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호대학생의 삶의 의미에 영향 미치는 요인

Factors Influencing Meaning in Life of Nursing Students

Article information

J Korean Acad Soc Nurs Educ. 2017;23(1):57-65
1)Doctoral Student, Department of Nursing, Graduate School of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2)Post-doc, College of Nursing, Ewha Womans University
Kim So-Myeong1), Kim Su-Ol2)
1)경북대학교 대학원 박사과정생
2)이화여자대학교 박사 후 연구원
Kim, Su-Ol College of Nursing, Ewha Womans University 52 Ewhayeodae-gil, Seodaemun-gu, Seoul 03760, Korea. Tel: 82-54-854-0563 Fax: 82-54-823-2884 E-mail: teddy627@hanmail.net
Received 2016 June 28; Revised 2017 January 24; Accepted 2017 January 27.

Trans Abstract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factors influencing meaning in life of nursing students.

Methods

This was a descriptive survey study. Data were collected using questionnaires from a sample of 210 nursing students. Data were analyzed using frequencies, means,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ith SPSS 21.0.

Results

The mean of the score from the meaning in life was 4.82.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ubjects’ perception of meaning in life according to school year, grade level, motivation to apply to a nursing program, and satisfaction with a nursing major. Meaning in life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positive affect, subjective happiness and social support, which were significant predictors (49.1%) of meaning in life.

Conclusion

To improve meaning in life of the nursing students, pay attention to positive affect, subjective happiness, and social support.

서 론

연구의 필요성

최근 긍정심리학에 대한 관심과 함께 삶의 의미에 관한 관심 또한 증가하고 있다(Cavazos Vela, Cavazos, Cavazos, Gonzalez & Castro, 2015; Seligman & Csikzentmihalyi, 2000). 긍정심리학은 삶의 질을 높이고 질병을 예방하기 위해 개인의 긍정적이고 주관적인 경험, 긍정적인 개인적 특성, 그리고 긍정적인 제도적 장치를 연구하는 과학이라고 정의되고 있으며, 의미 있는 삶을 통해 행복을 추구하는 심리학의 흐름으로 매우 광범위하지만, 인간의 삶을 좀 더 행복하고 풍요롭게 하기 위한 주제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Seligman & Csikzentmihalyi, 2000).

삶의 의미는 삶을 살아가는 의도나 이유, 즉 삶의 목적을 뜻하며, 개인이 삶에서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것, 개인이 부여한 의미, 즉 ‘중요하다’ 혹은 ‘의미 있다’고 개인이 스스로 의미를 부여하여 판단하는 것으로(Park & Kwon, 2013), 주관적으로 느끼는 유쾌한 상태인 행복을 넘어서 자기실현과 성장을 강조하고 있다(Park, 2013).

Steger, Frazier, Oishi와 Kaler (2006)는 모호하게 다루어지는 삶의 의미 측정도구를 통합하고 재분석하는 과정에서 삶의 의미를 주관적으로 삶에서 의미를 가지고 있다는 느낌인 의미 존재(the presence of meaning in life)와 의미를 찾고 싶은 욕구나 동기인 의미 추구(the search for meaning in life)라는 두 개의 하위개념으로 구분하였다. 의미 존재는 자신의 삶에서 목적, 소명, 대단히 중요한 목표를 인지하고 있는 정도이며, 의미 추구는 자신이 삶의 목표와 중요한 의미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키려고 노력하는 열정과 활동(Steger, Kashdan, Sullivan, & Lorentz, 2008)을 의미한다.

삶의 의미가 높은 사람은 삶의 의미 수준이 낮은 사람보다 높은 스트레스 상황 속에서 보다 적응적인 스트레스 대처 전략을 사용하고(Halama & Bakosova, 2009), 삶에 만족하고, 긍정적 정서를 느끼며, 우울, 불안, 고독 및 신경증 성향이 덜 함이 보고되고 있다(Won, Kim & Kwon, 2005). Park (2013)은 삶의 의미 연구에서 다른 연령층에 비해 대학생은 삶의 의미의 중요도와 일치도의 차이가 큰 것으로 보고하였다. 이는 대학생들이 삶의 의미가 중요하다고 생각하지만 이와 일치되는 삶을 살아가지 못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삶의 의미가 중요함에도 의미 있는 삶만 살지 않는 다는 것은 대학생의 실존적 공허감을 증가시키고 결과적으로 심리적 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Kim, 2014). 따라서 대학생의 삶의 의미는 그들의 발달을 긍정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강력한 동기 유발 요소가 되므로(Bronk, Finch, & Talib, 2010), 삶의 의미와 목적을 발견하면 미래의 삶에 대하여 구체적이고 분명한 목표를 가질 수 있게 되며 스스로 자기 가치와 발달 가능성을 파악하여 독립적이고 정신적으로 풍부한 생활을 영위할 수 있게 되므로(Kim, 1995), 대학생의 삶의 의미 수준과 영향요인을 개인적 특성을 포함하여 파악함으로써 스스로 자신의 가능성을 개발하고 삶의 방향을 설정하도록 도울 필요가 있다(Kim, 2013).

특히 간호대학생은 자신의 인생에 대한 참 의미와 목적 즉, 삶의 의미가 없다면 간호사 직업에 대한 참다운 의미와 목적을 소유하지 못하게 되어 개인의 정신건강뿐 아니라 간호를 받는 대상자에게 영향을 미치게 된다(Kang, 2001). 따라서 간호대학생들이 주관적 행복감을 경험하며 삶의 의미를 발견하는 것은 간호대학생의 대학생활과 졸업 후에 전문직 간호사로서의 역할을 확립할 수 있는 직업관을 갖는데 큰 영향을 미친다는 점에서 중요하다. 그러므로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학생의 삶의 의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여 간호대학생들이 타인의 삶을 이해하고 자신의 삶에 감사하며 긍정적 정서를 경험하고 삶의 의미를 찾아갈 수 있도록 돕는데 있다.

Seligman과 Csikzentmihalyi (2000)는 행복의 개념을 긍정적 정서, 몰입과 삶의 의미로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하여 행복한 삶을 추구해야 한다고 하였다. Lightsey Jr와 Boyraz (2011)의 긍정적 정서와 삶의 의미의 관계 연구결과 긍정적 정서와 삶의 의미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선행연구(Fredrickson, Tugade, Waugh, & Larkin, 2003; Seligman & Csikzentmihalyi, 2000)에서 긍정적 정서가 삶의 의미에 영향 미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주관적 행복감은 긍정적 정서를 많이 경험하며 자신의 삶에 대해서 높은 만족도를 경험하는 상태를 의미하며(Kim, 2009), 주관적 행복감에 영향을 주는 요인 중 사회적 지지가 있다(Gallagher & Vell-Brodrick, 2008). 사회적 지지는 타인들에게서 얻을 수 있는 다양한 자원을 뜻하며(Hagen, Myers, & Mackintosh, 2005), 사회적 지지를 통해 개인은 자신이 사랑받고 가치 있는 존재라고 여길 수 있게 되어 자신감과 기대감을 갖게 되면서 앞날에 대한 믿음에 영향을 받게 된다(Jang & Lim, 2010). 또한, Song, Kim과 Kim (2012)의 연구에서 주관적 행복감이 삶의 의미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며, 사회적 지지가 삶의 의미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수(Heo & Son, 2009)로 나타났다. 따라서 간호대학생의 삶의 의미 수준과 영향요인을 파악함으로써 간호대학생 스스로 자신의 가능성을 개발하고 삶의 방향을 설정하도록 도울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삶의 의미 정도를 파악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함으로써 간호대학생의 삶의 의미 수준을 고려한 정신건강 지도 및 대학생활의 적응 향상을 도모하고자 한다.

연구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학생의 삶의 의미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요인을 파악하고자 하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ㆍ대상자의 긍정적 정서, 주관적 행복감, 사회적 지지, 삶의 의미를 파악한다.

ㆍ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삶의 의미 정도의 차이를 파악한다.

ㆍ대상자의 긍정적 정서, 주관적 행복감, 사회적 지지, 삶의 의미 간의 관계를 파악한다.

ㆍ대상자의 삶의 의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한다.

연구 방법

연구 설계

본 연구는 간호 대학생들의 삶의 의미 정도와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연구 대상

본 연구는 A시, M시 소재 2개 대학에 재학 중인 간호학과 학생 220명으로, 학교 당 110명, 1, 2, 3, 4학년 당 25-30명 정도를 할당하여 편의 추출하였다. 본 연구에 필요한 대상자 수는 G*Power 3.1.3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다중회귀분석에 필요한 효과 크기 0.15, 유의수준 .05, 검정력 .95로 산출한 결과 184명으로 탈락률을 고려하여 220명에게 설문지를 배부하였다. 그중 불성실하게 답변하였거나 부적절한 응답을 한 설문지를 제외하고 210명(91.3%)의 자료를 최종 분석에 활용하였다.

연구 도구

●긍정적 정서

본 연구에서 긍정적 정서는 Watson, Clark과 Tellegen (1988)이 개발한 PANAS 척도(Positive Affect and Negative Affect Schedule: PANAS)를 Lee, Kim과 Lee (2003)가 타당화한 도구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긍정적 정서는 외부 현실과의 조화로운 상태를 이루어 적극적·긍정적으로 현실을 바라보는 상태를 말하며(Watson et al., 1988), 10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5점 Likert 척도로 ‘전혀 그렇지 않다’ 1점에서 ‘매우 많이 그렇다’ 5점으로 총 점수 범위는 10점에서 50점까지, 점수가 높을수록 긍정적임을 의미한다. Lee 등(2003)의 연구에서 긍정적 정서의 Cronbach’s α는 .84이었고, 본 연구에서 Cronbach’s α는 .90이었다.

●주관적 행복감

본 연구에서 주관적 행복감은 Lyubomirsky와 Lepper (1999)가 개발한 주관적 행복감 척도(Subjective Happiness Scale)를 Lim (2004)이 번안한 도구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주관적 행복감은 개개인이 그들의 삶 속에서 자신의 기준에 의거하여 자신의 삶을 스스로 총체적으로 평가하는 것으로(Lyubomirsky & Lepper, 1999), 전반적인 주관적 행복감을 묻는 4개의 문항으로 구성되었으며 7점 Likert 척도로 ‘매우 행복하지 않다’ 1점에서 ‘매우 행복하다’ 7점으로, 부정적 문항은 역환산하여 계산하였다. 총 점수 범위는 4점에서 28점까지, 점수가 높을수록 주관적 행복감이 높음을 의미한다. Lim (2004)의 연구에서 Cronbach's α는 .76이었고, 본 연구에서 Cronbach's α는 .81이었다.

●사회적 지지

사회적 지지는 Park (1985)이 개발한 척도로 존경, 애정, 신뢰, 관심, 경험의 행위를 포함한 정서적 지지, 개인이 문제에 대처하는데 이용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적 지지, 필요시 직접적으로 돕는 물질적 지지, 자신의 행위를 인정해 주는 평가적 지지 행위 모두를 의미하며(Park, 1985), 25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Likert 5점 척도로, 각 문항은 ‘전혀 그렇지 않다’ 1점에서 ‘매우 그렇다’ 5점으로 총 점수 범위는 25점에서 125점까지, 점수가 높을수록 개인이 지각하는 사회적 지지가 높음을 의미한다. Park (1985)의 연구에서 도구의 신뢰도 Cronbach's ɑ는 .93이었으며, 본 연구에서 Cronbach's α는 .95이었다.

●삶의 의미

본 연구에서 삶의 의미는 Steger 등(2006)이 개발한 삶의 의미 척도를 Won 등(2005)이 번안한 삶의 의미 척도를 사용하였다. 삶의 의미는 개인이 스스로 의미를 부여하여 판단하는 것으로(Park & Kwon, 2013), 삶에 대한 목적 지향성이나 목적의식, 개인적인 중요성을 의미하며(Steger et al., 2006; Won et al., 2005), 자신의 삶이 의미 있다는 주관적인 느낌을 반영하는 ‘의미 존재’ 5문항과 자신의 삶에서 의미를 찾으려는 ‘의미 추구’ 5문항의 10문항으로 이루어져 있다. Likert 7점 척도로, 각 문항은 ‘전혀 그렇지 않다’ 1점에서 ‘언제나 그렇다’ 7점으로 총 점수 범위는 10점에서 70점까지, 점수가 높을수록 삶의 의미가 높은 것을 의미한다. Steger 등(2006)의 연구에서 신뢰도 Cronbach’s α는 .86-.87이었고, Won 등(2005)의 연구에서 Cronbach’s α는 .90이었다. 본 연구에서의 Cronbach’s α는 .92이었다. Won 등(2005)의 연구에서 의미 존재와 의미 추구의 하위 영역의 신뢰도는 각각 Cronbach’s α .88 이었고, 본 연구에서 의미존재 Cronbach’s α는 .90, 의미추구 Cronbach’s α는 .91로 나타났다.

자료 수집 방법 및 윤리적 고려

자료수집은 해당기관의 책임자에게 설문조사에 대한 승인을 받은 후 2013년 11월 1일부터 2013년 11월 15일까지 이루어졌다. 연구자는 해당기관의 간호학과 강의실을 방문하여 대상자들에게 본 연구의 목적과 설문지 작성방법을 직접 설명하고 연구 참여에 서면 동의한 경우 설문지를 배부하였다. 참여자의 권리를 보호하기 위하여 익명이 보장되고, 비밀이 보장되며 참여자들의 자료는 연구 이외의 목적으로는 사용하지 않음을 설명하고, 연구 도중 참여를 원하지 않을 경우 언제라도 거부할 수 있음과 연구에 참여하지 않아도 불이익이 없음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작성된 설문지는 연구자가 직접 회수하였다. 설문에 소요된 시간은 약 10분 정도로 설문이 끝난 후에는 소정의 답례품을 제공하였다.

자료 분석 방법

본 연구의 조사 자료는 SPSS 21.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ㆍ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실수, 백분율, 평균 및 표준편차로 구하였다.

ㆍ대상자의 긍정적 정서, 주관적 행복감, 사회적 지지, 삶의 의미 정도는 평균과 표준편차로 구하였다.

ㆍ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삶의 의미 정도의 차이는 t-test, ANOVA, 사후 검정으로 Scheffe test를 사용하였다.

ㆍ대상자의 긍정적 정서, 주관적 행복감, 사회적 지지, 삶의 의미 간의 관계는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ㆍ대상자의 삶의 의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및 영향 정도는 다중공 선성의 진단 후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본 연구 대상자의 평균 연령은 21.41±2.74세이었으며, 성별은 여학생이 89.0%로 많았다. 학년별로는 4학년이 27.6%를 차지하였으며, 본인이 생각하는 학교 성적의 수준은 67.6%가 중간 정도로 인식하고 있었다. 주관적 건강 상태는 92.9%가 좋은 것으로 인식하고, 취업전망이 밝아서 간호학을 선택했다고 응답한 학생이 51.9%로 나타났다. 전공에 대한 만족도는 74.3%가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Table 1).

General Characteristics (N=210)

긍정적 정서, 주관적 행복감, 사회적 지지, 삶의 의미

본 연구결과 긍정적 정서는 5점 만점에 평균 3.25±0.67점이었고, 주관적 행복감은 7점 만점에 평균 4.74±0.88점, 사회적 지지는 5점 만점에 평균 3.90±0.50점으로 나타났다. 삶의 의미는 7점 만점에 평균 4.82±0.96점으로 삶의 의미 존재는 7점 만점에 평균 4.65±1.07점이었고, 삶의 의미 추구는 7점 만점에 평균 4.96±1.04점으로 나타났다(Table 2).

Mean Scores for Positive Affect, Subjective Happiness, Social Support and Meaning in Life (N=210)

일반적 특성에 따른 삶의 의미

본 연구에서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삶의 의미를 분석한 결과, 간호대학생들은 학년, 학교 성적, 전공 선택 동기, 전공 만족도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4학년이 2학년보다 삶의 의미가 높게 나타났고(F=3.88, p=.010), 학교 성적의 수준이 중간인 학생이 낮은 학생보다 삶의 의미가 높게 나타났다(F=5.63, p=.004). 전공 선택 동기 중 적성에 맞거나 취업 전망이 밝아서 간호학을 선택한 학생이 주위 권유로 간호학을 선택한 경우보다 삶의 의미가 높게 나타났고(F=7.30, p=.001), 전공에 만족하는 학생이 전공에 불만족 하는 학생보다 삶의 의미가 높게 나타났다(t=3.77, p<.001)(Table 3).

Meaning in Life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N=210)

긍정적 정서, 주관적 행복감, 사회적 지지, 삶의 의미 간의 관계

본 연구에서 삶의 의미는 긍정적 정서(r=.59, p<.001), 주관적 행복감(r=.56, p<.001), 사회적 지지(r=.38, p<.001)와 모두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삶의 의미 하위 영역인 삶의 의미 존재와 삶의 의미 추구(r=.64, p<.001)간에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삶의 의미 존재는 긍정적 정서(r=.58, p<.001), 주관적 행복감(r=.58, p<.001), 사회적 지지(r=.33, p<.001)와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고, 삶의 의미 추구는 긍정적 정서(r=.48, p<.001), 주관적 행복감(r=.43, p<.001), 사회적 지지(r=.36, p<.001)와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Table 4).

Correlation among Variables (N=210)

삶의 의미에 영향 미치는 요인

연구 대상자의 삶의 의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긍정적 정서, 주관적 행복감, 사회적 지지, 그리고 일반적 특성 중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학년, 학교 성적, 전공 선택 동기, 전공 만족도를 독립변수로 투입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Table 5). 독립변수들 중 학년은 2학년, 학교 성적은 하, 전공 선택 동기는 가족 권유, 전공 만족도는 불만족을 기준으로 Dummy 변수로 처리한 후 분석하였으며, 다중 공선성(Multicollinearity) 검증결과 독립변수의 상관계수는 .80미만(r=-.16~.59)이었고, Durbin-Watson test에서 1.98로 나타나 자기상관이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독립변수 간의 다중 공선성(VIF)은 1.10~1.74로 모두 10 미만으로 나타나 다중공선성의 문제는 없었다. 자료 분석 결과 간호대학생의 삶의 의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회귀 모형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F=16.62, p<.001), 모형의 설명력은 49.1%이었다. 주된 영향요인으로는 긍정적 정서(β=.381, p<.001), 주관적 행복감(β=.314, p<.001), 사회적 지지(β=.123, p=.047)로 나타났다.

Predictors of Meaning in Life

논 의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삶의 의미에 영향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본 연구에서 간호대학생의 삶의 의미 정도는 7점 만점에 평균 4.82점으로 중상의 삶의 의미 수준을 보였고, 삶의 의미 존재보다 삶의 의미 추구가 더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도구와는 동일하지 않지만 7점 척도로 측정한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Kim (2013)의 4.70점보다는 높았으나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Park과 Wee (2013)의 4.96점보다는 낮았다. 이러한 차이는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및 연구도구 차이 등에 기인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향후에는 동일한 연구도구 사용과 일반적 특성을 고려한 삶의 의미를 체계적으로 비교, 분석하여 간호대학생의 삶의 의미 정도 개선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 필요하겠다. 삶의 의미 추구가 삶의 의미 존재보다 더 높게 나타난 결과는 Won 등(2005)의 연구결과와 일치한다. 삶의 의미가 있다고 느끼면서도 자신의 삶에서 끊임없이 의미를 추구하는 경향이 있음을 보여주므로 개별상담이나 집단상담을 통해 간호대학생의 삶의 의미를 발견하고, 삶의 의미를 추구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본 연구 결과, 삶의 의미 정도에 차이를 보인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학년, 학교 성적, 전공 선택 동기, 전공 만족도이었다. 이는 Choi (2011)의 대학생 연구에서 학년이 삶의 의미에 유의한 차이를 보인 결과, Kim (2013)의 대학생 연구에서 대학 성적이 삶의 의미에 유의한 차이를 보인 결과와 일치한다. 학년에 따른 차이는 4학년이 2학년에 비해 삶의 의미 수준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고학년일수록 자신의 미래에 대해 고민하고 취업 준비로 인해 삶에 대한 명확한 인식이 형성되었기 때문으로 생각한다. 학교 성적이 중간 정도로 인식하는 대상자들이 본인의 학교 성적을 최하로 인식하는 대상자들보다 삶의 의미 정도가 높았는데, 이러한 결과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삶의 의미 연구에서 학교 성적이 높은 경우 삶의 의미 정도가 높게 나타난 Kim (2013)의 연구결과와 일치한다. 또한, 전공 선택 동기가 취업전망이나 적성이 적합해서 간호학을 선택한 대상자와 전공에 만족하는 대상자의 경우 삶의 의미가 높게 나타난 결과도 Kang (2001)의 간호대학생 연구에서 전공에 대한 만족도가 높은 경우 삶의 의미에 유의한 차이를 보인 결과와 일치한다. 따라서 이를 반영하여 저학년부터 학년별로 삶의 의미를 발견하고 추구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안을 마련해야 하며, 체계적인 성적관리 방안, 흥미와 적성을 고려하지 않고 간호학에 입문한 학생들을 위해 입학 후 간호학에 흥미를 갖도록 하는 진로지도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또한, 일반적 특성에 따른 삶의 의미는 연구별로 차이가 있으므로 추후 반복적인 연구를 통해 결과를 재확인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본 연구에서 삶의 의미는 긍정적 정서, 주관적 행복감, 사회적 지지와 모두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고, 삶의 의미 하위 영역인 삶의 의미 존재와 삶의 의미 추구 또한 긍정적 정서, 주관적 행복감, 사회적 지지와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간호대학생의 긍정적 정서가 높을수록, 주관적 행복감이 높을수록, 사회적 지지가 높을수록 삶의 의미가 높음을 의미한다. 이러한 결과는 동일한 대상을 같은 측정도구로 연구한 결과가 없어 직접적인 비교는 어려우나 노인을 대상으로 삶의 의미와 긍정적 정서가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난 Song 등(2012)의 연구결과, 노인을 대상으로 삶의 의미와 주관적 행복감이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난 Son과 Cho (2005)의 연구결과, 청년기 집단을 대상으로 삶의 의미와 사회적 지지가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난 Heo와 Son (2009)의 연구결과와 일치한다. 이처럼 삶의 의미와 긍정적 정서, 주관적 행복감, 사회적 지지는 서로 깊이 관련되어 있으므로 긍정적 정서 향상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주관적 행복감을 향상시키고, 사회적 지지를 높일 수 있는 제도적 프로그램을 통해 삶의 의미를 향상시킬 수 있는 전략이 필요하겠다.

간호대학생의 삶의 의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긍정적 정서, 주관적 행복감, 사회적 지지로 확인되었으며, 긍정적 정서, 주관적 행복감 및 사회적 지지 중 긍정적 정서가 삶의 의미에 영향을 크게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긍정적 정서가 삶의 의미에 영향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Lightsey Jr와 Boyraz (2011)의 연구 결과와 일치하였다. 긍정적 사고는 개인이 삶을 긍정적으로 경험하고 올바른 인간성장을 추구하는 태도로 정의되며 행동의 변화를 지속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는 인지적 특성을 갖추고 있다(Seligman & Csikzentmihalyi, 2000). 따라서 간호대학생의 긍정적 정서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을 활성하고 지도하는 것은 간호대학생들의 삶의 의미를 증진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전략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주관적 행복감 역시 삶의 의미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Cavazos Vela 등(2015)의 연구에서 대학생의 주관적 행복감에 삶의 의미가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연구 결과와 일맥상통한다. Seligman과 Csikzentmihalyi (2000)는 진정한 행복을 위해서 삶의 의미를 고려해야 한다고 보고하였고, Park과 Kwon (2013)은 자신만을 위한 이기적인 삶보다는 타인과 사회를 위해 봉사하고 기여하는 관계 속에서 삶의 의미를 발견한다고 보고하였다. 그러므로 주관적 행복감은 삶의 의미와 가치를 발견하고 자신의 삶에 주된 역할을 할 수 있으므로 간호대학생들의 주관적 행복감을 느낄 수 있는 활동을 격려하여 삶의 의미 증진을 도모할 필요가 있다.

사회적 지지 역시 삶의 의미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Dobríková, Pčolková, AlTurabi와 West (2015)의 연구에서 사회적 지지가 삶의 의미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연구결과와 일치한다. 사회적 지지는 미래에 대한 자신감과 기대감을 갖게 되는데 영향을 주므로(Jang & Lim, 2010), 동아리 활동, 선후배 멘토-멘티, 교수 등 대학 내 사회적 지지를 위한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며, 가족, 친구 등 사회적 지지체계를 확대하여 간호대학생들의 삶의 의미 증진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본 연구는 2개 간호대학의 간호대학생만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으므로 이에 대한 연구결과를 일반화하는데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의 일반화를 위해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반복연구가 이루어지기를 제언한다.

결론 및 제언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삶의 의미 정도와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함으로써, 간호대학생의 삶의 의미를 향상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시행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대상자의 삶의 의미는 평균 4.82 점으로 나타났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삶의 의미는 학년, 학교 성적, 전공 선택 동기, 전공 만족도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삶의 의미는 긍정적 정서, 주관적 행복감, 사회적 지지와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긍정적 정서, 주관적 행복감, 사회적 지지가 삶의 의미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에 대한 설명력은 49.1%로 확인되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간호대학생의 삶의 의미를 향상시키기 위해 긍정적 정서 증진과 주관적 행복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체계적인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활성화하는 방안과 사회적 지지 향상 방안으로 교수 및 교내 동아리 활동 활성화를 위한 학교의 물질적, 시설적 지원이 필요하다. 또한, 간호학에 흥미를 갖도록 하고, 성적 향상을 위한 진로지도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할 필요가 있겠다. 향후 이러한 방안을 적용하고 이에 대한 효율성을 평가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References

1.

Bronk, K. C., Finch, W. H., & Talib, T. L. (2010). Purpose in life among high ability adolescents. High Ability Studies, 21(2), 133-145.

Bronk K. C., Finch W. H., et al, Talib T. L.. 2010;Purpose in life among high ability adolescents. High Ability Studies 21(2):133–145. 10.1080/13598139.2010.525339.
2.

Cavazos Vela, J., Cavazos, L., Cavazos, M., Gonzalez, S. L., & Castro, V. (2015). Understanding latina/o students’ meaning in life, spirituality, and subjective happiness. Journal of Hispanic Higher Education, 14(2), 171-184.

Cavazos Vela J., Cavazos L., Cavazos M., Gonzalez S. L., et al, Castro V.. 2015;Understanding latina/o students’ meaning in life, spirituality, and subjective happiness. Journal of Hispanic Higher Education 14(2):171–184. 10.1177/1538192714544524.
3.

Choi, M. S. (2011). The relationship of self-esteem, mental health, perceived social support and social avoidance and distress according to purpose in life.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16(2), 363-377.

Choi M. S.. 2011;The relationship of self-esteem, mental health, perceived social support and social avoidance and distress according to purpose in life.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16(2):363–377. 10.17315/kjhp.2011.16.2.008.
4.

Dobríková, P., Pčolková, D., AlTurabi, L. K., & West, D. J. (2015). The effect of social support and meaning of life on the quality-of-life care for terminally ill patients. American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Medicine, 32(7), 767-771.

Dobríková P., Pčolková D., AlTurabi L. K., et al, West D. J.. 2015;The effect of social support and meaning of life on the quality-of-life care for terminally ill patients. American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Medicine 32(7):767–771. 10.1177/1049909114546208.
5.

Fredrickson, B. L., Tugade, M. M., Waugh, C. E., & Larkin, G. R. (2003). What good are positive emotions in crises? a prospective study of resilience of emotions following the terrorist attacks on the united states on september 11th, 2001.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84(2), 365-376.

Fredrickson B. L., Tugade M. M., Waugh C. E., et al, Larkin G. R.. 2003;What good are positive emotions in crises? a prospective study of resilience of emotions following the terrorist attacks on the united states on september 11th, 2001.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84(2):365–376. 10.1037/0022-3514.84.2.365.
6.

Gallagher, E. N., & Vella-Brodrick, D. A. (2008). Social support and emotional intelligence as predictors of subjective well-being.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44(7), 1551-1561.

Gallagher E. N., et al, Vella-Brodrick D. A.. 2008;Social support and emotional intelligence as predictors of subjective well-being.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44(7):1551–1561. 10.1016/j.paid.2008.01.011.
7.

Hagen, K. A., Myers, B. J., & Mackintosh, V. H. (2005). Hope, social support, and behavioral problems in at-risk children. American Journal of Orthopsychiatry, 75(2), 211-219.

Hagen K. A., Myers B. J., et al, Mackintosh V. H.. 2005;Hope, social support, and behavioral problems in at-risk children. American Journal of Orthopsychiatry 75(2):211–219. 10.1037/0002-9432.75.2.211.
8.

Halama, P., & Bakosova, K. (2009). Meaning in life as a moderator of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stress and coping. Studia Psychologica, 51(2-3), 143-148.

Halama P., et al, Bakosova K.. 2009;Meaning in life as a moderator of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stress and coping. Studia Psychologica 51(2-3):143–148.
9.

Heo, J. Y., & Son, E. J. (2009). The mediating role of self-efficacy and perceived social support between meaning in lif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mong young and middle-aged adults. The Journal of Social Science, 28(2), 105-128.

Heo J. Y., et al, Son E. J.. 2009;The mediating role of self-efficacy and perceived social support between meaning in lif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mong young and middle-aged adults. The Journal of Social Science 28(2):105–128. 10.18284/jss.2009.12.28.2.105.
10.

Jang, H. J., & Lim, J. H. (2010). Hope in relation to social support in adolescent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Practical Arts Education, 22(1), 67-78.

Jang H. J., et al, Lim J. H.. 2010;Hope in relation to social support in adolescent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Practical Arts Education 22(1):67–78.
11.

Kang, E. S. (2001). Meaning and purpose in life of nursing students. Kosin Medical Journal, 16(1), 127-137.

Kang E. S.. 2001;Meaning and purpose in life of nursing students. Kosin Medical Journal 16(1):127–137.
12.

Kim, C. G. (2013). Effects of perceived death and self-esteem on meaning in life among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27(3), 539-550.

Kim C. G.. 2013;Effects of perceived death and self-esteem on meaning in life among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27(3):539–550. 10.5932/JKPHN.2013.27.3.539.
13.

Kim, D. H. (2014). The effects of the meaning in life self-awareness program for the university stud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Daegu.

Kim D. H.. 2014. The effects of the meaning in life self-awareness program for the university students et al.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Daegu:
14.

Kim, E. Y. (2009). The relationship between ego-identity, university life adjustment and employment strategy of university stud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Jinju.

Kim E. Y.. 2009. The relationship between ego-identity, university life adjustment and employment strategy of university students et al.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Jinju:
15.

Kim, Y. H. (1995). (The) Effects of group counseling based on logotherapy on the level of the purpose in life, the self-esteem and the decreasing of the stress of unmarried females in their twenti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Dong-A University, Pusan.

Kim Y. H.. 1995. (The) Effects of group counseling based on logotherapy on the level of the purpose in life, the self-esteem and the decreasing of the stress of unmarried females in their twenties et al. Dong-A University; Pusan:
16.

Lee, H. H., Kim, E. J., & Lee, M. G. (2003). Brief report: A validation study of korea positive and negative affect schedule: the panas scales. The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22(4), 935-946.

Lee H. H., Kim E. J., et al, Lee M. G.. 2003;Brief report: A validation study of korea positive and negative affect schedule: the panas scales. The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22(4):935–946.
17.

Lightsey Jr, O. R., & Boyraz, G. (2011). Do positive thinking and meaning mediate the positive affect-life satisfaction relationship?. Canadian Journal of Behavioural Science, 43(3), 203-213.

Lightsey Jr O. R., et al, Boyraz G.. 2011;Do positive thinking and meaning mediate the positive affect-life satisfaction relationship? Canadian Journal of Behavioural Science 43(3):203–213. 10.1037/a0023150.
18.

Lim, J. S. (2004). Relationships of a self-enhancement bias, life events and subjective well-being in old-adul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Lim J. S.. 2004. Relationships of a self-enhancement bias, life events and subjective well-being in old-adults et al.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19.

Lyubomirsky, S., & Lepper, H. (1999). A measure of subjective happiness: Preliminary reliability and construct validation. Social Indicators Research, 46(2), 137-155.

Lyubomirsky S., et al, Lepper H.. 1999;A measure of subjective happiness: Preliminary reliability and construct validation. Social Indicators Research 46(2):137–155. 10.1023/A:1006824100041.
20.

Park, J. W. (1985). A study to development a scale of social support.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Yonsei University, Seoul.

Park J. W.. 1985. A study to development a scale of social support et al. Yonsei University; Seoul:
21.

Park, S. Y. (2013). The relationship between meaning in life and psychological health: The development of the multidimensional meaning in life scale and a meaningfulness enhancement program.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Park S. Y.. 2013. The relationship between meaning in life and psychological health: The development of the multidimensional meaning in life scale and a meaningfulness enhancement program et al.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22.

Park, S. Y., & Kwon, S. M. (2012). A theoretical review with clinical implications for the meaning in life.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General, 31(3), 741-768.

Park S. Y., et al, Kwon S. M.. 2012;A theoretical review with clinical implications for the meaning in life.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General 31(3):741–768.
23.

Park, Y. R., & Wee, H. (2013). The influence of purpose in life, gratitude, and depression on anger in nursing college student.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15(5), 2685-2700.

Park Y. R., et al, Wee H.. 2013;The influence of purpose in life, gratitude, and depression on anger in nursing college student.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15(5):2685–2700.
24.

Seligman, M. E. P., & Csikzentmihalyi, M. (2000). Positive psychology: An introduction. American Psychologist, 55(1), 5-14.

Seligman M. E. P., et al, Csikzentmihalyi M.. 2000;Positive psychology: An introduction. American Psychologist 55(1):5–14. 10.1037/0003-066X.55.1.5.
25.

Son, J. K., & Cho, W. W. (2005). Social activities, social relations and life satisfaction among person' s sixty years and older. Journal of Social Research, 6(2), 5-39.

Son J. K., et al, Cho W. W.. 2005;Social activities, social relations and life satisfaction among person' s sixty years and older. Journal of Social Research 6(2):5–39.
26.

Song, H. R., Kim, C. W., & Kim, W. J. (2012). Relationship among life meaning, optimism and happiness in elderly women participants of physical activity.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2(4), 304-314.

Song H. R., Kim C. W., et al, Kim W. J.. 2012;Relationship among life meaning, optimism and happiness in elderly women participants of physical activity.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2(4):304–314. 10.5392/JKCA.2012.12.04.304.
27.

Steger, M. F., Frazier, P., Oishi, S., & Kaler, M. (2006).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meaning in life questionnaire: Assessing the presence of and search for meaning in life.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53(1), 80-93.

Steger M. F., Frazier P., Oishi S., et al, Kaler M.. 2006;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meaning in life questionnaire: Assessing the presence of and search for meaning in life.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53(1):80–93. 10.1037/0022-0167.53.1.80.
28.

Steger, M. F., Kashdan, T. B., Sullivan, B. A., & Lorentz, D. (2008). Understanding the search for meaning in life: Personality, cognitive style, and the dynamic between seeking and experiencing meaning. Journal of Personality, 76(2), 199-228.

Steger M. F., Kashdan T. B., Sullivan B. A., et al, Lorentz D.. 2008;Understanding the search for meaning in life: Personality, cognitive style, and the dynamic between seeking and experiencing meaning. Journal of Personality 76(2):199–228. 10.1111/j.1467-6494.2007.00484.x.
29.

Watson, D., Clark, L. A., & Tellegen, A. (1988).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brief measures of positive and negative affect: The panas scale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4(6), 1063-1070.

Watson D., Clark L. A., et al, Tellegen A.. 1988;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brief measures of positive and negative affect: The panas scale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4(6):1063–1070. 10.1037/0022-3514.54.6.1063.
30.

Won, D. R., Kim, K. H., & Kwon, S. J. (2005). Validation of the Korean version of meaning in life questionnaire.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10(2), 211-225.

Won D. R., Kim K. H., et al, Kwon S. J.. 2005;Validation of the Korean version of meaning in life questionnaire.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10(2):211–225.

Article information Continued

<Table 1>

General Characteristics (N=210)

Characteristics Categories n(%) or Mean±SD
Sex Male 23(11.0)
Female 187(89.0)
Age 21.41±2.74
School year First 39(18.6)
Second 57(27.1)
Third 56(26.7)
Fourth 58(27.6)
Grade level High 26(12.4)
Medium 142(67.6)
Low 42(20.0)
Subjective health status Good 195(92.9)
Bad 15(7.1)
Motivation of application for nursing Correct aptitude 70(33.3)
Advantageous employment 109(51.9)
Desire of family 31(14.8)
Satisfaction of nursing major Satisfied 156(74.3)
Unsatisfied 54(25.7)

<Table 2>

Mean Scores for Positive Affect, Subjective Happiness, Social Support and Meaning in Life (N=210)

Variables Categories Mean±SD Min Max
Positive affect 3.25±0.67 1.00 4.60
Subjective happiness 4.74±0.88 1.50 7.00
Social support 3.90±0.50 2.44 5.00
Meaning in life 4.82±0.96 1.10 7.00
Presence of meaning in life 4.65±1.07 1.20 7.00
Search for meaning in life 4.96±1.04 1.00 7.00

<Table 3>

Meaning in Life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N=210)

Characteristics Categories Meaning in life
Mean±SD t or F p Scheffé
Sex Male 4.75±1.20 -0.36 .718
Female 4.82±0.93
School year Firsta 4.72±0.99 3.88 .010 b<d
Secondb 4.54±0.96
Thirdc 4.83±0.97
Fourthd 5.13±0.85
Grade level Higha 4.80±0.92 5.63 .004 c<b
Mediumb 4.95±0.93
Lowc 4.39±0.97
Subjective health status Good 4.85±0.95 1.90 .058
Bad 4.36±0.99
Motivation of application for nursing Correct aptitudea 5.15±0.81 7.30 .001 c<a,b
Advantageous employmentb 4.71±0.99
Desire of familyc 4.46±0.94
Satisfaction of nursing major Satisfied 4.96±0.90 3.77 <.001
Unsatisfied 4.40±1.02

<Table 4>

Correlation among Variables (N=210)

Variables Meaning in life Presence of
meaning in life
Search for
meaning in life
Positive affect Subjective
happiness
r (p)
Presence of meaning in life .91(<.001)
Search for meaning in life .90(<.001) .64(<.001)
Positive affect .59(<.001) .58(<.001) .48(<.001)
Subjective happiness .56(<.001) .58(<.001) .43(<.001) .57(<.001)
Social support .38(<.001) .33(<.001) .36(<.001) .36(<.001) .40(<.001)

<Table 5>

Predictors of Meaning in Life

Categories B SE β t p R2 Adjusted R2 F(p)
Positive affect .540 .089 .381 6.07 <.001 .523 .491 16.62
(<.001)
Subjective happiness .344 .072 .314 4.77 <.001
Social support .234 .117 .123 1.99 .0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