론으로 첫째, 행동주의 학습이론은 행동이 조건형성의 결과로 시행착오에 의한 반응강화 학습이 일어난다는 것이며, 둘째, 인지주의 학습이론은 지식 획득은 인지과정에 인지적 피드백에 의해 학습이 촉진된다는 것이며, 마지막으로 구성주의 학습이론은 학습자의 사전 지식을 파악하고, 이를 기반으로 새로운 정보를 구성하며, 교수자는 촉진자(facilitator)의 역할임을 강조하는 것이다(Yang, Lee, & Hwang, 2008). 이 중 구성주의 학습이론에서 facilitation은 매일 방대한 양의 새로운 정보와 지식이 나오는 상황에서 구체적이고 단편적인 지식을 암기하는 것은 무의미하다는 점에서 착안하게된 것으로, 교육의 목적을 학습의 촉진(facilitation of learning)에 초점을 맞추게 되었다(Ahn, 2013). 학습의 주체, 중심과 책임은 교수자에서 학습자로 전이되었으며, 교수자는 강의를 하지만 더 많은 지식을 가지고 있어 지식을 전달하는 사람이 아니라, 학습자가 최대한 성과를 달성할 수 있는 학습 환경을 조성하여 학습자가 스스로 지식을 구조화하도록 도움을 주어야 한다고 보고하였다(Ahn, 2013). 특히 액션러닝이 도입되면서 성공적인 수행을 위해 facilitation 기법을 체계적으로 개발하고 전문적으로 실행하게 되었는데, 촉진자(facilitator)는 조원들의 지식 차이를 인식하고, 그 차이를 대화와 상호 학습을 통해 채워 나아간다는 점을 조원들에게 이해시켜야 하며, 혼자가 아닌 조원들과의 협력으로 문제를 해결하도록 해야 한다(Yum & Park, 2009).
촉진자(facilitator)는 성인학습자의 경험을 활용하고 구체화하여, 학습자의 선행 지식에 의미 있는 깨달음을 더하게 된다(Gilley, Eggland, & Gilley, 2002). 이 때 학습자가 기본적인 선행 지식이 있을 때 효과가 더욱 극대화되는데, 학습자의 경험은 지식의 자원이 되고 동료의 경험을 벤치마킹하게 되며, 학습공간은 흥미롭고 활동적인 곳이 된다(Gilley et al., 2002). Baek과 Lee (2012)는 일반 촉진자(facilitator)와는 차별화된 성인교육 촉진자(facilitator)에 대한 논의가 부족하다고 언급하며, 일반 촉진자(facilitator)의 역량에 교육적 맥락의 역량을 더하여 ‘학습촉진’, ‘동기부여’, ‘요구분석’, ‘측정 및 평가’, ‘학습 환경 구축’, ‘지속적 자기개발’ 등의 역량을 추가로 제시하였다.
∙ 시뮬레이션 간호 교육에서의 촉진자(facilitator)
Lekalakala-Mokgele과 Du Rand (2005)는 facilitation을 시뮬레이션 기반의 학습 경험 전반에 나타나는 방법과 전략이라고 하였다. Boese 등(2013)은 촉진자(facilitator)가 심리적으로 안전하다고 느끼는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고 나타내며, 임상적으로 능숙하고, 적절한 판단을 통해 전문지식을 공유할 수 있어야 하며, 윤리적인 문제에 민감해야 함을 언급하였다. Moulton 등(2017)은 촉진자(facilitator)란 시뮬레이션의 지침, 지원 및 구조 제공 등 전체 과정을 안내하는 연속적인 과정에 참여하는 사람으로, 시뮬레이션 교육의 모든 측면을 준비하고 목표와 관련된 내용을 검토하여 학습자가 실제 임상상황에 적용할 수 있도록 충실도를 유지해야 하며, 시뮬레이션을 구현 및 평가해야한다고 하였다. 또한 촉진자(facilitator)는 시뮬레이션 시나리오에 따른 성찰을 관리하는 debriefer와는 차별화된 개념이라고 보고하였다(Moulton et al., 2017).
시뮬레이션 교육은 3단계로 구성되는데, 먼저 사전 브리핑(prebriefing) 단계에서 촉진자(facilitator)는 시뮬레이션 수행 과정, 목표, 역할 등을 설명하는 역할을 담당하게 된다(Mayville, 2011). 다음 단계에서 촉진자(facilitator)는 임상상황을 재현한 시나리오를 구현하며, 시뮬레이션 중 학습자의 수행에 대한 세부사항을 관찰하는데 이는 디브리핑 중에 건설적인 피드백을 제공하기 위해 필수적이며, 디브리핑 중 학습자와 토론, 공유해야 하는 행동을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Rosen, Salas, Silvestri, Wu, & Lazzara, 2008). 마지막 디브리핑 단계에서 촉진자(facilitator)는 학습자들을 스스로 자신의 성과에 대한 평가와 토론에 참여할 수 있도록 진행해야 한다고 제시하였다(Mayville, 2011). 이처럼 시뮬레이션 교육은 3단계로 구분할 수 있으나, 촉진자(facilitator)는 특정 단계에 국한하여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 아니라, 전 과정에서 학습을 증진시키는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시뮬레이션 교육의 3단계 중 디브리핑은 시뮬레이션 교육에서 가장 중요한 단계로 부상하고 있는데(Mayville, 2011), 촉진자(facilitator)는 학습자와 동반 관계를 수립하고, 학습자의 학습수준 및 경험에 적합한 촉진 방법을 사용하여 학습자가 적극적인 학습과 성찰을 할 수 있도록 장려해야 한다(Boese et al., 2013; Moulton et al., 2017). 촉진자(facilitator)가 시뮬레이션에서의 부족한 부분을 확인하는 것은 학습을 위한 과정임을 명확히 하고, 사실 설명과 해결책 제시보다는 개방형 질문, 능동적인 듣기와 학습자의 행동과 응답에 기초한 의사소통을 통해 임상적 판단과 추론을 촉진시키고, 스스로 성찰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Mayville, 2011). 촉진자(facilitator)는 디브리핑에서 피드백 제공 시 학습자가 당혹감, 두려움 등을 느끼지 않도록 해야 한다(Boese et al., 2013; Mayville, 2011).
Shin (2014)은 시뮬레이션 간호 교육에서 구성주의 학습이론에 의한 효율적인 학습을 위해서는 교수자가 학습자의 사전 지식에 대한 정확한 진단을 해야 하며, 소그룹 내에서 학습자의 능동적 참여와 비판적 반성을 촉진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 역할이라고 하였다. Choi (2016)는 시뮬레이션 기반 문제중심학습 교육의 유의한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하위 영역으로 촉진자(facilitator)의 디브리핑 기술, 촉진자의 적절한 안내 등을 측정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중환자 간호 시뮬레이션 교육 연구(Ha & Koh, 2012)에서는 시뮬레이션 종료 후 디브리핑에서 교수자는 촉진자(facilitator)로서 학생들에게 경험한 상황을 요약하게 하고 피드백을 제공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방문간호 시뮬레이션 실습 연구(Baek, 2013)에서는 오리엔테이션, 시나리오 실행과 디브리핑을 포함한 시뮬레이션 실습 운영을 담당하는 촉진자(facilitator)와 시뮬레이션 실습실 물품 준비와 실시간 녹화를 담당하는 운영자(operator)로 역할을 분담하여 시뮬레이션 교육을 진행하였다. 국내 연구에서는 촉진자(facilitator)를 디브리핑과 같이 일부 단계에서의 주요 역할에 주목하고 있거나, 물품 준비와 기술적인 부분을 담당하는 인력과는 구분 짓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이 시뮬레이션 간호 교육에서 촉진자(facilitator)는 시뮬레이션 활동 전반에 걸쳐 안내를 제공하고 관리하는 포괄적인 개념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전문성을 갖춘 촉진자(facilitator)의 역할을 통해 학습자가 적절한 반영과 긍정적인 경험을 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개념의 결정적 속성(defining attributes) 확인

이 단계는 개념을 사용한 관련 문헌에서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개념의 속성을 규명하는 것으로 촉진자(facilitator)의 개념을 명확히 이해하는데 도움을 준다. 개념의 활용에서 반복적으로 나타난 속성은 다음과 같다.

∙ 첫째, 촉진자(facilitator)는 연속적인 시뮬레이션 교육 전 과정에서 지원을 제공한다.

∙ 둘째, 촉진자(facilitator)는 임상관련 전문성을 가지고 시뮬레이션 간호 교육을 능숙하게 진행한다.

∙ 셋째, 촉진자(facilitator)는 학습자가 능동적으로 상황을 이해하고 성찰할 수 있도록 안내한다.

이상과 같이 촉진자(facilitator)라는 개념의 특성을 종합하면, ‘시뮬레이션 간호 교육 전 과정에서 임상관련 전문성을 가지고 능숙하게 실제적인 학습 환경과 피드백, 평가 등을 제공하며, 학습자가 능동적으로 상황을 성찰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사람’이라는 커다란 맥락에서 이해하는 것이 적절하다.

개념의 모델 사례(model case)

모델 사례란 촉진자(facilitator) 개념의 중요한 모든 속성을 모두 포함하는 사례로, 정확하게 개념을 사용할 수 있도록 개념의 결정적 속성이 무엇인지를 보여주는 실제 사례가 될 수 있다(Walker & Avant, 2005).
시뮬레이션 교육을 진행하는 간호학과 교수이다.
“제가 임상에 있을 때 심장 쪽 중환자실에 있었는데 그때 가장 많이 봤던 심근경색환자 간호를 시나리오로 만들어서 운영하고 있죠. 팀원 구성이나 시나리오 구현 시간, 운영 방안이나 이런 것들을 다 계획하고 책임지고 있어요. 학생들과 디브리핑 때만이 아니라 시뮬레이션 시작 단계부터 학생들에게 안내하고 있는데 질문이 있으면 질문 받고 추가적으로 자세히 설명해주고 있어요. 제가 전달하는 내용이 시뮬레이션 교육 전체에 엄청난 영향을 주더라고요. 낯선 환자 모형 시뮬레이터 사용 방법이나 학습 목표, 시뮬레이션 진행 과정 같은 걸 정확하게 알려 주면 학생들이 덜 긴장하게 되고 아무래도 흥미를 가지고 누구 하나 빠짐없이 잘 참여하게 되요. 시뮬레이션 구동 중에는 학생들이 수행하는 세부적인 행동, 부족한 부분을 주의 깊게 관찰해서 디브리핑 할 때 중요한 질문도 하고 피드백을 주려고 노력해요. 이때 관찰하는 것이 나중에 디브리핑 할 때 학생들과 구체적이고 명확한 포인트를 가지고 토론할 수 있게 해주는 것 같아요. 저 혼자 제 경험과 지식을 말해준다고 되는 게 아니잖아요. 학생들이 스스로 수행한 것을 보고 시뮬레이션 동안 경험한 것을 자유롭게 이야기해야 하고, 능동적으로 평가하면서 성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학생들에게 정말 큰 도움이 되요.”
이 사례에서 시뮬레이션 교육의 촉진자(facilitator)는 시뮬레이션 전 과정 참여, 숙련된 임상경험과 전문성을 가지고 능숙하고 효율적으로 진행, 학습자가 자신의 행동을 능동적으로 성찰할 수 있도록 안내라는 결정적 속성을 포함하고 있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개념의 부가 사례(경계 사례, 반대 사례, 관련 사례, 창안 사례)

다음 사례들은 경계 사례, 반대 사례, 관련 사례, 창안 사례로, 왜 모델 사례가 될 수 없는지를 보여줌으로써 촉진자(facilitator)의 중요한 속성을 보다 명확히 확인하는데 도움을 제공한다.

● 경계사례(borderline case)

경계 사례는 모든 개념의 속성을 완전히 포함하지는 않으나 중요한 속성의 일부를 포함하는 사례이다(Walker & Avant, 2005).
시뮬레이션 교육에서 디브리핑을 진행하는 간호학과 교수이다.
“저는 모성간호학을 가르치고 있는데, 수업하느라 시간이 없다보니 시뮬레이션 할 때 오티나 시나리오 구동은 연구원 선생님이랑 조교 선생님이 해주세요. 제가 전체적인 과정에 참여하면 좋기는 한데... 연구원 선생님이 대상자 케이스, 학습 목표, 시나리오 테이블이랑 준비해주셨고 저는 최종 컨펌을 했죠. 디브리핑은 여러 방법을 사용할 수 있겠지만 저는 녹화한 비디오를 같이 보는데요, 시뮬레이션 전 수업을 바로 끝내고 오다 보니 시나리오 구현하는 거는 마지막 한 팀 정도는 실제로 보는데 앞 조 꺼는 디브리핑 하면서 녹화된 비디오로 봐요. 학생들이 성찰하는 과정을 가질 수 있도록 돕기 위해 디브리핑 하는 동안 학생들이 나중에 임상에서 더 나은 환자 간호를 수행할 수 있도록 녹화된 비디오를 보면서 수행 중에 잘한 점, 부족한 점을 발견하고, 의견을 제시할 수 있는 분위기를 조성해주려고 해요. 제가 해주고 싶은 이야기가 참 많지만 제가 말하기 보다는 잘 들어주고 적절한 질문을 하는 정도로 참여를 유도하고 있어요.”
이 사례는 시뮬레이션 교육에서 디브리핑만을 진행하는 간호학과 교수의 사례이다. 촉진자(facilitator)가 시뮬레이션 시작 시 학습 목표, 진행 등을 공유하는 과정이 필요한데, 이러한 과정이 다른 교수자에 의해 수행되고 있었다. 또한 디브리핑 시 의사소통을 통해 학습자가 깊이 있는 성찰과 학습이 되도록 돕고자 하였으나, 시나리오 구현 시 학습자의 수행에 대한 세부적인 관찰이 미비하게 이루어지고 있었다. 이는 디브리핑에서의 건설적인 피드백을 저해할 수 있어, 촉진자(facilitator)의 모든 결정적 속성을 충족시키지는 못하는 경계 사례라고 볼 수 있다.

● 반대 사례(contrary case)

반대사례는 개념의 속성이 전혀 나타나지 않으며, 규명된 속성과 반대되는 사례이다(Walker & Avant, 2005).
통합 시뮬레이션 과목을 담당하는 간호학과 교수이다.
“이번에 통합 시뮬레이션 과목을 맡게 되었어요. 저는 아동간호학 전공이고, 기본간호학 교수님과 통합 시뮬레이션 과목을 맡게 되었죠. 저랑 기본간호학 교수님이랑 효율적으로 일을 배분하고 통합하기 위해서 제가 앞 시간에는 호흡기 환자 케이스 대상으로 제가 시나리오 설명과 팀별 역할 배분 후에 시나리오를 구동해요. 근데 제가 통합 시뮬레이션 과목은 처음인데다가, 아무래도 성인 시뮬레이터에는 익숙하지가 않고 고가의 장비인데도 기계다보니 장비의 문제가 좀 종종 발생하는 어려움이 있네요. 오늘은 맨 첫 조가 기계가 갑자기 멈추는 바람에 중단되었다가 다시 시작하고, 시뮬레이터 말소리가 너무 안 들려서 학생들이 제가 하는 말을 잘 못 알아들어서 당황하다 보니 시나리오가 제대로 잘 진행이 안 되었어요. 같이 교수님들과 상의하고 의논해서 차츰 개선되어야할 사항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제 다음 시간에는 기본간호학 교수님이 디브리핑을 담당해주고 계세요. 기본간호학 교수님이 학생들의 부족한 지식을 채워주시기 위해 이론 시간에 다루었던 내용들, 호흡기계 환자 간호에서 이루어지는 것들 있잖아요, 왜 환자가 호흡곤란을 호소하는지, 갑자기 산소포화도가 떨어졌는지, 뭘 더 보완해야하는지를 상세히 설명해주는 식으로 업무를 나누어서 하고 있어요.”
이 사례는 통합 시뮬레이션 과목을 담당하는 간호학과 교수의 사례이다. 위 사례에서 교수자는 전 과정을 진행하지 않았으며, 학습상황, 과정 등을 점검하고 안내하는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여 학습자가 시나리오 구동 시 당혹감을 경험할 수 있었다. 또한 디브리핑 시에도 전통적인 교수자 중심의 강의, 해결책 제시하는 방식을 사용하여 학습자의 경험이 아닌 전문가의 경험을 전달하고 직접적으로 개입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이것은 학습자의 자발적인 교육 참여를 저하시킬 수 있다.

● 관련 사례(related case)

관련 사례는 분석하는 개념과 유사하지만 검토해보면 다른 개념의 속성을 가지고 있는 사례이다. 분석하는 개념과 관계가 있어 비슷하지만, 결정적인 속성을 포함하지 않기 때문에 차별화된 의미를 가진다(Walker & Avant, 2005).
교수자를 위한 시뮬레이션 교육 과정을 이수하였고, 지역사회간호학 실습을 담당하는 임상교수이다.
“지역사회간호학 실습을 하는 임상 교수로 있으면서 시뮬레이션 교육을 위해서 훈련을 많이 받았죠. 국내 시뮬레이션 교육 센터에서 고성능 인체 환자 모형 시뮬레이션 교육, 표준화 환자 훈련을 받고 직접 실습도 했어요. 그리고 시나리오 개발도 교육 받았어요. 시뮬레이션 기획 단계부터 회의에 참석하고 있는데.. 혼자서는 진행하기 어려우니깐 지역사회간호학 담당 교수님과 함께 시뮬레이션을 운영하고 있거든요, 저랑 교수님이라 업무를 분담해서 운영중이예요. 저는 시나리오에 맞게 매회 시뮬레이션 실습실 물품을 준비하는 것부터 시뮬레이션이 진행될 때 실시간 녹화하는 것, 그리고 그게 잘 저장돼서 나중에 디브리핑 할 때 열어볼 수 있는지, 하드에 잘 저장되는지 확인하는 것 등을 담당하고 있어요. 시뮬레이션 교육에 모두 참여하면서 전 과정에 관여하고 있어요.”
이 사례에서 교수자는 시뮬레이션 교육에 대한 훈련 프로그램에 참여한 후, 시뮬레이션 교육 전 과정에 참여하고 있었으나, 물품 준비와 같은 자원의 연결, 녹화 등 기술적인 측면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는 상태였다. 교수자는 학습에 필요한 환경을 일부 조성하는데 기여하였으나, 시뮬레이션의 역동적인 과정에 참여하며 학습자가 문제 해결을 논의하고 도출할 수 있도록 관여하지 않아, 촉진자(facilitator) 개념을 드러내기에는 부족하였다.

● 창안 사례(invented case)

창안사례는 일상적으로 겪게 되는 경험 밖에서 새로운 아이디어를 이용하여 구성된 사례이다(Walker & Avant, 2005).
시뮬레이션 교육 진행 경험이 1년 미만인 간호학과 교수이다.
“시뮬레이션 교육을 얼마 전에 받고 실제 시작을 하게 되었어요. 제가 강의 경험은 많은데 이런 교육 방식은 처음이에요. 이게 단순한 정보를 제공하는 게 아니라.. 뭔가 지식 공유를 넘어서는.. 그런 방식이랄까.. 처음 하는 만큼 준비를 철저히 했는데 시뮬레이션 목표를 세우고 학습 일정에 대한 계획안을 만드는 것부터 제가 다 시작했죠. 학생들도 시스템이나 소프트웨어가 익숙하지 않잖아요. 접근하는데 어려울 수 있으니깐 충분히 시간을 주고 도와주려고 해요. 그리고 시나리오 구동하면서 학생들이 뭘 하는지 일일이 잘 보고 특성이랑 행동이랑 잘 관찰하죠. 디브리핑 할 때도 제가 질문을 하고 학생들이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토론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데 시간이 걸리더라고요. 제 경험과 지식을 전달하지 않으려고 참고 인내심을 가지고 진행 중인데.. 적절한 질문을 하고 학생들의 반응을 이끌어 내야 하는데 그런 의사소통 기술이 정말 어려워요. 시간이 지나면 좀 괜찮아지겠죠? 시뮬레이션에 참여하는 학생들도 배워야하겠지만 저도 초보자인지라 계속 배워야한다고 생각해요.”
이 모델은 시뮬레이션 교육을 진행한지 1년 미만인 초보 촉진자(facilitator)의 모습을 나타내는 사례이다. 초보 촉진자(facilitator)로서 결정적 속성을 모두 포함하는 예이지만, 학습자를 집중시키고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분위기를 만들어주는 것, 건설적인 피드백을 사용하는 것 등 시뮬레이션 운영의 어려움을 느끼며, 교육의 필요성을 인식하는 사례라고 할 수 있다.

개념의 선행요인(antecedents)과 결과(consequences) 확인

● 선행요인

촉진자(facilitator)의 주요 선행요인은 시뮬레이션 간호 교육에 참여하는 두 명 이상의 학습자, 학습자와의 동반 관계 형성, 효과적인 의사소통 사용으로 나타났다.
첫째 선행요인은 시뮬레이션 간호 교육에 참여하는 두 명 이상의 학습자가 있을 때 촉진자(facilitator)가 나타난다는 것이다. 시뮬레이션 교육에서 뿐 아니라 다수의 사전적, 교육학적 문헌(Dolmans et al., 2009; Gilley et al., 2002; Schwarz, 2002; Yum & Park, 2009)에서 학습자는 소그룹 운영 내에서 조원들과 대화하고, 상호 학습하며, 협력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게 된다. 소그룹 참여 인원은 정확히 제시되지 않았으나, 촉진자(facilitator)는 학습자들이 효율적인 소그룹 운영을 통해 학습성과 달성이 능동적으로 촉진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고 강조하였다(Shin, 2014). 이는 촉진자(facilitator)의 개념의 특징을 명확하게 드러내기 위한 핵심적인 선행요인이라고 할 수 있다.
두 번째 선행요인은 촉진자(facilitator)가 학습자와 함께, 학습자를 위해 지지하는 동반 관계를 형성해야 한다는 것이다. 교육학에서 교수자는 지식을 가르치는 사람이 아닌 학습자가 지식을 구성할 수 있도록 돕는 관계임을 보고하였으며(Ahn 2013), 학습자가 모두 동등하고 자유롭게 참여할 수 있는 분위기와 관계 조성을 통해 학습자가 시뮬레이션 교육에 흥미를 느끼며 적극적으로 활동할 수 있도록 촉진하는 역할이 충실히 수행될 때(Boese et al., 2013; Moulton et al., 2017), 시뮬레이션 간호 교육의 효율적인 운영과 긍정적인 효과가 나타날 수 있다.
세 번째 선행요인은 촉진자(facilitator)가 학습자와 효과적인 의사소통을 사용해야 한다는 것이다. 촉진자(facilitator)는 학습자 간의 의사소통을 도울 뿐(Webster, 2003), 교수자와 학습자 간의 의사소통은 최소화하고 개입하지 않는 것으로 잘못 이해될 수 있으나, 효과적이고 다양한 언어적, 비언어적 의사소통을 사용하여 학습자에게 정확하게 시뮬레이션 교육과정을 전달해야 한다(Mayville, 2011). 디브리핑 과정에서 촉진자(facilitator)의 효과적인 질문, 건설적인 피드백을 통해 주의집중을 유도하고 동기를 부여한다면, 학습자의 통찰력이 자극되어, 토론 참여와 비판적 분석 능력이 촉진될 수 있다고 하였다(Mayville, 2011). 학습자의 경험을 기반으로 학습이 이루어져야 하므로(Gilley et al., 2002; Rosen et al., 2008), 학습자의 이야기에 귀를 기울이고 공감을 표현하는 적극적인 경청과 학습자의 표정, 제스처 등을 관찰하며 의미를 파악하는 것 또한 포함한 의사소통이 촉진자(facilitator)의 선행요인이다.

● 결과 확인

촉진자(facilitator)의 개념 분석결과 확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촉진자(facilitator)는 중립적인 입장에서 학습자의 학습 및 수준에 적합한 학습 환경을 지원하는 역할을 내포하고 있다.
둘째, 학습자는 시뮬레이션 간호 교육에서 설정한 학습목표를 달성할 수 있다.
셋째, 촉진자(facilitator)의 역할이 제대로 수행되지 않는다면, 소극적인 방관자의 역할만을 내포하게 된다.
넷째, 시뮬레이션 간호 교육에서 촉진자(facilitator)의 역할이 제대로 수행되지 않는다면, 학습자의 역량 강화에 부정적인 영향을 준다.

개념의 경험적 준거(empirical reference) 확인

경험적 준거는 개념의 속성이 실제현상에서 존재함을 증명하는 것이다(Walker & Avant, 2005). INACSL에서는 촉진자(facilitator)의 표준에 대하여 학습자와 학습 목표와 기대되는 결과에 대한 충분한 의사소통, 안전한 환경 조성, 충실도 증진 및 유지, 학습자의 학습 수준과 경험에 맞는 촉진, 학습자의 지식, 기술, 태도, 행동에 대한 사정 및 평가, 전문적인 자세, 시뮬레이션 학습을 발전시킴, 평가자료 구축, 건설적인 피드백과 디브리핑 제공을 제시하고 있다(Boese et al., 2013).
시뮬레이션 교육은 아니나, 간호대학생에게 적용한 문제중심학습 과정에 대한 연구(Kim, Yoon, & Hyoung, 2009)에서 학생들의 생각을 자유롭게 표현하도록 격려하였는지 등의 촉진자(facilitator)로서의 교수자 역할을 확인하였고, 학습운영에 있어 교수의 역할 개입정도가 적절하였는지를 평가하였다. 또한 시뮬레이션 교육에서 촉진자(facilitator)가 진행한 시뮬레이션 디브리핑은 동료 그룹 디브리핑보다 간호학생의 심폐 소생술 수행 능력, 시뮬레이션 경험에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냈으며(Roh, Kelly, & Ha, 2016), 간호대학생은 적절한 감독과 피드백에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나(Baillie & Curzio, 2009), 간호대학생의 학습성과 향상에 적합한 촉진자(facilitator)의 역할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의 개념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구체적이고 측정가능한 수준의 경험적 준거를 제시하자면, 첫째, 개념의 결정적 속성에서는 시뮬레이션 간호 교육 과정에서의 지원 범위, 진행(교육 구성, 안내, 감독, 피드백 촉진 등)의 숙련도, 임상상황과 관련된 전문성, 성찰학습 수준이 있으며, 둘째, 선행요인에서는 소그룹 활동, 학습자와의 관계, 의사소통 능력이 있고, 셋째 결과 확인에서는 학습지원에 대한 태도(중립성, 학습자 중심의 환경 유지, 학습자의 능동적 참여 등) 등이 있다. 촉진자(facilitator)는 시뮬레이션 교육 전 과정에 관여하는 포괄적인 개념이므로, 추후 이러한 속성을 심층적으로 드러내기 위한 질적 연구를 통해 각 단계에서 촉진자(facilitator)가 포함해야할 중요하고 의미 있는 요소를 세부적으로 찾아내는 것이 필요하겠다.

논 의

본 연구는 Walker와 Avant (2005)의 단계에 따라 시뮬레이션 간호 교육에서의 촉진자(facilitator)에 대한 개념적 속성, 주요 선행요인, 결과 확인, 경험적 준거 확인을 도출하였다. 이에 개념적 속성, 결과 확인을 중점적으로 논의하고자 한다.
먼저 본 연구에서는 세 가지의 개념적 속성을 확인하였다. 첫 번째 개념적 속성은 연속적인 시뮬레이션 교육 전 과정에서 지속적인 지원 제공으로, 사전적 내용의 고찰과 교육학적인 속성에서 촉진자(facilitator)는 학습자의 역량과 임상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지식과 기술을 명확히 이해하고(Gilley et al., 2002; Yum & Park, 2009), 기대하는 결과를 도출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나타났다(Collins, 2008). 이를 위해 촉진자(facilitator)는 시뮬레이션을 기획하고 설계하는 단계부터 참여해야 하며, 학습자가 심리적 안정감을 느낄 수 있도록 시뮬레이션 교육에 대한 충분한 안내, 시나리오 구동 및 디브리핑, 평가 등의 모든 측면을 관리하고 진행해야 한다(Lekalakala-Mokgele & Du Rand, 2005; Moulton et al., 2017).
두 번째 개념적 속성은 임상관련 전문성을 토대로 하는 능숙한 진행으로, 시뮬레이션 간호 교육에서의 촉진자(facilitator)는 학습과 의사소통을 촉진하는 일반 촉진자(facilitator) 역량에(Webster, 2003), 임상경험을 활용하는 전문적인 지식이 추가되어야 한다(Boese et al., 2013; Moulton et al., 2017; Rosen et al., 2008). 촉진자(facilitator)는 학습자가 몰입할 수 있는 임상상황을 재현하고, 관련된 사항을 정확하고 신속하게 파악해야 한다. 또한 효과적인 피드백과 정리를 통해 실제로 환자 치료에 반영할 수 있는 간호와 수행한 간호와의 차이를 구분할 수 있도록 이끌어 내는 전문성이 요구된다.
세 번째 개념적 속성은 학습자가 능동적으로 상황을 이해하고 성찰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것이며, 교육의 구성주의 학습이론에서 지식의 구성체는 학습자이고(Yang et al., 2008), 학습자가 스스로 지식을 구성하는 것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하였다(Ahn, 2013). 따라서 촉진자(facilitator)는 학습자에게 전체적인 절차와 과정을 제공해야 하지만, 무엇을 가르칠지 내용을 미리 준비하기보다는 학습 정보가 학습자들로부터 나오도록 해야 하며, 자신의 행동에 대해 더 잘 알도록 해야 한다(Gilley et al., 2002). 촉진자(facilitator)는 학습자가 비판적 성찰을 할 수 있도록 유도하고(Shin, 2014), 문제해결 방안에 대한 적절한 의사결정을 달성할 수 있도록 도와주어야 한다(Yum & Park, 2009).
이에 도출된 결과 확인은 네 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촉진자(facilitator)의 역할이 제대로 수행된다면 나타나는 결과는 두 가지로, 먼저 중립적인 입장에서 학습자의 학습 및 수준에 적합한 학습 환경을 지원하는 역할로, 촉진자(facilitator)는 시뮬레이션 상황을 조절하고 지배하는 것이 아니라, 조직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중립적인 입장에서 토론의 방향을 안내하게 되며(Schwarz, 2002), 학습자의 참여를 촉진하고, 스스로 자신의 행동에 대해 잘 알도록 해준다(Mayville, 2011). 또한 학습자는 시뮬레이션 간호 교육에서 설정한 학습목표를 달성할 수 있는 것이며, 시뮬레이션 간호 교육에서는 술기수행능력, 임상판단능력, 팀워크, 문제해결능력, 의사소통기술, 리더십 등(Choi, 2016; Ha & Ko, 2012; Kim & Heo, 2017; Mayville, 2011; Moulton et al., 2017; Roh et al., 2016; Shin, 2014)의 달성을 목표로 설정하게 된다. 촉진자(facilitator)가 시뮬레이션 수행 과정, 목표 등을 설명하여 학습자를 준비시키고, 구체적인 임상상황을 재현한다면(Mayville, 2011), 최대 성과를 달성할 수 있는 환경이 마련되어(Ahn, 2013), 학습자의 능동적인 참여와 학습목표 성취가 이루어지게 된다.
촉진자(facilitator)의 역할이 제대로 수행되지 않는다면 나타나는 결과 역시 두 가지이며, 우선 소극적인 방관자의 역할로, 촉진자(facilitator)는 시뮬레이션 교육 전 과정에서 촉진과 지원을 통해(Lekalakala-Mokgele & Du Rand, 2005; Moulton et al., 2017), 학습자의 적극적인 학습과 성찰을 장려해야 하는데(Shin, 2014), 학습상황에 대한 최소한의 개입 또는 일부 단계만 진행을 한다면, 촉진자(facilitator)의 역할이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마지막으로 학습자의 역량 강화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이며, 촉진자(facilitator)가 지식의 단순 전달과 암기를 위한 강의 방식을 유지하거나(Ahn, 2013), 피드백 제공에 대한 부정적인 감정을 느끼지 않도록 안내(Boese et al., 2013; Mayville, 2011)하지 않으면, 학습자의 감정이 상하게 되고, 새로운 지식 습득과 역량 강화가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간호학은 아니지만, 농업교육강사의 퍼실리테이션 역량 향상을 위해서는 내용 전공자로서의 역량과 과정 전문가적 역량이 동시에 요구된다고 제시하며, 농업교육강사의 퍼실리테이션 하위 역량에 따른 전략적 접근을 활용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긍정적인 효과를 확인하였다(Lee & Park, 2014). Moulton 등(2017)의 연구에서 학습자가 시뮬레이션을 통해 배우듯이 촉진자(facilitator)도 촉진을 위한 학습과정이 필요하다고 제언한 바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나타난 시뮬레이션 간호 교육에서의 촉진자(facilitator) 속성을 포함한 훈련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교수자에게 학습기회를 제공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훈련 프로그램의 구성 요소를 반영할 수 있는 지표를 개발하고 이를 사용하여 프로그램의 효과를 측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결론 및 제언

본 연구는 시뮬레이션 간호 교육에서 중요한 개념임을 알고 있으나 명확하지 않았던 촉진자(facilitator)의 개념을 도출하고 다른 유사개념들과 구분하여 의미를 마련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촉진자(facilitator) 개념에 대한 학문적 관심을 재고할 수 있었으며, 시뮬레이션 간호 교육의 질적 향상에 대비하여 촉진자(facilitator) 개념이 반영된 훈련 프로그램 구축의 근거 자료로 활용됨으로써 궁극적으로 간호대학생의 효율적인 시뮬레이션 교육에 기여하리라고 사료된다. 본 연구는 시뮬레이션 간호 교육의 고성능 인체 환자 모형(High-fidelity simulator), 표준화 환자 등에서 나타난 촉진자(facilitator)를 모두 포함한 결과로, 시뮬레이션 교육에서 촉진자(facilitator) 뿐 아니라 표준화 환자의 피드백이 학습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점에서 제한점이 있다.
본 연구 결과를 근거로 다음의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추후 연구에서는 시뮬레이션 간호 교육을 고성능 인체 환자 모형(High-fidelity simulator), 표준화 환자로 세분화하여 촉진자(facilitator) 개념을 확인하는 연구를 제언한다. 둘째, 시뮬레이션 간호 교육에서 촉진자(facilitator)의 역할과 역량에 대한 구체적인 지침을 규명하는 서술적 연구, 명확한 개념을 근거로 촉진자(facilitator) 모형 개발 연구를 제언한다. 셋째, 시뮬레이션 간호 교육에서의 촉진자(facilitator) 훈련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수준 개선을 위한 평가도구가 개발되어야 한다. 넷째, 시뮬레이션 교육 뿐 아니라, 간호 교육에서의 문제중심학습법, 액티브 러닝 등에도 촉진자(facilitator) 개념을 확대·적용하고 효과를 확인하는 실증적 연구가 수행되어야 한다.

References

Ahn, D. H. (2013). ICT and English education in the global age. Korean Journal of General Education, 7(4), 501-527.

Ahn, D. H.(2013ICT and English education in the global ageKorean Journal of General Education7(4501-527
Baek, H. C. (2013). Implementing home visiting simulation for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27(1), 40-49.
crossref
Baek, H. C.(2013Implementing home visiting simulation for nursing students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27(140-49
Baek, S., & Lee, H. (2012). Difference analysis of current level and necessary level for development on competency of adult education facilitator. Journal of Lifelong Learning Society, 8(3), 59-85.
crossref
Baek, S., et al, Lee, H.(2012Difference analysis of current level and necessary level for development on competency of adult education facilitatorJournal of Lifelong Learning Society8(359-85
Baillie, L., & Curzio, J. (2009). Students’ and facilitators’ perceptions of simulation in practice learning. Nurse Education in Practice, 9(5), 297-306.
crossref
Baillie, L., et al, Curzio, J.(2009Students’ and facilitators’ perceptions of simulation in practice learningNurse Education in Practice9(5297-306
Barnhart, R. K., & Steimnetz, S. (Eds). (1988). The Barnhart dictionary of etymology. New York: HW Wilson.

Barnhart, R. K., et al, Steimnetz, S. (Eds)(1988The Barnhart dictionary of etymologyNew YorkHW Wilson
Bland, A. J., Topping, A., & Wood, B. (2011). A concept analysis of simulation as a learning strategy in the education of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Nurse Education Today, 31(7), 664-670.
crossref
Bland, A. J., Topping, A., et al, Wood, B.(2011A concept analysis of simulation as a learning strategy in the education of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Nurse Education Today31(7664-670
Boese, T., Cato, M., Gonzalez, L., Jones, A., Kennedy, K., Reese, C., et al. (2013). Standards of best practice: Simulation standard V: Facilitator. Clinical Simulation in Nursing, 9(6S), S22-S25.
crossref
Boese, T., Cato, M., Gonzalez, L., Jones, A., Kennedy, K., Reese, C.et al.(2013Standards of best practice: Simulation standard V: FacilitatorClinical Simulation in Nursing9(6SS22-S25
Choi, E. J. (2016). Relationships between metacognition, problem solving process, and debriefing experience in simulation as problem based learning (S-PBL).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6(1), 459-469.
crossref
Choi, E. J.(2016Relationships between metacognition, problem solving process, and debriefing experience in simulation as problem based learning (S-PBL)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16(1459-469
Collins, J. (Ed). (2008). Collins essential English dictionary. New York: Harper Collins.

Collins, J. (Ed)(2008Collins essential English dictionaryNew YorkHarper Collins
Dieckmann, P., Phero, J. C., Issenberg, S., Kardong-Edgren, S., Ostergaard, D., & Ringsted, C. (2011). The first research consensus summit of the society for simulation in healthcare conduction and a synthesis of the results. Journal for the Society for Simulation in Healthcare, 6(7), s1-s9.
crossref
Dieckmann, P., Phero, J. C., Issenberg, S., Kardong-Edgren, S., Ostergaard, D., et al, Ringsted, C.(2011The first research consensus summit of the society for simulation in healthcare conduction and a synthesis of the resultsJournal for the Society for Simulation in Healthcare6(7s1-s9
Dolmans, D. H., Gijselaers, W. H., Moust, J. H., deGrave, W. S., Wolfhagen, I. H., & vander Hendry, G. D. (2009). Problem-based learning tutors' conceptions of their development as tutors. Medical Teacher, 31(2), 145-150.
crossref
Dolmans, D. H., Gijselaers, W. H., Moust, J. H., deGrave, W. S., Wolfhagen, I. H., et al, vander Hendry, G. D.(2009Problem-based learning tutors' conceptions of their development as tutorsMedical Teacher31(2 p. 145-150
Gilley, J. W., Eggland, S. A., & Gilley, A. M. (2002). Principles of human resource development (2nd ed). New York: Basic Books.

Gilley, J. W., Eggland, S. A., et al, Gilley, A. M.(2002Principles of human resource development(2nd ed)New YorkBasic Books
Hansen, J., & Bratt, M. (2015). Competence acquisition using simulated learning experiences: A concept analysis. Nursing Education Perspectives, 36(2), 102-107.
crossref
Hansen, J., et al, Bratt, M.(2015Competence acquisition using simulated learning experiences: A concept analysisNursing Education Perspectives36(2102-107
Ha, Y. K., & Koh, C. K. (2012). The effects of mechanical ventilation simulation on the clinical judgment and self-confidence of nursing students. Perspectives in Nursing Science, 9(2), 119-126.

Ha, Y. K., et al, Koh, C. K.(2012The effects of mechanical ventilation simulation on the clinical judgment and self-confidence of nursing studentsPerspectives in Nursing Science9(2119-126
Human resources development terminology dictionary (2010, September). Facilitator. Retrieved from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178973&cid=51072&categoryId=51072

Human resources development terminology dictionary(2010SeptemberFacilitatorRetrieved from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178973&cid=51072&categoryId=51072
Kim, K. J., Yoon, J., & Hyoung, H. K. (2009). Analysis of problem based learning based on the self-reflection journals and class evaluation of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16(4), 438-448.

Kim, K. J., Yoon, J., et al, Hyoung, H. K.(2009Analysis of problem based learning based on the self-reflection journals and class evaluation of nursing students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16(4438-448
Kim, J., & Heo, N. (2017). Effects of simulation education using a high-fidelity simulator combined with standard patient.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7(23), 333-353.
crossref
Kim, J., et al, Heo, N.(2017Effects of simulation education using a high-fidelity simulator combined with standard patient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17(23333-353
Lee, Y. J., & Park, G. J. (2014). Measuring effectiveness of facilitation program-focusing on agricultural facilitators. Journal of Agricultural Education and Human Resource Development, 46(1), 27-47.
crossref
Lee, Y. J., et al, Park, G. J.(2014Measuring effectiveness of facilitation program-focusing on agricultural facilitatorsJournal of Agricultural Education and Human Resource Development46(127-47
Lekalakala-Mokgele, E., & Du Rand, P. P. (2005). A model for facilitation in nursing education. Curationis, 28(2), 22-29.
crossref
Lekalakala-Mokgele, E., et al, Du Rand, P. P.(2005A model for facilitation in nursing educationCurationis28(222-29
Mayville, M. L. (2011). Debriefing: The essential step in simulation. Newborn and Infant Nursing Reviews, 11(1), 35-39.
crossref
Mayville, M. L.(2011Debriefing: The essential step in simulationNewborn and Infant Nursing Reviews11(135-39
Moulton, M. C., Lucas, L., Monaghan, G., & Swoboda, S. M. (2017). A CLEAR approach for the novice simulation facilitator. Teaching and Learning in Nursing, 12(2), 136-141.
crossref
Moulton, M. C., Lucas, L., Monaghan, G., et al, Swoboda, S. M.(2017A CLEAR approach for the novice simulation facilitatorTeaching and Learning in Nursing12(2136-141
Roh, Y. S., Kelly, M., & Ha, E. H. (2016). Comparison of instructor‐led versus peer‐led debriefing in nursing students. Nursing & Health Sciences, 18(2), 238-245.
crossref
Roh, Y. S., Kelly, M., et al, Ha, E. H.(2016Comparison of instructor‐led versus peer‐led debriefing in nursing studentsNursing & Health Sciences18(2238-245
Rosen, M. A., Salas, E., Silvestri, S., Wu, T. S., & Lazzara, E. H. (2008). A measurement tool for simulation based training in emergency medicine: The simulation module for assessment of resident targeted event responses (SMARTER) approach. Simulation in Healthcare, 3(3), 170-179.
crossref
Rosen, M. A., Salas, E., Silvestri, S., Wu, T. S., et al, Lazzara, E. H.(2008A measurement tool for simulation based training in emergency medicine: The simulation module for assessment of resident targeted event responses (SMARTER) approachSimulation in Healthcare3(3170-179
Schwarz, R. (2002). The skilled facilitator: A comprehensive resource for consultants, facilitators, managers, trainers, and coaches. CA: John Wiley & Sons.

Schwarz, R.(2002The skilled facilitator: A comprehensive resource for consultants, facilitators, managers, trainers, and coachesCAJohn Wiley & Sons
Shin, S. J. (2014). Simulation based education and current learning theories. Journal of Korea Society for Simulation in Nursing, 2(1), 15-20.

Shin, S. J.(2014Simulation based education and current learning theoriesJournal of Korea Society for Simulation in Nursing2(115-20
Walker, L. O., & Avant, K. C. (2005). Strategies for theory construction in nursing (4th ed.). Upper saddle river, NJ: Pearson Prentice hall.

Walker, L. O., et al, Avant, K. C.(2005Strategies for theory construction in nursing(4th ed.)Upper saddle river, NJPearson Prentice hall
Webster, M. (Ed). (2003). Merriam-Webster's Collegiate Dictionary. Springfield, MA: Merriam-Webster.

Webster, M. (Ed)(2003Merriam-Webster's Collegiate DictionarySpringfield, MAMerriam-Webster
Yang, E., Lee, S., & Hwang, E. (2008). Teaching medical students in primary and secondary care: A resource book. Seoul: Koonja Publishing.

Yang, E., Lee, S., et al, Hwang, E.(2008Teaching medical students in primary and secondary care: A resource bookSeoulKoonja Publishing
Wikipedia (2017, September). Facilitator. Retrieved from https://en.wikipedia.org/wiki/Facilitator

Wikipedia(2017SeptemberFacilitatorRetrieved from https://en.wikipedia.org/wiki/Facilitator
Yum, J. H., & Park, S. H. (2009). Applying and implementation of learning organization with action learning: D corporation case.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0(11), 3390-3398.
crossref
Yum, J. H., et al, Park, S. H.(2009Applying and implementation of learning organization with action learning: D corporation case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10(113390-3398


ABOUT
BROWSE ARTICLES
FOR CONTRIBUTORS
Editorial Office
Department of Nursing,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1 Chungdae-ro, Seowon-gu, Cheongju-si, Chungcheongbuk-do, 28644, Korea
Tel: +82-43-249-1712    E-mail: spark2020@chungbuk.ac.kr                

Copyright © 2024 by The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