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 Korean Acad Soc Nurs Educ Search

CLOSE


J Korean Acad Soc Nurs Educ > Volume 22(4); 2016 > Article
간호학생들의 임상실습 대처 경험: ‘의미 있는 존재가 되기 위해 노력하기’

Abstract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coping experience of nursing students in clinical practice.

Methods

In-depth interview was done with semi-structured questionnaire on 32 nursing students taking clinical practice. Data was analyzed through the grounded theory.

Results

Core category of coping experience of nursing students was ‘trying to be a meaningful presence’ while clinical practice. Students’ coping strategies were ‘overcoming inexperience’, ‘receiving the recognition from the clinical instructors’, and ‘governing mind and body’. Helping components for their coping behaviors were ‘support from people’, ‘personal experience before clinical practice’, ‘dynamics with partners’. Through the coping experience during clinical practice, nursing students became mature and confirmed their identities as student nurses.

Conclusion

Nursing students taking clinical practice tried to be a meaningful presence.

서 론

연구의 필요성

최근 간호 인력의 질 향상을 위한 국가적 차원의 간호교육인증평가에 있어서도 임상실습교육에 대한 평가 가중치가 증가하면서 그 중요성이 점점 더 강조되어가고 있다. 간호학생들은 간호교육인증평가 기준을 충족시키기 위해 병원기관에서부터 지역사회 보건의료기관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현장에서 1,000 시간 이상의 임상실습을 이수해야 한다(Yang & Hwang, 2014). 임상실습교육은 간호학생들로 하여금 간호현장에서 직접 환자와 접촉하면서 강의를 통해 배운 이론교육과 간호술기를 적용하게 하고, 비판적 사고, 분석적 기술, 의사소통능력과 시간관리 기술을 익혀 간호사로서 업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기회를 주는 것이다(Lofmark & Wikbald, 2001). 그러나 간호학생들에게 임상실습교육은 학교가 아닌 외부 실무 현장이라는 낯선 환경에 적응해 나가야하는 도전적 과제이다. 간호학생들은 처음 접하게 되는 실습환경의 낯설음뿐만 아니라, 아침 일찍 또는 저녁 늦게까지 이루어지는 실습시간, 그리고 학교 밖 원거리 실습 등 여러 가지 스트레스 상황에 놓여지게 된다. 이 외에도 점차 질 높은 서비스를 원하는 의료소비자의 증가와 그 어느 때 보다 고객만족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의료·사회 환경의 변화 속에서 간호학생들은 높은 스트레스에 노출되고, 학생신분에서 오는 역할한계 등으로 위축되는 경우가 많다(Kim, Sun, & Kim, 2009; Park & Ha, 2003).
이에 간호 교육자들은 간호학생들의 임상실습과 관련된 어려움을 이해하고 문제해결을 위한 대안을 모색하고자 다양한 연구들을 수행해 왔다. 그 일환으로 간호학생들을 대상으로 임상실습과 관련된 스트레스원(Lee & Jun, 2013), 스트레스 대처방법에 대한 인식유형(Oh, 2000), 비판적, 성찰적 임상실습경험(Jo, 2003)에 대한 선행연구들이 다수 이루어졌다. 한편, 간호학생의 임상실습 스트레스 대처에 대한 국내외 선행연구로는, 간호학생들이 경험하는 주관적 스트레스와 이에 따른 신체-정신-사회적 반응 및 대처행위에 대한 조사연구(Chan, So, & Fong, 2009)와, 내러티브 중심의 내용분석을 통해 임상실습 적응과정을 기술한 연구(Son, 2014) 등이 있었다. Chan 등(2009)의 연구는 대처행위를 4가지 유형으로 나누어 구성한 대처행위 질문지(coping behavior inventory, CBI)를 이용하여 조사한 양적연구로 대처행위유형을 연구자가 미리 제시함으로써 힉생들의 주관적 경험을 알아내기에 부족하다고 할 수 있다. Son (2014)의 연구는 내러티브형식으로 작성된 임상실습 보고서내용을 분석한 것으로 간호학생들이 임상실습 중 어떤 입장으로 자리매김(positioning)하는지에 촛점을 맞춘 연구로 학생들의 대처에 대한 전반적인 경험을 확인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특히 간호학생들의 임상실습 스트레스원 중에는 외부적 중재를 통해 제거하거나 감소시킬 수 있는 요인도 있겠으나(Kwon & Seo, 2012), 스트레스를 지각하는 간호학생 스스로 임상실습 스트레스에 어떻게 대처하고 있는지를 파악하는 것은 임상실습 대처역량을 높여 나가는데 있어서 매우 중요한 단초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이에 다각도로 변화하고 있는 국내의 임상간호현장에서 간호학생들이 경험하는 임상실습과정 전반에 걸친 대처경험에 대한 탐색적 연구가 요구되고 있으며, 이를 위해서는 간호학생들의 다양한 경험을 총체적으로 보여줄 수 있는 질적 자료를 활용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본다. 인간행위의 상호작용의 본질을 파악하고 개념화하는 것에 가장 적절한 연구방법으로는 질적 연구 중 근거이론방법이 주로 적용되어 오고 있다(Corbin & Strauss, 2008). 대처는 스트레스가 전개되기 전 예측단계부터 결과단계에 이르기까지 특정 시점에서의 상황적 요구에 따라 변화하는 특성이 있다(Lazarus & Folkman, 1984). 그러므로 다양한 임상실습환경을 경험한 간호학생들을 대상으로 고유한 문화적 특성과 상황적 맥락에 따라 변화하는 대처과정을 이해하고 대처요인과 그 결과를 이해하기 위해 근거이론방법으로 연구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근거이론방법을 통해 간호학과 3, 4학년 재학생들의 임상실습 대처 경험을 분석함으로써, 간호학생들에 대한 이해를 확장할 뿐만 아니라 간호교육에서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임상실습 역량을 증대시키고자 한다.

연구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임상실습과정에서 간호학생들이 직면하는 어려움을 이해하며, 실습, 환경, 인간관계 등의 상호작용을 통해서 이러한 어려움을 극복해나가는 대처경험을 학생의 관점에서 심도 있게 분석하여 이에 관한 실체이론을 개발하는 것이다.
본 연구결과는 궁극적으로 간호학생들의 임상실습 역량을 높이기 위한 프로그램 개발에 유용한 지식체를 제공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의 연구 질문은 ‘간호학생들은 임상실습에 어떻게 대처하고 있는가?’였다.

연구 방법

연구 설계

본 연구는 간호학생들의 임상실습 대처경험을 탐색하기 위하여 근거이론방법을 적용한 질적 연구이다.

연구 참여자 및 자료 수집 방법

근거이론에서의 표본추출은 사람들 그 자체가 아니라, 작용·상호작용의 측면에서 사람들이 행동하는 것 또는 행동하지 않는 것에 대해 자료를 모으는 것이다(Corbin & Strauss, 2008). 본 연구의 표본추출을 위한 참여자는 임상실습을 경험하고 있는 4년제 간호학과 재학생들 중 3~4학년 32명이었다. 참여자 선정은 연구 타당도를 확립하기 위해서 학교, 학년, 성, 임상실습경험을 고려한 목적적 표출에 의해 이루어졌다. 자료 수집은 2013년 12월 1일부터 2014년 2월 28일까지 연구자들이 임상실습 대처경험에 대한 반구조화된 질문을 가지고 대상자에게 질적 면담을 실시하였다. 면담은 개별면담 또는 포커스 면담 형태로 실시하였고, 1회 면담소요 시간은 40~80분(평균 59.25분)으로, 대상자에게 새로운 개념이 더 이상 나타나지 않는 이론적 포화가 이루어질 때까지 진행되었다. 답변내용의 진실성이 연구의 질에 영향을 줄 수 있음을 강조하여 면담이 정확하게 이루어지도록 노력하였다.
연구 질문은 ‘간호학생들은 임상실습에 어떻게 대처하고 있는가?’였다. 이를 위한 주요 면담 질문은 다음과 같으며 면담과 자료 분석 진행에 따라 추가되거나 생략되었다.

∙ ‘임상실습을 나가기 전, 나갔을 때, 마친 후의 느낌은 어떠하였습니까?’

∙ ‘임상실습에서의 스트레스는 어떤 것이 있었습니까?’

∙ ‘임상실습에 의한 스트레스에 어떻게 대처했습니까?’

∙ ‘임상실습에서의 스트레스에 대처했을 때 결과는 어떠했습니까?’

연구의 윤리적 고려

본 연구는 연구 참여자들이 연구자들의 학생이라는 점을 고려하여 연구결과의 타당성을 담보하기 위한 윤리적 고려로 먼저 S대학의 기관생명윤리위원회(IRB)의 승인(SMU-C-13-11-03)을 받은 후 실시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에게는 연구의 목적과 진행과정, 자료수집방법과 녹취, 면담내용의 비밀유지와 불이익 사항이 전혀 없음과 연구 참여에 대한 보상 및 중도철회가능 등을 설명하였고, 자발적으로 연구에 서면 동의한 대상자들에게 면담을 시작하였다. 또한 연구자들은 참여 학생들에게 학생으로서 면담내용으로 인해 개인적 불이익이 발생하지 않을 것이고 면담내용은 연구를 위한 목적으로만 쓰여질 것임을 강조하였다. 면담내용에 대한 비밀유지를 위해 필사본 작성 시 실명을 사용하지 않고 개인별 구분표시로만 기록하여 분석하였다. 면담 자료는 연구 종료 후 폐기할 것을 보장하였다.

자료 분석 방법

자료 분석은 녹음 된 면담내용에 대해 필사본을 작성한 후 실시하였다. 면담자료의 정확성을 위해 연구자는 필사내용과 녹음자료를 다시 확인하여 오기 및 누락내용을 확인하였다. 자료 분석은 Corbin과 Strauss (2008)의 근거이론 분석방법에 따라 개방코딩, 축코딩 및 선택코딩의 세 단계를 거치면서 계속적인 비교분석을 하며 자료들을 분석하였다. 첫 번째 분석단계인 개방코딩을 위해 필사된 면담자료내용을 한 줄씩 분석해 나가는 행간분석방법을 통해 현상에 이름을 붙여 개념화한 후 유사개념끼리 통합하는 범주화 과정을 거쳤다. 다음 단계인 축코딩에서는 범주와 하위범주들을 연결시키는 작업을 하였는데, 이는 매우 미묘하고 내재적인 과정이기 때문에 이들 자료들이 연결되도록 조직하고 분류할 수 있는 틀이 도움이 되는데 이를 위해서 Corbin과 Strauss (2008)이 제시한 분석틀인 패러다임 모형(paradigm model)을 이용하였다. 이 모형의 구성요소는 중심 현상, 인과적 조건, 맥락적 조건, 작용 및 상호작용전략, 중재적 조건, 결과이다. 마지막 분석단계인 선택코딩에서는 범주들을 정련하고 통합하면서 연구의 주요 주제를 나타내는 핵심범주를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

연구 참여자들의 일반적 특성

연구 참여자들의 평균 연령은 22.75세였으며 여학생 26명, 남학생 6명, 학년은 3학년 11명, 4학년 21명이었다. 실습 경험학기는 1~4학기로 평균 2.2학기였다.

간호학생의 임상실습 대처경험

연구 참여자들의 임상실습 대처경험 자료 분석 결과, 7개의 범주, 15개의 하위범주, 46개 관련 개념들이 도출되었다(Table 1). 패러다임 모형을 적용한 결과, 간호학생들의 임상실습 대처경험의 중심현상 및 핵심범주는 ‘의미 있는 존재가 되기 위해 노력하기’(trying to be a meaningful presence)로 나타나 그림으로 제시하였다(Figure 1). 각 패러다임 모형의 범주별로 포함된 하위범주와 개념들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Table 1>

Concepts, Subcategories, and Composition of Paradigm Related to Coping Experience in Clinical Practice of Nursing Students

Concepts Subcategories Categories Composition of
paradigm
Having vague feeling, or uncertainty Being placed in a unfamiliar environment Being placed in a unfamiliar environment Causal condition
Being anxious
Being excited
Not established instructive housing during clinical practice period Not a stable clinical practice conditions Stressful clinical practice Contextual condition
Feeling a threat to security
Burden of cost
Incoherent attitude of clinical instructors Various clinical practice
Big deviation in educational circumstance environments
A sense of distance between nursing reality and the ideal
Burden of task A heavy burden
Physical burden
Psychological burden
Inexperience A limited role as a student
Repetition of a assistant work
Lachrymosity Insecure right of a student
Insufficient student’s right in clinical practice
Learning actively Overcoming inexperience Diverse coping strategies Action/Interaction strategies
Practicing basic nursing skills
Making the therapeutic relationship
Behaving sensibly Receiving the recognition from the clinical instructors
Doing an nasty job
Taking the lead
Having positive mindset Governing mind and body
Talking empathetically
Refreshing mood
Managing fitness
Clearing the mind
Avoiding
Assistance of clinical instructor Support from people Helpful coping resources Intervention condition
Support and guide of professor
A preceding practice Personal experience before clinical practice
Various experience of social activities
Member composition for a practice partnership among members Dynamics with partners
Increasing ability for relationship formation Having adaptable capacity on the spot Becoming nursing personnel Consequence
Growing familiar with clinical practice environment
Improvement of susceptibility to recognize surroundings
Improvement of nursing skills
Open-minded and flexible attitude Becoming mature
Becoming tenacious
An opportunity for self questioning
Realizing the importance of life
Being motivated to study Confirming identity as a student nurse
Increasing self-esteem as a student nurse
Realizing the importance of clinical practice
Being found their aptitude and way for nursing
Figure 1.

The paradigm model of coping experience of nursing students in clinical practice

JKASNE_2016_v22n4_430_f001.jpg

● 중심현상(Central phenomenon)

중심현상은 상황을 유발하거나 조절하는 사건들에 내재되어 있으며 일련의 작용/상호작용에 의해 다루어지고 조절되거나 관계되는 중심생각이나 사건을 의미하는 것으로, 본 연구에서는 ‘의미 있는 존재가 되기 위해 노력하기’였다. 간호학생들은 낯선 임상실습 현장에서 정식 구성원이 아닌 이방인으로서 환영받지 못하고 간호사나 환자, 보호자의 눈치를 보며 적응해야 하는 입장이었다. 그러나 스스로 부족한 간호기술이나 지식을 익혀서 낯선 임상실습환경에서 간호사나 환자, 보호자들에게 인정을 받음으로써 그들에게 의미 있는 존재가 되기 위해 노력하였다.

● 인과적 조건(Causal condition)

패러다임 모형에서 인과적 조건은 현상을 일으키거나 발전시키는 사건들로 구성된 원인을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의 인과적 조건은 ‘낯선 환경에 놓여짐(being placed in a unfamiliar environment)’이었으며 하위범주로 ‘막막함, 불안함, 설레임’이 도출되었다. 학생들은 학교를 떠나 처음으로 임상실습현장(병원, 지역보건소, 등)이라는 낯선 환경에 놓여 짐으로써 예측되지 않는 상황에 대해 막연함과 막막함을 느끼고 있었다. 어떤 것을 준비해야할지, 실제 상황에 부딪혔을 때 어떻게 행동해야할지를 몰라 힘들어 하였다. 막막함과 함께 학생들은 다양한 두려움과 불안감을 경험하고 있었다. 구체적으로는 환자, 보호자, 간호사 등 실습현장에서 만나는 사람들과의 의사소통, 간호술기에 대해 미숙한 자신을 인지하고 실수할까봐, 그로 인해 꾸중을 듣고 학교를 망신시키는 학생이 될까봐 불안감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실습 시 육체적으로도 힘들다는 사전정보로 인해 걱정을 하고 있었다. 한편 막막하고 두려운 가운데 실제 간호현장에 한 발 더 다가간다는 면에서 실습에 대한 설레임도 있었다.
정말 실습초기에는 교수님들이 너희가 들어가서 아무것도 안하지 말고 눈치껏 해라 라고 하였는데 막상 들어가니까 눈치껏 하라는 게 어떤 것인지 잘 모르겠고 그랬어요. 처음에는 머릿속이 백짓장이 되는 것 같았어요. 맨땅에 헤딩하는 기분이랄까...
환자를 어떻게 대해야 하는지, 선생님 앞에서 어떻게 질문을 해야 하는지 걱정이 되었어요.
막 심장이 터질 것 같고 아, 내일 가서 사고 치면 어떡하지, 혼나며 어떡하지? 걱정이 많았어요. 학생이라고도 혈압이나 이런 걸 못 믿으시면 어떡하나, 거부하시면 어떡하나가 제일 컸어요. 제가 어떤 행동을 취해야할지 몰랐고 이런 두려움이 저를 긴장하게 만들었어요.
특히 정신과를 처음 같을 때 거의 패닉상태였어요. 일반 병동을 가도 처음엔 적응하기 힘들었을텐데 질병에 대해 아무것도 몰랐기 때문에 힘들었어요. 혹여 내가 어떤 말을 해서 환자의 질병이 더 악화되지는 않을까하는 생각이 들어서 무서웠어요.

● 맥락적 조건(Contextual condition)

맥락적 조건이란 어떤 현상에 속하는 특정한 속성으로 현상에 속하는 사건들의 위치를 말한다. 간호학생들의 임상실습 대처경험의 경우 ‘안정적이지 않은 실습여건, 다양한 실습교육환경, 과중한 부담감, 학생신분으로서의 역할한계, 보장되지 않는 실습학생의 권리’의 다섯 가지 하위범주가 도출되었다. 첫 번째, ‘안정적이지 않은 실습여건’으로는 교육적인 실습 숙소가 구축되어 있지 않음, 안전에 위협을 느낌, 경제적 부담감의 세 개념이 포함되었다. 구체적으로 실습지가 학교에서 거리가 떨어진 원거리 실습의 경우 따로 학생들을 위해 기숙사나 숙소 등이 마련되어 있지 않아 고시원, 모텔 등 교육적인 환경이 아닌 장소에서 실습을 다녀야하는 경우가 많았다. 또한 오전실습의 경우 아침 6시~7시에 나가고 저녁실습의 경우 밤 9시~10시에 끝나 안전에 위협을 느끼는 문제도 있었다. 거주지에서 거리가 먼 경우 추가적인 교통비가 들거나 실습기간동안 기숙사 등의 기존에 확보된 숙소에 지불하는 비용 외에 원거리 실습숙소에 숙소비를 추가적으로 지불해야하는 경제적 부담을 안고 있었다.
두 번째 ‘다양한 실습교육환경‘에는 표준화되지 않은 현장지도자, 편차가 큰 교육환경, 간호현실과 이상과의 괴리감 등의 개념이 도출되었다. 현장지도자인 간호사들이 학생들에게 차갑게 대하거나 잘하지 못할 때 혼내는 경우에 학생들은 힘들어 했다. 또한 학교실습에서는 무균술 등을 교과서적으로 배우는데 실제 현장에서는 학교에서 배운 것과 다르게 하고 있을 때 혼란스러워했다.
세 번째, ‘과중한 부담감’의 범주에는 ‘과제부담감, 신체적 부담감, 심리적 부담감’이 포함되었다. 신체적 및 심리적 부담감은 실습 첫날인 경우 가장 심했다. 실습 중에도 긴장하고 오래 서 있는 경우가 많아 실습지에 따라 하루 종일 서있는 경우도 있는 반면에 할 일이 없어 하루 종일 할 일이 없는 경우에도 힘들어했다. 또한 실습뿐 만 아니라 현장지도자 또는 실습강사로부터 부여되는 조사과제, 케이스 발표 과제나 퀴즈 등을 준비하는데 많은 시간을 보내며 실습이외의 시간에도 충분한 휴식을 취하지 못하여 신체적 부담감이 가중되었다.
똑같은 상황에서 어떤 분은 센스 있다고 칭찬하시고 어떤 분은 잘못했다고 꾸중을 하시는 경우에는 너무 혼란스러웠어요. 또 같은 병동이어도 팀별로 약물 믹스 같은 걸 해볼 기회가 많은 경우도 있고 그런 걸 못하고 바이탈만 재고 관찰만 하는 경우도 있어서 운이 많이 따르는 것 같아요. 저희한테 어려운 질문 안하시고 선생님들 성격도 무난하시고 할 일도 적당히 있으나 요령껏 쉴 때는 쉴 수 있고 보통 그런 데를 꿀실습지라고 해요.
첫 날은 되게 긴장하는 편이예요. 첫 실습이 하필 수술실 이었는데 또 지각을 했어요. 그래서 되게 무서웠죠. 제가 아침을 거의 안 먹어요. 실습하는데 정말 못 서있겠는 거예요. 그래서 자리를 옮겨서 다시 앉았는데 다시 못 일어나겠더라구요. 일어나다가 의자에서 그냥 이렇게 쓰러졌어요. 저혈당이 와 가지고 손이 막 이렇고 떨리더라구요. 막 식은땀이 나고....일찍 일어나야 하고 어디서 부를지 모르니까 긴장을 늦춰서는 안 되고 앉지도 못하고 눈치만 보니까...
1학기 때는 밤새고 거의 과제를 하고 한 시간 자고 바로 9시에 또 근무 하러 가서 약간 좀비처럼 내가 환자같이 이러고 다니는데 조금 힘들긴 했어요. 처음에는 그 과제를 어떻게 해야 할 지도 막막했고 무슨 자료를 어떻게 조사해야할지... 환자들을 만나고 하는 것 시키고 그렇게 힘든 것 같지 않은데 과제하고 그거 때문에 늦게 자고 악순환이 되고 더 피곤해지고..과제도 하고 퀴즈도 보고 그런 게 힘들었어요.
네 번째 ‘학생신분으로서의 역할한계’에는 ‘미숙함, 단순보조업무의 반복’의 개념이 포함되었다. 학교에서 이론공부를 하고 실습을 가도 모든 교과목의 전체 내용을 다 배우고 가는 것이 아니고 또한 이론과 실제상황은 달라서 대처하는데 어려움을 겪었는데 특히 아동간호나 정신간호 상황에서 당황하는 경우가 많았다. 또한 의학용어에 대해 낯설고 빠른 인계내용 등을 이해하지 못해 힘들어했다. 기본간호술기에 있어서도 환자에게 직접하다보니 처음에는 자신감이 없어서 스트레스를 받았다. 시간이 지나면서 활력징후 측정이나 환자이동 등 기본적인간호술기가 익숙해진 다음에는 학생들이 할 수 있는 일이 제한적이어서 단순반복 업무, 직원이 하기 싫은 귀찮은 일 등을 하게 되어 역할한계를 느끼고 있었다.
다섯 번째, ‘보장되지 않는 실습학생의 권리’에는 ‘서러움, 학생 권리옹호를 위한 제도 미흡’의 두 가지 개념이 도출되었다. 간호사는 아픈 환자를 돌보는 직업이지만 정작 학생들은 실습도중에 몸이 아파도 나머지 실습시간을 채우도록 요구받는 경우가 있었고 거짓말을 하는 것이 아닌 가 의심을 한다는 느낌을 받기도 했다. 또한 실습학생으로서의 집안 경조사가 있어도 실습은 참석해야한다는 등 비인간적으로 느낄 정도로 의무만이 강조되고 권리를 옹호받을 수 있는 부분은 부족하다고 느꼈다.
어떤 분은 바이탈도 맡겨주지 않으셔서 하루 종일 할 게 없어서 따라만 다닌 적도 있어요. 선생님들이 베드 옮겨달라는 걸 엄청 자주 시키세요. 물론 모니터링 같은 것을 배우기도 하는데 만약에 선생님한테 배우고 있다고 해도 학생 이리와 봐 그러니까 이걸 배워야하는 상황인데 저걸 이동 시키라고 하니까 제가 여길 온 건 배우러 온 건데 환자를 이송하러 온 게 아닌데 그 역할이 좀 약간 혼란스러웠어요.
응급실 실습을 할 때 점심 때 칼국수를 먹고 체해서 수간호사님께 아프다고 하니까 실습시간을 다 채우고 가라고 하셔서 시간을 채우다 상황이 더 악화되어 입원해서 수액을 맞고 나온 적이 있습니다. 어떻게 시간을 다 채우라고 하시는 건지 저는 거짓말을 하는 것이 아닌데 하는 생각이 들면서 섭섭했습니다.

● 작용 및 상호작용전략(Action / Interaction strategies)

작용 및 상호작용은 직면한 문제나 상황을 조절해나가는 전략을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 실습학생들은 임상실습현장에서 ‘미숙함 극복하기, 현장지도자에게 인정받기, 심신 다스리기’ 등 세 범주의 대처전략으로 문제를 해결해나갔다. 첫 번째 ‘미숙함 극복하기’에는 ‘적극적으로 학습하기. 기본 간호술 연습하기, 치료적 관계형성하기’의 세 가지 개념이 포함되었다. 미숙함을 극복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학습하기에서는 실습을 가기 전에 미리 실습병동에 입원한 대상자들의 주요 질환에 대해 공부하는 사전학습을 하거나 실습경험이 있는 동료들로부터 정보를 얻었다. 실습 인계책을 만들어서 병동분위기, 복사시설 등 병원주변 편의시설 등을 인계하는 방법을 통해 체계적으로 도움을 받기도 했다. 실습현장에서는 잘 모르거나 질문이 예상되는 부분에 대해 메모를 하여 임상실습지도자에게 물어보거나 집에 와서 교과서나 인터넷 등을 찾아보는 방법을 통해 적극적으로 지식을 습득하고자 노력하였다. 지식 적인 것 외에 기본간호술기의 경우 미숙함을 극복하기 위해 활력징후 측정의 경우 실습동료 간에 서로 해본다든지 여러 번 반복하여 익숙해지도록 애썼고 간호사를 적극적으로 따라다니면서 관찰을 하여 익히기도 하였다. ‘치료적 관계형성하기’에서 학생들은 처음에는 환자들이 무표정하거나 호의적이지 않아서 다가가기 힘들어했으나 지속적으로 친근하게 관심을 가지고 다가가면서 관계가 호전되는 경험을 하였다. 구체적인 방법으로 밝은 표정을 유지하고 인사 잘하기, 먼저 다가가고 거부하더라도 계속 다가가기, 대화 많이 하기 등을 통해 치료적 관계형성을 위해 노력하였다.
두 번째로 ‘현장지도자에게 인정받기’는 ‘센스 있게 행동하기, 궂은 일하기, 스스로 할 일 찾아하기’ 등의 세 가지 개념이 도출되었다. 학생들은 실습병동의 수간호사나 담당간호사에게 인정받기 위해 필요한 물품위치를 미리 파악하여 필요할 때 재빨리 가져오거나 일상 업무를 파악하여 필요한 일을 눈치 빠르게 도와주고 소변을 비우는 일과 같은 궂은일도 마다하지 않는 등 부단한 노력을 하였다. 이러한 노력을 통해 실제로 환자에게 실습을 해볼 수 있는 기회를 얻거나 칭찬을 받기도 했다. 또한 따라다니는 것이 부담스러워하는지 아닌지, 바쁜 업무 중인지 아닌지 등 담당간호사의 특성이나 상황을 파악하여 거슬리지 않게 행동하려고 애썼다. 그 외에도 인사를 잘하고 밝은 표정으로 적극적으로 할 일을 찾아서 하고 호출에 빠르게 응답하는 등 스스로 할 일을 찾아서 현장에 대처하려고 노력하였다.
처음에는 저도 다가가기가 무서웠어요. 무표정이라서... 그렇지만 질병쪽으로 다가가지 않고 병실에 자주 들락거리면서 그분 식사 때 행동이나 혈당 잴때도 파트너한테 말해서 그 분 혈당은 제가 재겠다고 하고 혈당재면서 대화도 하고 중간 중간 찾아가서 뭐 도와드릴 것 없냐고 하면서 좀 친해졌던 것 같아요.
세 번째로 ‘심신 다스리기’에는 ‘긍정적 마인드 갖기, 공감적 대화하기, 기분전환하기, 체력관리하기, 마음비우기, 회피하기’의 여섯 가지 개념이 도출되었다. 학생들은 본인이 좋아하는 실습지만 갈수는 없다고 생각하며 받아들이고 담당간호사가 호의적이지 않아도 이를 수용하려고 노력하였다. 오히려 본인이 간호사가 되면 그러지 말아야지 하는 긍정마인드로 대처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본인의 실수나 잘못이 아닌데도 학교이미지에 손상을 줄까봐 내색하지 않고 억지로 참고 마음으로 속 끓이는 경우도 있었고 몸이 아파도 참고 실습을 하기도 했다. 학생들은 실습을 하는 간호학과 친구들과 점심시간이나 실습 후에 대화를 통해 경험을 나누고 위로를 받는 등 정서적 공감을 통해 스트레스를 풀었다. 그 외에도 맛있는 것을 먹거나 텔레비전을 보거나 야외로 놀러가면서 기분전환을 하였다. 실습을 하면서 체력적 소모를 보완하기 위해 낮 근무의 경우 전날 잠을 일찍 자거나 아침은 간단하게라도 꼭 챙겨먹으려고 노력하였다. 또한 오래서있는 실습의 특성상 하지부종과 통증예방을 위해 탄력스타킹을 신는 방법을 쓰기도 했다. 때로는 담당간호사가 따라다니는 것을 부담스러워하는 경우 환자에게 더 많이 가 있거나 집담회 시간에 질문을 많이 해서 가능한 병동에 가 있는 시간을 줄이는 등 상황을 회피하는 경우도 있었다.
시트를 가는 와중에 손이 빨랐어야 했는데 제가 너무 느리게 해서 선생님이 도움이 안 될 거면 뭐 하러 와 있냐고 하시는 거예요. 그 순간은 내가 잘못한 거구나 억울하기도 한데 잘못한 것 같기도 하고 생각했어요. 어쨌든 억울한 거는 억울한 거고 그 순간에는 억울했지만 그래도 그 분들은 직장인 곳에 실습하러 간 거잖아요. 민폐를 끼친 것 같아서 마지막에 나올 때 죄송하다고 하고 나왔어요. 그 선생님도 좋게 말씀해주셔서 잘 끝났거든요.

● 중재적 조건(Intervening condition)

중재적 조건은 보다 광범위한 구조적 전후관계로 작용·상호작용 전략을 촉진하거나 억제하는 조건을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는 하위범주로 ‘주변인의 지지, 실습 전 개인의 경험, 실습조의 역동’의 세 가지 중재적 조건이 도출되었다. 첫째 간호학생들이 인식하는 ‘주변인의지지’는 ‘현장지도자의 도움, 교수의 지지와 안내’ 등이 있었다. 실습병동의 수간호사나 담당간호사가 친절하고 관심을 가지고 교육을 해주거나 실습을 직접 해보게 해주는 경우 더 적극적으로 실습할 수 있었다. 또한 컨퍼런스 때 지도교수가 힘든 상황을 들어주고 정서적 공감을 해주었을 때 실습에 잘 적응할 수 있었는데 학생들이 지정장소로 찾아가는 것보다 병원으로 직접 찾아와주는 경우 엄마같이 보호자를 만난 느낌과 같은 정서적 지지를 느꼈다. 또한 컨퍼런스를 통해 체계적인 임상간호지식을 쌓아 환자를 간호하는데 자신감을 향상시킬 수 있었다.
두 번째로 ‘실습 전 개인의 경험’은 ‘사전학습과 다양한 사회활동경험’의 두 가지 개념이 있었다. 실습 전에 의학용어 또는 기본 간호술 프로토콜 숙지, 임상경험자들의 조언 등을 통해 사전학습을 하는 경우와 어린 동생을 돌보거나 노인시설봉사활동 또는 서비스직 아르바이트 경험 등 관련 사회활동경험이 있는 경우 실습에 더 잘 적응하였다.
세 번째 학생들이 실습을 하는 동안 실습조원간의 역동이 매우 중요했는데 특히 실습조원의 구성과 실습조원 간 파트너십이 주요개념이었다. 마음에 안 드는 조원이 있거나 실습기간동안 따로 행동하는 경우는 실습 내내 서로 힘들어했고 서로 모르는 부분을 알려주고 눈치 있게 행동해서 도움이 되어 원만하게 실습을 마칠 수 있는 경우도 있었다. 반면에 뒤처지는 친구가 있어도 끝까지 같이 가려고 노력하기도 했다.
낯선 환경에서 교수님을 뵌 순간, 엄마 같은 느낌? 교수님이 오늘 어땠냐고 힘든 점은 없었냐고 물어봐주시고 힘든 점 얘기하면 교수님께서 토닥토닥해주셨어요. 또 감정적인 부분 뿐만 아니라 기술적인 부분에서도 친절하게 설명해주셔서 좋았어요.
같이 힘든 것을 나눌 수 있는 것이 적응하는데 가장 큰 도움이 되었어요. 진짜 같이 실습나간 친구들 없이 혼자 병동 나갔으면 실습 못했을 것 같아요

● 결과(Consequence)

본 연구에서 간호학생들의 임상실습 대처경험의 작용·상호작용의 결과는 ‘현장 적응력이 생김, 성숙해짐, 간호학생으로서의 정체성이 생김’의 세 가지로 나타났다. 첫째 응급상황, 일상적 업무패턴 등과 같은 임상실무에 대한 판단력 뿐 만 아니라 현장지도자의 상황에 대해 눈치가 빨라져 자신만의 실습노하우가 생겨 현장적응력이 증가하였다. 또한 학생들이 주로 반복해서 하는 기본간호술기에 대해 익숙해지고 환자, 가족, 의료진 등 다양한 사람들을 만나서 소통하면서 인간관계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의사소통에 대한 자신감이 증가하였다.
평소에 먼저 말을 거는 성격도 아니었고 정신질환자들은 더더욱 다가가기 힘든 존재라고 생각했었는데 내가 해야 하는 일이고 내 직업이 이런 것들도 다 수용해야 되는 것이라고 생각을 하다 보니 자연스럽게 그들과 대화를 나누고 있더라구요. 또 다른 병동에선 노인 환자분들이 많이 계셨는데 원래 저는 할머니, 할아버지에 대한 정이 없어서 다가가기 힘들었는데 그 분들의 표정이나 말 하나하나에 귀 기울여주고 있고 먼저 가서 말도 하고 하면서 적응력이 좋아졌다는 것을 알 수 있었어요.
두 번째 결과로 ‘성숙함’이 있다. 많은 사람들을 접하고 실수를 통해 담대함과 초연함이 생기고 다른 사람의 태도에 연연하여 마음에 담아두지 않고 사고가 유연해졌다. 환자나 보호자들의 어려운 상황을 간접적으로 경험하며 자기성찰을 통해 다른 사람을 배려하고 감사하는 마음과 죽음을 간접적으로 경험하면서 생명의 소중함에 대해 느끼게 되었다. 세 번째로 간호학생으로서의 정체성이 생기게 되었는데 이론과 실제의 연결고리로서 실습의 중요성을 깨닫고 이론 강의를 열심히 들어야겠다는 동기부여도 되고 롤 모델이 되는 간호사들을 보면서 간호사로서의 자긍심도 커졌다. 또한 이론 강의 때는 몰랐던 간호직에 대한 자신의 적성과 흥미를 알게 되어 진로를 정하는데 도움을 받기도 했다.
되게 고민을 많이 했어요. 부모님이랑 가족들이랑 이야기를 많이 해보고 아, 정말 내가 휴학을 해야 되나.. 막 이렇게 했었는데 그 후에 실습을 나가 봤는데 되게 그냥 좋은 직업이구나, 되게 재미있다를 많이 느낀 것 같아요, 처음 실습지에서 검사 이런 거 보는 거 책에서만 봤는데 이렇게 실제로도 보는구나. 아님 책에서 봤는데 실제로 보니까 기억에 더 잘 남고 너무 좋았었어요.

논 의

본 연구는 간호학생들의 임상실습 대처 경험을 이해하고자 시도되었으며, 다양한 실습환경에서 간호학생들의 대처경험의 중심현상 및 핵심범주는 ‘의미 있는 존재가 되기 위해 노력하기’로 나타났다.
Benner (1982)의 임상능력(clinical competence)단계에서 임상실습을 경험하는 간호학생은 초보자(novice)에 해당한다. 이 단계에서는 임상에서의 간호학생의 행동은 지극히 제한적이고 유연성이 떨어지는 특성이 있다. 또한 특정 환자의 상황에 어떤 일이 일어날지 예측할 수 있는 능력이 지극히 제한적이다. 따라서 환자에게 의식변화와 같은 실제 증상과 징후가 나타난 후에야 이에 대해 인식할 수가 있다(Benner, 1982). 본 연구결과에서도 학생들은 예측이 어려운 낯선 임상실습현장의 제한된 역할 속에서도 존재감 없는 무력한 자신을 깨닫고 의미있는 존재가 되기 위해 부단히 노력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낯선 환경에서 무능함을 실감하고 살아남기 위해 안간힘을 쓰는 신규간호사의 첫 실무 경험에 대한 선행연구(Park & Kim, 2013)의 결과와 유사하다. 신규간호사의 경우 이러한 지식의 부족함이나 업무의 미숙함으로 인한 어려움을 극복해 가는 현상에 대해 ‘궤도진입하기’로 설명되었으며, 이 과정을 통해 신규간호사는 간호학생에서 간호사라는 역할로의 전이를 성공적으로 이루어낸다고 하였다(Son, Koh, Kim, & Moon, 2001).
본 연구에서 임상실습을 경험한 학생들이 ‘안정적이지 않은 실습여건, 다양한 실습교육환경, 과중한 부담감, 학생신분으로서의 역할한계, 보장되지 않는 실습학생의 권리’이라는 스트레스가 많은 임상 상황이라는 맥락적 조건에 놓여지게 됨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간호학생 임상실습 스트레스에 대한 양적 연구들이나 실제 간호학생들의 스트레스와 우울 수준의 감소를 위해서는 임상실습 만족도와 적응능력 향상 프로그램들이 개발되어야 한다고 하는 선행연구(Choi, 2009; Jeong & Park, 2013) 결과와도 맥을 같이 하고 있다. 그러나 본 연구와 선행 연구 결과와의 차별점은 임상실습과 관련된 스트레스에 대처하기 위한 전략을 간호학생의 관점에서 실제 경험을 통해 도출하였다는 점이다.
그러나 한편 낯선 환경에 놓여진 인과적 조건의 하위범위로 ‘설레임’과 같은 긍정적이고 낙관적인 감정경험도 도출이 되었는데 이는 간호학생의 자아탄력성이 높을수록 임상수행능력이 높아진다는 연구(Kim, 2012)와 유사한 결과이다. 자아탄력성은 내외적 스트레스에 유연하고 융통성 있게 적응하는 일반적 능력으로 대인관계, 호기심, 감정통제, 활력, 낙관성 항목으로 구성되는 개념으로 간호학생들의 임상실습 경험에 대한 낙관적 인식은 중요한 사안이라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임상실습은 학생들이 경험하는 스트레스라는 부정적 인식에서 벗어나 다양한 경험을 통한 배움의 기회가 될 수 있다는 긍정적 기회로 인식하게 하는 전략이 필요하다(Park, Kim, & Lim, 2012). 이에 실습지도교수들은 처음으로 임상실습을 나가는 학생들을 위한 오리엔테이션 시에, 실습 과제나 목표뿐만 아니라, 임상실습에서 얻을 수 있는 긍정적 경험에 대해 강조함으로써, 긍정적인 대처 자세를 가지고 실습에 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겠다.
본 연구에서 발견된 맥락적 조건과 중재적 조건들을 통해 간호학생들의 임상실습 대처를 도울 수 있는 중재요인들을 살펴볼 수 있었다. 우선 간호학생들은 임상실습 경험을 안정적이지 않은 실습여건을 포함해 과중한 부담감, 학생신분으로서 역할 한계 등을 맥락적 조건으로 간주하고 있었다. 최근 간호교육인증평가의 실시로 원거리실습규정이 의무화됨에 따라 교통비지급, 실습지숙소제공 등 실습여건이 이전에 비해 다소 나아지기는 했으나 지원의 규모가 일부분이어서 학생들은 여전히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나 상황을 조절해나가기 위해 학생들의 입장에서 할 수 있는 대처방법으로는 미숙함 극복하기, 현장지도자의 마음 얻기, 심신 다스리기 등의 작용 및 상호작용 전략을 사용하고 있었다. 또한 이러한 작용 및 상호작용을 촉진하거나 억제하는 중재적 조건으로 주변인의 지지, 실습 전의 경험, 같이 실습하는 조원들과의 역동이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다. 실습동료들과 실습에 대한 고충을 얘기하면서 스트레스를 해소하기도 하였는데 이러한 결과는 실습초기에는 새로운 실습지에 대한 불안과 부담, 스트레스가 있었으나 일기쓰기와 같은 성찰과정을 통해 개인적 느낌과 경험을 서술하면서 스트레스가 감소되었다고 보고한 Jo (2003)의 연구결과와도 유사하다. 따라서 임상실습 교육과정에서 학생들이 경험하는 스트레스를 해소하고 이를 긍정적으로 대처해 나갈 수 있도록 간호교육자는 실습지도시 학생들의 말을 경청하고, 어려움에 공감하면서 눈높이를 맞춰 함께 대처전략을 모색하는 등의 개별적 접근이 필요하다.
또한 신규 간호사들의 실무적응경험 연구(Son et al., 2001)에서 간호사들이 궤도에 진입하기 위한 극복과정에 인간관계가 중재적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었는데, 학생과 간호사라는 대상은 다르지만 새로운 환경에서의 대처과정에 있어 주변인과의 관계가 중요함을 알 수 있었다. 그 외에도 Park과 Ha (2003)의 연구에서는 간호학생의 임상실습 경험이 일상생활이나 성격의 변화를 가져오고, 자존감을 저하시키거나, 부담감을 준다고 하였는데, 이는 본 연구 결과의 중재적 조건이나 상호작용 등과 일치되는 점을 보여주고 있다.
본 연구결과 중 이전 연구와 구분되는 것으로는 이전과는 달리 간호학생들도 학생신분으로의 존중뿐 아니라 질적 교육에 대한 권리 주장이 표면화되었고, 이를 임상실습 대처경험에 중요한 긍정적 조건으로 간주하고 있다는 것이었다. 이는 최근 환자를 비롯한 각 역할에서의 권리 보장에 대한 욕구들이 강해지는 사회현상과 관련이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그러므로 학생들의 ‘의미있는 존재가 되어가기 위한 노력’을 촉진하기 위해서는 간호학생들의 임상실습에서의 역할에 따른 명확한 책임과 의무에 대한 규정들을 확립하는 것도 필요하겠다.
간호학생들은 임상실습과정에서 자신의 미숙함을 극복하고 현장지도자로부터 인정을 받기 위한 노력과 심신을 다스리는 노력과 같은 작용 및 상호 작용을 통해 성숙해지고, 간호학생으로서 정체성의 생기면서 현장 적응력을 획득한다고 하였다. 결국 이러한 과정은 Park과 Ha (2003)이 설명한 임상실습경험의 하나로, 간호사로서의 자신의 모습을 찾아가고 인정받고 자신에 대해 많이 생각하는 내적 성숙의 경험과도 일치되는 부분이었다.
이상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간호학생들의 임상실습 대처경험에서 ‘의미 있는 존재로 되어가기 위한 노력’을 지지해주기 위해서는 임상실습경험에 대한 긍정적 인식으로의 전환이나, 학생들의 권리보장을 규명하는 작업들은 필요하다. 이에 더하여 학생, 실습기관, 간호교육자의 각각의 관점에서 수행할 수 있는 전략들을 구상하는 것 역시 필요하다고 하겠다.

결론 및 제언

본 연구는 연구대상자 일부 지역 간호대학생의 경험이라는 한계로, 전국 간호학생들의 지역적 실습환경 특성을 모두 반영되지 못하였고 성별에 따른 차이를 구분하지 못한 제한점이 있다. 따라서 추후 연구에서는 병원 규모 등 실습기관의 다양성에 따른 임상실습 대처 경험의 차이나, 여자 간호학생들과는 달리 또 다른 경험을 하게 되는 남자 간호학생들에 초점을 맞춘 임상실습 대처 경험에 대한 연구들도 필요할 것으로 본다. 또한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후속 연구에서는 간호학생들의 임상실습에서의 기본적 사회심리과정인 대처과정을 심층적으로 탐색하는 것도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본 연구 결과는 간호학생들의 임상실습 대처경험을 심도 있게 이해하는 근거를 제공하고 있으므로, 추후 간호학생들의 임상실습 교육의 효과와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에 유용한 근거를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를 찾아볼 수 있겠다.

References

Benner, P. (1982). From novice to expert. The American Journal of Nursing, 82(3), 402-407.
crossref
Benner, P.(1982From novice to expertThe American Journal of Nursing82(3402-407
Chan, C. K. L., So, W. K. W., & Fong, D. Y. T. (2009). Hong Kong baccalaureate nursing student's stress and their coping strategies in clinical practice. Journal of Professional Nursing, 25(5), 307-313.
crossref
Chan, C. K. L., So, W. K. W., et al, Fong, D. Y. T.(2009Hong Kong baccalaureate nursing student's stress and their coping strategies in clinical practiceJournal of Professional Nursing25(5307-313
Choi, G. Y. (2009).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ptions of nursing college students regarding clinical practice environment and related variables.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1(1), 129-139.

Choi, G. Y.(2009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ptions of nursing college students regarding clinical practice environment and related variables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21(1129-139
Corbin, J., & Strauss, A. (2008). Basics of qualitative research (3rd ed). Los Angels, CA: Sage.

Corbin, J., et al, Strauss, A.(2008Basics of qualitative research(3rd ed)Los Angels, CASage
Jeong, S. H., & Park, S. H. (2013). Relationship among stress, depression, and satisfaction to clinical practice among nursing students. The Korean Journal of Rehabilitation Nursing, 16(1), 47-54.
crossref
Jeong, S. H., et al, Park, S. H.(2013Relationship among stress, depression, and satisfaction to clinical practice among nursing studentsThe Korean Journal of Rehabilitation Nursing16(147-54
Jo, K. H. (2003). Content analysis of the student nurse`s critical-reflective clinical practice experience.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9(2), 310-319.

Jo, K. H.(2003Content analysis of the student nurse`s critical-reflective clinical practice experience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9(2310-319
Kim, J. S. (2012). The influence of ego-resilience and stress of clinical practice on clinical competence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n Communication in Healthcare, 7(2), 94-102.
crossref
Kim, J. S.(2012The influence of ego-resilience and stress of clinical practice on clinical competence in nursing studentsJournal of Korean Academy on Communication in Healthcare7(294-102
Kim, J. S., Sun, J. J., & Kim H. S. (2009). Clinical practice experiences of nursing students. Qualitative Research, 10(1), 63-76
crossref
Kim, J. S., Sun, J. J., et al, Kim, H. S.(2009Clinical practice experiences of nursing studentsQualitative Research10(163-76
Kim, M. J., & Yoo, S. Y. (2014). The perception-coping types of initial clinical practice in nursing students: Q methodological approach. Journal of Military Nursing Research, 32(1), 105-118.

Kim, M. J., et al, Yoo, S. Y.(2014The perception-coping types of initial clinical practice in nursing students: Q methodological approachJournal of Military Nursing Research32(1105-118
Kwon, I. S., & Seo, Y. M. (2012). Nursing students' needs for clinical nursing education.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8(1), 25-33.
crossref
Kwon, I. S., et al, Seo, Y. M.(2012Nursing students' needs for clinical nursing education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18(125-33
Lazarus, R. S., & Folkman, S. (1984). Stress, appraisal, and coping. New York: Springer.

Lazarus, R. S., et al, Folkman, S.(1984Stress, appraisal, and copingNew YorkSpringer
Lee, E. J., & Jun, W. H. (2013). Sense of coherence and stress of clinical practice in nursing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9(2), 163-171.
crossref
Lee, E. J., et al, Jun, W. H.(2013Sense of coherence and stress of clinical practice in nursing students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19(2163-171
Lofmark, A., & Wikbald, K. (2001). Facilitating and obstructing factors for development of learning in clinical practice: A student perspective. Journal of Advanced Nursing, 34, 43-50.
crossref
Lofmark, A., et al, Wikbald, K.(2001Facilitating and obstructing factors for development of learning in clinical practice: A student perspectiveJournal of Advanced Nursing3443-50
Oh, M. J. (2000). A factor analysis of the perspectives on the coping strategies about practical stress in nursing student.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6(3), 423-436.

Oh, M. J.(2000A factor analysis of the perspectives on the coping strategies about practical stress in nursing studentChild Health Nursing Research6(3423-436
Park, E. J., Kim, C. M., & Lim, S. J. (2012). Role translation from clinical nurse to case manager for medical-aid beneficiaries: Taking root in a barren land.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2(2), 149-160.
crossref
Park, E. J., Kim, C. M., et al, Lim, S. J.(2012Role translation from clinical nurse to case manager for medical-aid beneficiaries: Taking root in a barren land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42(2149-160
Park, J. W., & Ha, N. S. (2003). Nursing students clinical experienc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12(1), 27-35.
crossref
Park, J. W., et al, Ha, N. S.(2003Nursing students clinical experiences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12(127-35
Park, K. O., & Kim, J. K. (2013). A study on experience of transition from new clinical nurse to competent step.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9(4), 594-605.
crossref
Park, K. O., et al, Kim, J. K.(2013A study on experience of transition from new clinical nurse to competent step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19(4594-605
Son, H. M. (2014). Analysis of positioning in the nursing student' narrative of the experiences of clinical practice.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20(1), 129-137.
crossref
Son, H. M.(2014Analysis of positioning in the nursing student' narrative of the experiences of clinical practice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20(1129-137
Son, H. M., Koh, M. H., Kim, C. M., & Moon, J. H. (2001). The clinical experiences of adaptation as a new nursing staff.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1(6), 988-997.
crossref
Son, H. M., Koh, M. H., Kim, C. M., et al, Moon, J. H.(2001The clinical experiences of adaptation as a new nursing staff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31(6988-997
Yang, H. M., & Hwang, S. Y. (2014). Development of clinical scenarios and rubrics for a program outcome-based evaluation for students’adult health nursing practice.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Adult Nursing, 26(6), 653-667.
crossref
Yang, H. M., et al, Hwang, S. Y.(2014Development of clinical scenarios and rubrics for a program outcome-based evaluation for students’adult health nursing practice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Adult Nursing26(6653-667


ABOUT
BROWSE ARTICLES
FOR CONTRIBUTORS
Editorial Office
Department of Nursing,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1 Chungdae-ro, Seowon-gu, Cheongju-si, Chungcheongbuk-do, 28644, Korea
Tel: +82-43-249-1712    E-mail: spark2020@chungbuk.ac.kr                

Copyright © 2024 by The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