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 Korean Acad Soc Nurs Educ Search

CLOSE


J Korean Acad Soc Nurs Educ > Volume 19(2); 2013 > Article
Kim, Kim, Kim, Park, and Kang: The Degree of Safety Education Requirement for Younger Children in Child Daycare Center Teachers

Abstract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degree of safety education requirement in child daycare center teachers. Method: The data using questionnaire were collected from eight child daycare centers located in Seoul, Gyounggi-Do, and Kwangwon-Do. Final participants were 133 child daycare center teachers. Results: The degree of safety education requirement were as follows: education need of safety knowledge (4.26±.50), safety education need of daycare center (3.29±.60), recognition about safety education training (3.94±.58), and confidence of safety care practice (2.75±.43). There is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education need of safety knowledge and safety education need of daycare center (r=.495, p<.001), education need of safety knowledge and recognition about safety education training (r=.555, p<.001), education need of safety knowledge and confidence of safety care practice (r=.201, p=.020), safety education need of daycare center and recognition about safety education training (r=.464, p<.001), and recognition about safety education training and confidence of safety care practice (r=.187, p=.032). Conclusion: On this study, child daycare center teachers’ safety education requirement was relatively high. It is recommended that safety education for them should be done for children’s healthy life.

서 론

연구의 필요성

최근 가족구조의 변화와 여성의 사회진출 증가로 보육시설을 이용하는 아동의 수는 계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보육시설의 종일반 운영도 점차 확장되고 있어 보육시설은 어린 아동에게 제 2의 가정이 되고 있는 실정이다(Nam, 2001). 2010년을 기준으로 우리나라 만 3-5세에 해당하는 아동 인구는 137만명이며 국가에서는 저출산을 예방하고자 하는 정책의 일환으로 보육료를 지원하고 있어 대다수의 아동이 보육시설을 이용하고 있다(Ministry of Health & Welfare, 2012). 이렇게 보육시설 이용이 증가하면서 부모가 아동 안전의 1차적 책임자로 생각했던 과거와 달리, 보육을 담당하는 보육교사들이 대신 그 책임을 떠맡게 되었다. 또한 과거에는 3-4시간 교육하던 보육시설의 프로그램이 부모가 취업하고 있는 자녀들을 위해 12시간 보육프로그램으로 바뀌고 0세부터 5세까지 다양한 연령을 보육하는 기관으로 변모하여 아동의 안전문제가 더욱 심각하게 대두되었다(Hong, 2002).
안전사고는 미연에 예방하는 것이 최우선이지만, 모든 사고를 예방한다는 것이 쉽지 않은 현실로, 보육시설에서의 사고발생 위험은 항상 있고 정확히 예측하기도 어렵다(Bang, 2006). 특히 6세 미만의 어린 아동은 발달특성으로 볼 때, 신체활동이 많아지고 호기심이 높아져서 끊임없이 움직이고 탐색하려는 욕구가 강한 반면 신체기능이 미성숙하여 균형유지와 운동기능이 미흡하고 위험한 상황에 대한 지식과 판단능력이 부족하여 안전이 요구되는 시기이다(Kim et al, 2012). 아동의 호기심은 자연적이어서 아동은 탐색과 동시에 시도와 실수를 반복하고 다른 사람의 행동을 모방하면서 주변세계에 대해 배운다. 이러한 아동의 충동은 종종 그들을 위험한 상황으로 이끌고 이것은 실질적인 경험 부족과 연합되어 사고를 초래하게 된다(Yoon, 2000). 그러나 그들은 자신이 위험 속에 있다는 것을 인식하지 못하고 자신의 행동에 수반되는 위험을 평가할 수 없다.
아동 안전사고의 발생률을 살펴보면, 1-14세 아동의 사고 중 만 7-14세 아동의 비율은 21.7%인 반면 만 0-6세 아동의 비율은 78.3%로 나타나 학령기를 기준으로 볼 때, 이전의 아동 사고가 이후의 아동보다 약 3.6배가 높은 것으로 나타나 대부분이 보육시설을 이용하는 어린 연령에서 발생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Korea Consumer Agency, 2003). Korea Consumer Agency (2012)에서 보육시설 사고의 실태에 대해 조사한 바에 따르면 서울시 4,348개 국·공립, 민간, 가정보육시설의 아동 중 조사 대상 보육 시설의 91.7%가 년 1-2회 정도로 사고를 경험하였다고 보고하고 있다. 따라서 보육시설안전에 대한 교육이 통합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어린 아동을 일선에서 돌보는 보육시설의 교사는 안전한 환경을 제공하고 아동을 보호하는데 항상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보육교사는 사고로부터 아동을 보호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어야 하고 응급상황이 발생했을 때 사고를 최소화하는 기술이 필요하다. 즉, 보육시설을 이용하는 아동의 안전사고는 이들을 돌보는 성인의 철저한 사전대책이나 감독에 의해 관리될 수 있다는 입장에서 일차적인 책임을 맡고 있는 교사를 위한 안전교육이 강조되어야 한다(Kang, 1994; Yoon, 2000; Chung & Bae, 1999). 아동에 대한 보호가 부모의 전적인 책임에서 보육교사에게도 동일하게 요구되는 것이 현실이기 때문이다(Seok, 2006). 그러나 실제로 보육교사들은 아동 안전에 대한 지식과 대처능력이 미약한 것으로 나타났으므로(Chang, Chung, & Bae, 1997; Chung & Bae, 1999) 이들의 안전에 대한 교육 요구도를 파악하는 것은 중요하다고 생각된다.
선행연구에 따르면, 아동 안전교육에 대한 요구도를 살펴볼 때, 90.0% 이상의 보육교사가 안전교육을 희망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Chang et al, 1997; Yoon, 2000), Kim (2005)은 실제적으로 보육교사는 교육과정에서 아동안전에 대해 거의 배우지 못하고 있어 아동안전에 대한 기본적인 지식이 거의 없이 교육현장으로 배출되고 있는 실정이라고 지적하였다. 보육교사들은 아동의 안전을 유지하고 불가피하게 발생하는 사고에 대해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지식과 능력에 대한 요구가 크게 증가하고 있으므로(Jo, 2008) 이들을 대상으로 이에 대한 요구 정도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여기에는 아동이 생활하는 보육시설에서 발생하는 안전에 대한 요구 또한 부가되어야 할 것이다. 실제로 보육교사들을 대상으로 한 안전에 대한 교육연수가 시행되지만 이러한 교육내용은 일방적으로 이루어질 뿐, 이들의 요구를 고려하지는 않는 실정이다. 따라서 안전교육 연수에 대한 보육교사의 인식과 요구를 파악하여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한 교육내용이 구성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안전에 대한 인식과 지식이 부족한 상황에서는 안전과 관련된 실천행동을 하는데도 자신감이 낮아질 것이라고 추측된다.
보육시설을 이용하는 아동은 수적으로 뿐 만 아니라, 이용시간도 증가함에 따라 아동 안전에 대한 책임은 부모로 부터 교사에게로 중대성이 이전되고 있어 보육교사에게 체계적인 안전교육의 필요성이 대두 되고 있다. 보육교사는 아동 안전에 있어서 역할모델, 보호자, 교사의 역할을 하는데, Park (2001)에 의하면 보육교사가 아동에게 물리적으로 안전한 환경을 구성하고 안전교육을 실시하며 모범적인 안전생활 태도와 행동을 보여주기 때문이라고 하였다. Kim (2005)은 교사는 직·간접적으로 아동이 안전생활 습관과 태도 형성에 영향을 미친다고 지적하면서 영유아의 안전사고 예방을 위해서는 교사의 역할이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교사에 초점을 맞춘 연구는 많지 않다고 지적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부모를 대신하여 하루 8-9시간 이상 아동을 돌보는 보육교사의 아동 안전교육에 대한 요구도를 안전지식에 대한 교육요구, 보육시설안전 교육요구, 안전교육 연수에 대한 보육교사의 인식, 안전실천 수행 자신감 정도의 4개영역으로 구분하여 통합적으로 파악하고자 한다. 이러한 시도는 안전에 대한 지식, 태도 기술 측면에서의 다양한 측면의 요구도를 분석하기 위함이며 이를 통해 안전의 중요성을 강조함과 동시에 각 영역별로 필요한 부분을 비교, 분석하여 좀 더 체계적인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할 필요성을 인식하고 이를 통해 아동 안전사고의 예방과 관리 능력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할 것으로 생각한다. 이는 궁극적으로 안전교육과 관련된 간호교육의 측면에서 의의가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연구 목적

본 연구는 보육시설을 이용하는 연령의 아동에서 사고가 많이 발생한다는 점을 감안하여 이들을 돌보는 보육교사의 안전교육 요구도를 파악함으로써 사고발생을 예방하고 궁극적으로는 아동 안전교육과 건강교육에 기여하고자 함이다.
이에 따른 구체적 목적은 다음과 같다.
∙대상자의 안전지식에 대한 교육요구, 보육시설안전 교육요구, 안전교육 연수에 대한 보육교사의 인식, 안전실천 수행 자신감 정도를 파악한다.
∙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및 안전교육관련 특성에 따른 안전지식에 대한 교육요구, 보육시설안전 교육요구, 안전교육 연수에 대한 보육교사의 인식, 안전실천 수행 자신감 정도의 차이를 파악한다.
∙대상자의 안전지식에 대한 교육요구, 보육시설안전 교육요구, 안전교육 연수에 대한 보육교사의 인식, 안전실천 수행 자신감 정도의 관계를 파악한다.

연구 방법

연구 설계

본 연구는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보육교사의 아동 안전교육 요구도를 파악하기 위해 자가보고식 질문지를 이용한 서술적 조사연구(descriptive survey)이다.

연구 대상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시, 경기도, 강원도에 소재한 14개 어린이집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 적절한 표본 수를 산정하기 위해 G*Power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유의수준 α=0.05, 검정력 0.95, 효과크기 0.3을 기준으로 확인한 결과, 상관성 검증에 필요한 표본 수는 총 111명으로 나타나, 본 연구 수행을 위해서는 충분한 표본 수(n=133)가 확보되었다.

자료 수집 방법

본 연구의 자료수집 기간은 2012년 6월 22일부터 8월 29일까지 이었다.
자료수집 방법은 연구자가 해당지역의 어린이집 원장에게 전화로 연구의 목적을 설명한 후 허락을 받은 8개 기관을 대상으로 하였는데, 해당지역의 어린이집을 방문하여 보육교사에게 연구의 목적과 방법을 재차 설명하고 서면으로 연구 참여에 대한 동의서를 받았다. 연구에 대한 참여는 강요하지 않았으며 설문지에 대한 응답은 도중이라도 언제든 중지할 수 있다는 것도 함께 설명하였다. 질문지는 대상자 스스로 응답케 하여 회수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익명으로 처리하였는데, 대상자들이 질문지에 응답하는 데는 평균 15-20분 정도가 소요되었다.
대상자에게는 180부가 배포되었으나 이 중 연구에 참여하기를 원치 않거나 자료가 불충분한 47부를 제외한 총 133부(73.9%)를 분석 자료로 이용하였다.

연구 도구

● 안전지식에 대한 교육요구

안전지식에 대한 교육요구는 Fickling (1993)이 개발한 도구를 Kim (2005)이 우리나라 상황에 맞게 수정, 보완한 8문항의 5점 척도로 점수가 높을수록 해당 문항의 안전지식에 대한 교육요구도가 높음을 의미한다. 본 도구는 전문가 집단인 보육교사 4인과 아동간호학 교수 3인에게서 내용의 타당성을 검증받았으며, 신뢰계수 Cronbach's α는 .88로 나타났다.

● 보육시설안전 교육요구

보육시설안전 교육요구는 보육시설 안전에 관련된 선행 문헌을 참고로 하여 본 연구자가 구성하였는데, 전체적인 내용에서 보육교사에게 요구되는 내용을 위주로 하여 파악한 결과, 보육시설에서의 사고나 환경관리, 응급처치에 대한 영역으로 구분되었으며(Nam, 2001), 각 영역별로 실제 현장에서 보육교사가 알아야 할 내용 중 우선순위로 고려되는 13문항을 5명의 보육시설장을 통해 자문을 받았다. 그런 후 보육교사 4인과 아동간호학 교수 3인을 통해 내용타당도를 검증받는 과정을 거쳤다. 본 도구는 총 13문항의 4점 척도로 점수가 높을수록 해당문항에 대한 안전 교육요구가 높음을 의미하며 신뢰계수 Cronbach's α는 .95로 나타났다.

● 안전교육 연수에 대한 보육교사의 인식

안전교육 연수에 대한 보육교사의 인식 정도는 Kim (2005)이 사용한 도구로 놀이안전 3문항, 시설·설비안전 6문항, 화재·감전·가스안전 4문항, 교통안전 2문항, 스포츠안전 2문항, 기타 2문항의 총 21문항으로 구성된 5점 척도로 점수가 높을수록 해당 문항의 안전교육 연수에 대한 인식이 높은 것을 의미한다. 본 도구의 신뢰계수 Cronbach's α는 .95로 나타났다.

● 안전실천 수행 자신감

본 도구는 Nam (2001)이 보육시설 교사의 안전실천 수행에 대한 자신감을 측정하기 위해 개발한 도구를 이용하였는데, 총 10문항의 4점 척도로 구성되어 있으며 점수가 높을수록 해당 문항에 대해 자신 있게 수행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구의 신뢰도는 Nam (2001)의 연구에서는 Cronbach's α는 .85이었으며, 본 연구에서는 .62로 나타났다.

자료 분석 방법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0. 0프로그램을 이용하였는데, 대상자의 안전지식 에 대한 교육요구, 보육시설안전 교육요구, 안전교육 연수에 대한 인식과 안전실천 수행자신감 정도는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였다. 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및 안전교육관련 특성에 따른 안전지식 요구, 보육시설안전 교육요구, 안전교육 연수 인식과 안전실천 수행 자신감 정도의 차이는 t-test와 ANOVA를 사용하였으며 사후검증은 Duncan test를 이용하였다. 또한 안전지식에 대한 교육요구, 보육시설안전 교육요구, 안전교육 연수에 대한 인식과 안전실천 수행 자신감 정도의 관계는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는데, 모든 통계적 유의수준은 양측검정 .05로 하였다.

연구 결과

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및 안전교육관련 특성

본 연구 대상자의 특성은 다음과 같다<Table 1>.
<Table 1>

General and safety education characteristics of participants (N=133)

Variables Categories n % Mean±SD
Age (yr) <25 31 23.3 33.26±9.94
26-35 49 36.9
≥36 53 39.8
Marital status Not married 75 56.4
Married 58 43.6
Parenting experience Yes 58 43.6
No 75 56.4
Education career (month) <24 58 43.6 55.15±70.18
25-59 32 24.1
≥60 43 32.3
Type of child day care center National and public 24 18.0
Private 50 37.6
Working agencies 32 24.1
Others 27 20.3
Years of child charged (yr) less 2 44 33.1
2-3 44 33.1
above 4 45 33.8
Educational career Child care teacher training course 20 15.0
Junior college 52 39.1
University 51 38.3
Graduate School 9 6.8
Others 1 0.8
Certifications* Child care teacher
-Class 2 Certification
68 51.1
Child care teacher
-Class 1 Certification
55 41.4
Kindergarten Teacher
-Class 1 Certification
30 22.6
Others 5 3.8
Safety education before
childcare facility working
Yes 83 62.4
No 50 37.6
Safety education during
childcare facility working
Yes 121 91.0
No 12 9.0
Recent safety education time※ Within 1 month 42 32.6
Within 2-6 months 54 41.9
Within 7 months 33 25.5
Degree of assistance of safety education※ Very helpful 31 24.0
Generally helpful 66 51.2
Slightly helpful 26 20.2
Not helpful 6 4.7
Point to consider when selecting safety education contents* Developmental stage of toddler 34 25.6
Regional characteristics of working agencies 4 3.0
Program characteristics of working agencies 7 5.3
Toddler's high safety incidents 97 72.9
Others 2 1.5
Plans for safety education activation of educational institutions for toddler Guidebook publication for teachers 15 11.3
Offering training program for teachers 39 29.3
Diversification of educational contents and activity 36 27.1
Expansion of teaching materials and teaching aid 12 9.0
Supporting and cooperation of wording agencies 31 23.3
Safety education data in childcare facility Not enough at all 3 2.3
Not enough 15 11.3
Average 62 46.6
Enough 49 36.8
Very enough 4 3.0
Usage of safety management data Alway used 11 8.3
Generally used 51 38.3
Sometimes used 54 40.6
Almost not 17 12.8
Accessability of safety management data Readily available 13 9.8
Available upon request 80 60.2
A little bit available 40 30.1
Usefulness of safety management data Very helpful 10 7.5
Generally helpful 83 62.4
Sometimes helpful 38 28.6
Not helpful 2 1.5
The most useful teaching media* Visual media 30 22.6
Audio media 2 1.5
Audiovisual media 98 73.7
Computer 12 9.0
Application based smart phone 3 2.3
Wish to participate in safety education teacher training Must participate 29 21.8
When conditions permit, participate 99 74.4
Don't want to participate 3 2.3
I don't know 2 1.5
Number of appropriate training Once every other year 6 4.5
Once a year 50 37.6
Twice a year 50 37.6
Three times a year 5 3.8
Four times a year 12 9.0
Often 10 7.5
Effective educational method for teacher* Practical centered 81 60.9
Lecture centered 13 9.8
Audiovisual centered 45 33.8
Discussion centered 5 3.7
Booklet 5 3.7
Risk for accident in childcare facility Very low 12 9.0
Slightly low 34 25.6
Slightly high 60 45.1
Very high 27 20.3
Possibility of accident prevention in childcare facility Totally preventive 19 14.3
When to be careful, preventive 111 83.5
Not preventive 3 2.3

* multiple response

※ except missing data

대상자의 연령은 20~62세의 범위로 평균 33.3(±9.9)세의 범위로 나타났는데, 36세 이상이 39.8%(53명)로 가장 많았고, 26세 이상 35세 이하가 36.9%(49명)를 차지하였다. 결혼상태에 있어서는 56.4%가 기혼이었으며 대상자의 43.6%에서 영유아 자녀양육 경험을 갖고 있었다. 보육교사 근무 경력은 평균 55.2(±70.2.)개월로 나타났으며 2년 미만이라고 응답한 대상자가 43.6%(58명)로 가장 많았다.
대상자가 근무하고 있는 어린이집의 형태는 민간 어린이집 37.6%, 직장 어린이집 24.1%, 기타 20.3%의 순으로 나타났다. 대상자 중 33.8%는 만 4세 이상 아동을 돌본다고 응답하였으며 만 2세 미만과 만 2-3세 영유아를 돌보는 대상자가 각각 33.1%씩을 차지하였다. 대상자의 최종학력은 전문대학 졸업이 39.1%로 가장 많았고 4년제 대학교를 졸업한 대상자는 38.3%이었으며, 교사가 보유하고 있는 자격증으로는 보육교사 2급 자격증을 가진 대상자가 51.1%로 가장 많았다.
안전교육과 관련된 내용으로는, 대상자의 62.4%가 보육시설에서 근무하기 이전에 안전교육을 받은 경험이 있다고 응답하였으며, 현 시설에서 근무하는 동안 안전교육을 받았다고 응답한 대상자는 91%로 거의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안전교육을 받은 시기에 있어서는 대상자의 41.9%는 2-6개월 전에 안전교육을 받았으며 32.6%는 최근 1개월 이내에 안전 교육을 받았다고 응답하였다. 교육은 대상자의 51.2%가 ‘대체로 도움이 되었다’고 하였으며 24.0%는 ‘매우 도움이 되었다’고 응답하였다. 안전교육 내용 선정 시 가장 고려해야 할 점으로는 대상자의 대부분인 72.9%가 유아들의 일상생활에서 발생빈도가 높은 안전사고를 꼽았다. 또한 보육시설의 안전교육 활성화를 위한 가장 좋은 방법으로 29.3%가 안전교육에 관한 교사 연수 기회를 제공하는 것을 선택하였고, 그 다음으로 27.1%가 유아 안전교육 내용 및 활동을 다양하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응답하였다. 또한 기관의 협조와 지원이 필요하다는 응답도 대상자의 23.3%를 차지하였다.
근무하고 있는 보육시설의 안전교육 교수자료 및 교구 구비 현황에 대한 질문에는 ‘보통’이라고 응답한 대상자가 46.6%(62명)로 가장 많았고, 39.8%의 대상자가 ‘충분하다’고 응답하여 안전교육 교수자료와 교구에 대한 응답은 부정적이지 않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대부분의 대상자들이 안전관리에 대한 자료를 이용하고 있다고 응답하였지만, ‘거의 이용하지 않는다’고 응답한 대상자도 12.8%로 나타났다. 안전관리 및 안전교육에 대한 자료를 얼마나 쉽게 구할 수 있는지를 묻는 질문에 대상자의 60.2%가 ‘요청하면 관련 자료를 구할 수 있다’고 응답하였고 9.8%는 ‘쉽게 구할 수 있다’고 응답하여 안전관리 자료에 대한 접근성은 비교적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대상자의 62.4%는 현재 나와 있는 안전관리 및 안전교육에 대한 자료가 ‘대체로 도움이 된다’고 응답하였고, ‘약간 도움이 된다’는 응답자는 28.6%, ‘매우 도움이 된다’는 7.5%로 나타나 기존의 안전관리 및 안전교육 관련 자료에 대한 만족감은 비교적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대상자들이 가장 유용하다고 생각하는 교수 매체는 시청각 매체였으며, 대상자의 74.4%가 안전교육 관련 교사연수 기회가 마련된다면 ‘여건이 되면 참여하겠다’는 의사를 밝혔다. 안전교육에 대한 연수 기회는 연 1-2회 정도가 적당하다고 응답하였고 교사에게 적절한 교육방식으로는 60.9%가 실기 중심을 꼽았고 그 다음으로 33.8%가 시청각 중심 교육을 꼽았다. 대상자들은 보육시설의 사고발생 가능성이 비교적 높다고 인식하고 있었고, 대상자의 83.5%가 ‘사고는 조심하면 어느 정도 예방할 수 있다’고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대상자의 안전지식에 대한 교육요구, 보육시설안전 교육요구, 안전교육 연수에 대한 인식, 안전실천 수행 자신감 정도

대상자의 안전지식에 대한 교육요구, 보육시설안전 교육요구, 안전교육 연수에 대한 인식, 안전실천 수행 자신감 정도는 다음과 같다<Table 2>.
<Table 2>

The degree of safety education requirement (N=133)

Variables Min Max Mean±SD
Education need of safety knowledge 2.63 5.00 4.26±.50
 Safety knowledge about safety situation and toddler development in Korea 2.00 5.00 4.10±.70
 Safety knowledge about facilities and equipment management 2.00 5.00 4.01±.68
 Safety knowledge about fire, electric shock, and burn 2.00 5.00 4.27±.65
 Safety knowledge about traffic and sports 1.00 5.00 3.91±.78
 Safety knowledge about management of dangerous substances 1.00 5.00 4.36±.75
 Safety knowledge about dangerous situation(kidnapping, lost child, and sexual violent) 2.00 5.00 4.53±.65
 Safety knowledge about disaster coping 3.00 5.00 4.29±.67
 Safety knowledge about first-aid measures according to various type of accident 3.00 5.00 4.62±.56
Safety education need of daycare center 1.08 4.00 3.29±.60
 Type of accident that is high in incidence and severity 1.00 4.00 3.09±.74
 Occurrence factor of accident 1.00 4.00 2.82±.78
 Facilities and environmental management 1.00 4.00 2.79±.80
 Give a decision of child's status who had an accident 1.00 4.00 3.20±.75
 First-aid in cutting or tearing 1.00 4.00 3.35±.77
 First-aid in bleeding 1.00 4.00 3.39±.75
 First-aid in fall down 1.00 4.00 3.38±.80
 First-aid in foreign matter of eye and ear 1.00 4.00 3.44±.76
 First-aid in unconsciousness 1.00 4.00 3.47±.76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1.00 4.00 3.48±.73
 First-aid in burn 1.00 4.00 3.46±.75
 Emergency coping method in fire 1.00 4.00 3.44±.72
 How to safety guide for toddler 1.00 4.00 3.47±.70
Recognition about safety education training 2.10 5.00 3.94±.58
 Play safety 1.00 5.00 3.92±.68
  Choice & safe using method of toys, play instruments 1.00 5.00 3.98±.72
  Safe rule of indoor & outdoor play facility 1.00 5.00 4.05±.74
  Safe utilization of instruments(knife, hammer etc) 1.00 5.00 3.74±.89
 Facilities, equipment 1.00 5.00 3.75±.70
  Establishment standard of outdoor equipments 1.00 5.00 3.85±.81
  Safe guidance in restroom 1.00 5.00 3.84±.84
  Appropriate size of classroom & outdoor facility 1.00 5.00 3.73±.86
  Appropriate grass ratio of outdoor play space 1.00 5.00 3.41±.92
  Clean method, interval & depth of sand playground 1.00 5.00 3.71±.82
  Regulation of indoor temperature, humidity, ventilation & lighting 1.00 5.00 3.96±.71
 Fire, electric shock 2.75 5.00 4.03±.61
  Installation and usage of fire distinguisher 2.00 5.00 3.92±.77
  Right using method of electric heater 2.00 5.00 3.87±.75
  Prevention & coping method of gas, electric shock accident 3.00 5.00 4.06±.68
  Escaping tip & coping method in fire 2.00 5.00 4.29±.70
 Traffic 1.00 5.00 4.10±.79
  Safe crossworking & walking 1.00 5.00 4.13±.81
  Safe usage of traffic method 1.00 5.00 4.07±.85
 Sports 1.00 5.00 3.78±.84
  Safe usage of bicycle & roller skate 1.00 5.00 3.71±.91
  Prevention of drowning 1.00 5.00 3.84±.86
 Others 1.50 5.00 4.15±.64
  Prevention of animal, plant & insect injury 1.00 5.00 3.92±.82
  Safe management of drug, chemicals, cleanser 1.00 5.00 4.08±.81
  Prevention & coping method of kidnaping, sexual violence 3.00 5.00 4.50±.61
  Environmental pollution & disaster coping method 1.00 5.00 4.08±.78
Confidence of safety care practice 1.60 4.00 2.75±.43
 Using fire extinguisher 1.00 4.00 2.89±.77
 Departments judge when injured 2.00 4.00 3.11±.55
 First aid when eyes are tone 1.00 4.00 2.61±.69
 First aid when they can not move arm due to fall down 1.00 4.00 2.35±.73
 First aid-burn 1.00 4.00 2.84±.64
 First aid-foreign object aspiration 1.00 4.00 2.30±.82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1.00 4.00 1.95±.81
 Safety Inspection of toy and rides 1.00 4.00 3.00±.73
 Coaching play safety rules 1.00 4.00 3.20±.66
 Coaching toilets safety rules 1.00 4.00 3.28±.61
대상자의 안전지식에 대한 교육요구는 5점 만점에 문항평균 4.26(±.50)점으로 매우 높았으며 이를 문항별로 살펴보면 ‘여러 가지 사고유형에 따른 응급처치방법에 대한 안전지식’이 4.62(±.56)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는 ‘위험한 상황(유괴, 미아, 성폭력)에 대한 안전지식’이 4.53(±.65)점, ‘위험한 물질의 관리에 대한 안전지식’이 4.36(±.75)점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대상자는 응급처치와 성폭력 등의 위험한 상황에 대한 교육요구가 높음을 알 수 있다.
대상자의 보육시설안전에 대한 교육요구는 4점 만점에 문항평균 3.29(±.60)점으로 높게 나타났는데, 문항별로는 ‘심폐소생술’이 3.48(±.73)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는 ‘의식을 잃었을 때 응급처치’와 ‘유아의 안전지도 방법’이 각각 3.47(±.76, ±.70)점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대상자의 보육시설안전에 대한 교육요구 역시 응급처치에 관련된 교육 요구가 가장 높음을 확인하였다.
대상자의 안전교육 연수에 대한 인식은 5점 만점에 문항평균 3.94(±.58)점으로 나타나 대상자들이 안전연수 프로그램에 대한 필요성을 비교적 높게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를 영역별로 살펴볼 때는 ‘기타’영역이 4.15(±.64)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는 ‘교통’영역이 4.10(±.79)점, ‘화재·감전’ 영역이 4.03(±.61)점의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를 문항별로 살펴보았을 때는, ‘유괴, 미아, 성폭력 방지법과 대처방법’이 4.50(±.61)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그 다음으로는 ‘화재 시 대피요령 및 대처방법’이 4.29(±.70)점, ‘약물이나 화학약품, 세제 등의 안전한 관리법’과 ‘환경오염 및 재해대처법’이 각각 4.08(±.81, ±.78)점, ‘교통수단의 안전한 이용방법과 사고 대처방법’이 4.07(±.85)점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대상자가 필요하다고 인식하는 안전교육 연수는 안전지식에 대한 교육요구와 유사함을 알 수 있었다.
대상자의 안전실천 수행 자신감은 4점 만점에 문항평균 2.75(±.43)점으로 나타났다. 이를 문항별로 살펴볼 때, 대상자가 가장 자신 있게 수행할 수 있다고 응답한 문항은 ‘화장실 안전규칙 지도’로 3.28(±.61)점으로 나타났으며 그 다음은 ‘놀이 시 안전규칙 지도’가 3.20(±.66)점이었다. 반면 가장 낮은 점수를 나타낸 문항은 ‘심폐소생술’로, 1.95(±.81)점으로 나타났으며 ‘이물질 흡인 시의 응급처치’도 2.30(±.82)점으로 낮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대상자들은 안전규칙 지도를 수행하는 데는 자신감을 갖고 있으나 기도폐쇄나 심정지 등의 위급한 상황에 대한 대처에는 자신감을 갖지 못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및 안전교육관련 특성에 따른 안전지식에 대한 교육요구, 보육시설안전 교육요구, 안전교육 연수에 대한 인식 및 안전실천 수행 자신감 정도의 차이

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및 안전교육관련 특성에 따른 안전지식에 대한 교육요구, 보육시설안전 교육요구, 안전교육 연수에 대한 인식 및 안전실천 수행 자신감 정도의 차이는 다음과 같다<Table 3>.
<Table 3>

The degree of safety education requirement according to general and safety education characteristics (N=133)

Variables Categories Education need of
safety knowledge
Safety education need of
daycare center
Recognition about safety
education training
Confidence of safety care
practice
Mean±SD t/F p Mean±SD t/F p Mean±SD t/F p Mean±SD t/F p
Age (yr) <25 4.28±.53 0.23 .798 3.23±.66 0.70 .498 3.96±.54 0.37 .692 2.80±.45 2.40 .094
26-35 4.28±.51 3.37±.42 3.98±.57 2.64±.44
≥36 4.22±.48 3.25±.69 3.88±.60 2.81±.39
Marital status Not married 4.25±.51 0.18 .856 3.29±.53 0.17 .862 3.96±.57 0.48 .636 2.69±.41 1.75 .082
Married 4.26±.49 3.28±.68 3.91±.58 2.82±.44
Parenting experience Yes 4.26±.49 .18 .856 3.28±.68 0.17 .862 3.91±.58 0.48 .636 2.82±.44 1.75 .082
No 4.25±.51 3.29±.53 3.96±.57 2.69±.41
Education career (month) <24 4.27±.56 0.10 .908 3.25±.68 0.28 .759 3.97±.63 0.15 .862 2.72±.41 1.80 .168
25-59 4.26±.50 3.35±.50 3.92±.58 2.67±.45
≥60 4.23±.40 3.29±.55 3.91±.49 2.85±.43
Type of child day care center National and public 4.34±.44 0.36 .783 3.41±.43 1.24 .297 3.94±.51 1.18 .317 2.78±.49 0.72 .541
Private 4.26±.52 3.32±.62 3.87±.63 2.73±.44
Working agencies 4.21±.50 3.12±.72 3.88±.51 2.82±.46
Others 4.23±.53a 3.30±.50a 4.12±.57a 2.66±.29
Years of child charged (yr) less 2 4.08±.51a 6.65 .002
a<b
3.06±.80 a 5.50 .005
a<b
3.85±.63a 3.69 .027
a<b
2.84±.43 1.57 .211
2-3 4.22±.47a 3.33±.45 b 3.83±.53a 2.70±.35
above 4 4.45±.46b 3.46±.41b 4.12±.52b 2.71±.48
Educational career Child care teacher training course 4.17±.54 0.34 .848 3.31±.50 0.29 .882 3.94±.58 0.70 .595 2.70±.43 0.64 .635
Junior college 4.24±.50 3.31±.60 3.86±.64 2.76±.44
University 4.31±.52 3.27±.58 3.99±.54 2.72±.38
Graduate School 4.23±.30 3.16±.87 3.98±.34 2.94±.63
Others 4.50±.00 3.76±.00 4.61±.00 3.0±.00
Safety education before childcare facility working Yes 4.21±.48 1.42 .158 3.26±.64 0.62 .531 3.90±.60 0.98 .325 2.79±.39 1.23 .220
No 4.34±.53 3.33±.52 4.00±.53 2.69±.48
Safety education duringchildcare facility working Yes 4.22±.50 2.36 .019 3.26±.61 1.49 .136 3.91±.58 1.50 .136 2.78±.43 2.52 .013
No 4.58±.36 3.53±.36 4.17±.40 2.45±.32
Recent safety education time Within 1 month 4.28±.46 1.37 .257 3.43±.49 3.06 .05 4.04±.59 2.79 .065 2.72±.37 0.80 .457
Within 2-6 months 4.16±.55 3.13±.75 3.78±.59 2.85±.65
Within 7 months 4.33±.45 3.31±.36 3.99±.47 2.76±.45
Degree of assistance of safety education Very helpful 4.44±.50b 4.14 .008
a<b
3.45±.65 1.97 0.121 4.27±.55b 5.88 .001
a<b
2.99±.45b 5.51 .001
a<b
Generally helpful 4.10±.49a 3.17±.58 3.79±.55a 2.73±.38a,b
Slightly helpful 4.33±.45b 3.28±.61 3.81±.53a 2.62±.43a
Not helpful 4.41±.35b 3.52±.27 4.03±.27a,b 2.45±.35a
Usage of safety management data Always used 4.35±.65 0.24 .871 3.41±.68 0.44 .722 3.79±.81 0.53 .663 2.87±.73 0.95 .419
Generally used 4.27±.46 3.32±.54 3.97±.50 2.78±.47
Sometimes used 4.24±.50 3.26±.68 3.97±.59 2.74±.35
Almost not 4.20±.54 3.17±.41 3.83±.58 2.61±.22b
Risk for accident in childcare facility Very low 4.39±.41 1.78 .153 3.03±.64 1.14 .335 3.89±.42 2.39 .071 2.92±.56b 3.57 .016
a<b
Slightly low 4.37±.48 3.40±.59 3.96±.55 2.58±.42a
Slightly high 4.15±.53 3.28±.51 3.82±.64 2.75±.39a
Very high 4.28±.47 3.27±.74 4.17±.44 2.90±.42a,b
Possibility of accident prevention in childcare facility Totally preventive 4.53±.32b 4.30
a<b
.016 3.42±.79 0.57 .568 4.18±.41b 3.93 .022
a<b
2.99±.57b 3.42 0.035
a<b
When to be careful, preventive 4.22±.49a,b 3.27±.54 3.91±.58a,b 2.71±.39a
Not preventive 3.87±1.08a 3.15±.19 3.28±.82a 2.70±.43a
대상자의 안전지식에 대한 교육요구는 대상자가 돌보는 아동의 연령(F=6.65, p=.002), 보육시설 근무 중 안전교육 이수여부(t=2.36, p=.019), 대상자가 이수한 안전교육이 도움이 되었다고 느끼는 정도(F=4.14, p=.008), 보육시설의 사고예방 가능성(F=4.30, p=.016)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즉, 4세 이상의 연령을 담당하는 대상자가 4세 미만의 영유아를 돌보는 대상자보다, 보육시설 근무 중 안전교육을 받지 않은 대상자가 안전교육을 받은 대상자보다, 그리고 안전교육이 매우 도움이 되었다고 느끼는 대상자와 별로 도움이 되지 않았다고 응답한 대상자가 도움이 되었다고 응답한 대상자보다, 보육시설에서의 사고는 예방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 대상자가 사고는 운이 나빠 생기는 것이므로 예방할 수 없다고 생각하는 대상자보다 안전지식에 대한 교육요구 점수가 높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대상자의 보육시설안전 교육요구는 대상자가 돌보는 아동의 연령(F=5.49, p=.005)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는데, 2세 이상의 아동을 돌보는 대상자의 보육시설 안전 교육 요구 점수가 2세 미만 아동을 돌보는 대상자의 점수보다 높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대상자의 안전교육 연수에 대한 인식 역시 대상자가 돌보는 아동의 연령(F=3.69, p=.027), 안전교육이 도움이 되었다고 느끼는 정도(F=5.88, p=.001), 보육시설의 사고 예방 가능성(F=3.93, p=.022)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즉, 2세 이상 아동을 돌보는 대상자가 2세 미만의 영유아를 돌보는 대상자보다, 안전교육이 매우 도움이 되었다고 응답한 대상자가 다른 대상자보다, 보육시설에서의 사고는 예방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 대상자가 사고는 예방할 수 없다고 생각하는 대상자보다 교사 안전 연수 필요성에 대한 인식정도가 높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마지막으로 대상자의 안전실천 수행 자신감은 안전 교육 이수 여부(t=2.52, p=.013), 안전교육이 도움이 되었다고 느끼는 정도(F=5.51, p=.001), 보육시설의 사고 발생 가능성 인식 정도(F=3.57, p=.016), 보육시설의 사고 예방 가능성(F=3.42, p=.035)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즉, 대상자의 안전실천 수행 자신감 정도는 안전교육을 받은 집단에서, 안전교육이 매우 도움이 되었다고 응답한 집단에서, 보육시설의 사고는 예방이 가능하다고 응답한 집단에서 더 높게 나타나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안전지식에 대한 교육요구, 보육시설안전 교육요구, 안전교육 연수에 대한 인식, 안전실천 수행 자신감 정도의 상관관계

대상자의 안전지식에 대한 교육요구, 보육시설안전 교육요구, 안전교육연수에 대한 인식, 안전실천 수행 자신감 간의 상관관계는 다음과 같다<Table 4>.
<Table 4>

The correlation in education need of safety knowledge, safety education need of daycare center, recognition about safety education training, and confidence of safety care practice (N=133)

A B C
r(p) r(p) r(p)
B   .495(<.001**)
C   .555(<.001**)   .464(<.001**)
D   .201(.020*)   .86(.326)   .187(.032*)

* p<.05, ** p<.001

A=Education need of safety knowledge

B=Safety education need of daycare center

C=Recognition about safety education training

D=Confidence of safety care practice

대상자의 안전지식에 대한 교육요구는 보육시설안전 교육요구(r=.495, p<.001), 안전교육 연수에 대한 인식(r=.555, p<.001), 안전실천 수행 자신감(r=.201, p=.020)정도와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보육시설안전 교육요구는 안전교육 연수에 대한 인식(r=.464, p<.001)정도와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또한 안전교육 연수에 대한 인식은 안전실천 수행 자신감(r=.187, p=.032)정도와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즉, 안전지식 요구가 높을수록 보육시설 안전 교육 요구, 안전연수 필요성 인식, 안전실천 수행 자신감 정도가 높아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보육시설안전 교육 요구가 높을수록 교사 안전교육 연수가 필요하다고 인식하는 정도도 높게 나타나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또한 교사 안전교육 연수의 필요성을 높게 인식할 때 안전 실천 수행 자신감도 높아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논 의

본 연구에서 보육교사의 안전지식에 대한 교육요구는 안전에 대한 지식, 기술, 태도를 포함한 영역의 요구도를 분석하기 위해 보육교사의 안전지식 요구, 보육시설안전 교육요구, 안전교육 연수에 대한 보육교사의 요구, 안전실천 수행 자신감 정도를 파악하였다. 보육교사의 안전지식 요구에 있어서는 응급처치방법에 대한 안전지식과 유괴, 미아, 성폭력 등의 위험한 상황에 대한 안전지식 교육요구가 높음을 알 수 있었는데, 일상생활에서 영유아에게 발생하는 대부분의 사고가 미끄러지거나 넘어져 부딪침, 끼임 등이라고 보고한 Nam (2001)의 연구결과와 관련하여 교사들이 사고 발생 현장에서 적절히 대처할 수 있는 응급처치에 대해 관심을 많이 보인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이는 사고에 대한 적절한 응급처치가 추후 아동에게 발생할 수 있는 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하고 있음을 추측해 볼 수 있다. 본 대상자들의 안전지식에 대한 교육요구에서 유괴, 미아, 성폭력 등의 위험한 상황에 대한 요구도가 높은 결과는 아동 및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성범죄 사건들에 대한 잦은 보도로 보육교사들도 이러한 위험 상황에 대한 예방과 대처의 필요성을 인지하여 요구도에 반영된 것이라고 사료된다. 실제 2009년 발생된 국내 성폭력 사건 중 13세 미만의 아동을 대상으로 한 성범죄가 1,017건이었으며, ’05년~’08년 아동 인구 대비 성폭력범죄 발생률 또한 미국, 일본, 독일의 경우에는 수치가 감소한 데 비해 우리나라는 69.0%나 증가하였다는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2012)의 보고는 이러한 요구에 따른 교육 필요성을 시사해준다.
대상자의 보육시설안전 교육요구에서도 응급처치와 관련된 교육 요구가 높게 나타나 보육교사의 안전지식 요구와 일맥상통함을 보였다. 보육시설에서의 안전사고는 예상 외로 실외보다 실내에서 더 빈번하게 발생된다(Hong, 2002). Nam (2001)의 연구에서도 보육시설에서 아동에게 발생하는 사고 중 실내사고가 63.1%로 더 많게 나타났다. 따라서 안전사고의 발생유형이나 안전실천도가 떨어지는 사고를 파악하여 이러한 사례에 대한 응급처치 교육이 시급하다고 본다.
대상자의 안전교육 연수에 대한 인식에서는 안전연수에 대한 필요성을 높게 인식하고 있었으며 대부분의 교사가 사고대처 능력과 안전사고 예방 및 안전지도 방법이 필요하다고 하여 선행연구(Kim, 2005)에서 교사들의 안전연수의 목적을 사고대처능력과 안전사고 예방이라고 한 결과, Nam (2001)의 연구에서 사고 현장 대처와 응급처치 요구와 일치함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에 대해 Oh, Shim과 Choi (2008)는 안전이 보육교사의 전공영역이라기 보다는 특수한 분야이기 때문에 적절한 대처가 이루어지지 않을 수도 있기 때문이라고 제시하였다. 따라서 실습과 실기 위주의 자신감을 높이는 방안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또한 이를 문항별로 살펴볼 때는 안전지식 요구와 같은 결과를 나타냈다. 교통수단의 안전한 이용방법과 사고 시 대처법이 높게 나타난 결과는 우리나라의 교통사고 발생률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중 최고로 나타난 결과(Korea Consumer Agency, 2012)와 관련이 있다고 생각한다.
대상자의 안전실천 수행 자신감 정도는 비교적 낮게 나타났는데, 이러한 결과는 Oh 등(2008)의 연구에서 자신감이 매우 낮게 나타난 결과와 유사하다. 화장실 안전 규칙 지도와 놀이 시 안전 규칙을 가장 자신 있게 수행 할 수 있다고 하였으며 심폐소생술이나 흡인 시 응급처치는 낮게 나타나 일반적으로 이론을 통해 안전 실천을 수행할 수 있는 교육은 비교적 자신감이 있으나 실습위주 실기가 필요한 응급상황 대처에는 자신감이 낮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이들에 대한 교육이 필요함을 알 수 있으며 교육 시 이론교육보다는 실습교육이 강화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특히 대상자들의 심폐소생술에 대한 점수가 가장 낮게 나타난 결과는 이들을 대상으로 한 BLS 교육을 시행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Yang, Kim, Lee, Shin과 Seo의 연구(2009)에서도 연구대상 보육시설 내 심폐소생술 자격증 소지자 수가 평균 0.4명으로 매우 적었으며, 응급상황 관리에 대한 자신감에 대해 ‘자신 있다’는 비율은 16.5%에 그쳤다고 지적하였다. Bang (2006)의 연구에서도 가장 자신 없는 항목이 심폐소생술이라고 응답하였는데, 최근 일반인에 대해서도 심폐소생술 교육의 중요성이 강조되면서 일부 교육기관에서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으므로 영유아를 가까이서 돌보는 보육교사에게는 아동에게 적합한 심폐소생술을 실제 해 볼 수 있도록 하는 교육이 반드시 필요하겠다. 또한 우리나라에도 비교적 간단하고 쉽게 사용할 수 있는 자동제세동기가 설치되어 있는 시설이나 기관이 점차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올바른 사용방법에 대한 교육을 통해 이들의 자신감을 향상시키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Kim과 Han (2006)의 연구에서도 보육교사들이 가장 어려워하는 것이 사고 발생 시 적절한 응급처치라고 보고하였으며 Kim, La, Lee와 Choi (2008)의 연구에서는 응급상황 발생 시 보육교사의 58.6%가 소극적 대처를 하고 있는 것으로 제시하였다. 따라서 보육교사가 응급상황 시 초기대응을 강화할 수 있도록 정기적인 교육과 함께 응급상황 대처 프로토콜 마련 및 응급상황 시 신속하게 의뢰할 수 있도록 지역 의료기관과 연계 체계를 구축하는 것도 필요하리라고 생각 한다.
한편 안전교육 연수 시 교수법으로 실습을 통한 교육과 시청각자료를 이용한 교육을 가장 많이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Nam (2001)의 연구에서 보육교사가 실습위주의 교육방법(64.5%)을 가장 선호하였고 다음으로는 시청각 교육(19.4%) 순이라고 보고한 것과 본 연구 결과가 일치함을 보여 이론을 통한 지식이 아닌 직접 사례들을 경험해보고 대처하는 실습위주의 교육이 안전 지식을 실천하는데 효과적이라고 본다. 즉, 보육교사의 안전 교육이 단순한 지식전달에 머물러서는 안 되며, 실기 강화와 더불어 구체적인 안전실천 방안을 제시하여야 할 것이다(Bang, 2006). Nam (2001)은 보육시설의 사고예방을 위해서는 근본적으로 보육교사의 취업 전에 안전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역설하였는데, 보육시설에서도 교사를 대상으로 한 안전교육 연수를 원하고 있다고 지적하였다. 또한 보육교사들은 일회성이 아닌 정규 연수로 안전교육을 받아야 할 것이며 현장에서는 지속적인 연수가 이루어 질수 있도록 지원하여야 한다.
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및 안전교육관련 특성에 따른 안전지식에 대한 교육요구, 보육시설안전 교육요구, 안전교육연수에 대한 인식, 안전실천 수행자신감 정도의 차이에서 대상자의 안전지식에 대한 교육요구는 4세 이상을 담당하는 경우, 근무 중 안전교육을 받지 않은 경우나 안전교육이 매우 도움이 되었다는 경우, 사고는 예방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 경우가 안전지식에 대한 교육요구도 점수가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Yoon (2000)의 연구에서 안전교육 경험 유무에 따라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난 것과 상이하였다. 이렇게 안전 교육을 받지 않은 군이 요구도가 높은 결과는 안전교육을 받지 않는 군의 경우, 안전지식 부족으로 인한 불안이 요구에 반영된 것으로 생각되며 단순히 안전교육 경험의 유무보다는 어떠한 교육을 어떻게 받았느냐가 중요하다고 생각된다. 또한 안전교육이 별로 도움이 되지 않았다고 응답한 대상자가 안전교육에 대한 요구도가 높게 나타난 결과는 과거에 받은 안전교육이 자신들이 원하는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지 않거나 유익하지 않아 요구가 높게 나타난 겻으로 추측할 수 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정확한 이유를 파악하기는 어려우므로, 이들을 대상으로 한 면담이나 반복연구를 수행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또한 안전사고에 대한 바른 인식이나 교육이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 교사들이 교육 요구가 높음을 알 수 있었다.
보육시설안전 교육요구는 2세 이상의 아동을 돌보는 교사에서 유의하게 높았는데 Korea Consumer Agency (2003)에서 실시한 영유아 보육시설 안전실태조사에서 2세 이상의 아동에서 안전사고가 78.6%가 나타났는데, 이들 중 2-4세가 57.2%로 나타난 결과를 통해 미루어볼 때 이들을 돌보는 교사들의 요구도가 높게 나타난 것으로 생각된다.
안전교육 연수에 대한 보육교사의 인식에서는 2세 이상을 돌보는 경우, 안전교육이 매우 도움이 되었다는 경우와 사고는 예방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 경우가 안전교육 연수에 대한 필요성 인식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안전교육으로 인해 사고 시 적절하게 대처할 수 있으며 사고 예방도 가능하다는 인식이 안전교육 연수에 대한 요구를 높인 것으로 생각되며, 특히 아동발달에서 2세 이상의 아동은 활발하게 신체를 움직이며 운동영역을 넓히는 시기로, 이 시기에 사고 발생률이 높음을 고려할 때, 이 연령의 아동을 돌보는 교사들의 요구도가 유의하게 높게 나타난 것으로 사료된다.
안전실천 수행 자신감은 안전교육을 받은 교사와 교육이 매우 도움이 되었다고 한 경우와 사고는 예방이 가능하다고 한 경우에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난 결과를 Yoon (2000)의 연구결과와 비교해 볼 때, 화재 안전교육을 받은 경험이 있는 경우 화재 안전관리를 유의하게 더 잘하는 것으로 나타나 본 연구 결과와 부분적으로 일치함을 추측해 볼 수 있다. 즉, 안전 교육 경험과 안전사고 교육이 사고예방에 도움이 된다고 확신하여 보다 구체적이고 정확한 안전 지식을 갖게 되면 이를 자신 있게 실천으로 옮기는 경향이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본 도구의 신뢰계수 Cronbach’s α가 .62로 다소 낮게 나타났으므로 도구에 대한 재검증과 함께 좀 더 많은 대상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대상자의 안전지식에 대한 교육요구, 보육시설안전 교육요구, 안전교육 연수에 대한 인식정도와 안전실천 수행 자신감 정도간의 상관관계에 대한 결과를 분석, 비교해 볼 때, Yoon (2000)은 안전지식과 안전교육 실천은 매우 높은 상관관계가 있다고 하였고 Kim (2005)의 연구에서도 교사의 안전지식에 대한 교육정도가 높을수록 안전관리 실천 정도가 높아 실천을 잘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도 안전지식 요구도가 높을수록 보육시설안전 교육요구도와 안전연수의 필요성이 높게 나타났으며, 안전연수 필요성이 높을수록 안전 실천 수행자신감도 높게 나타났다. 즉, 교사들이 아동안전에 대한 지식이 높을수록, 아동안전의 중요성을 지각하여, 아동들에게 안전에 대해 많은 교육을 실시하고 교사 자신들도 안전행동을 실천하고 안전관리를 적극적으로 수행하게 됨을 시사한다.
본 연구와 관련되어 Kim 등(2011)은 보육교사가 인식하는 보육시설에서의 아동건강관리 문제점에 대한 연구에서 보육교사들은 면담을 통해 시설의 아동이 놀잇감, 문, 모서리, 계단 등 안전사고의 가능성이 있는 위험한 환경에 쉽게 노출되고 있으나 실질적인 안전대책이나 지침이 마련되지 못하고 있으며 안전교육도 부족하다고 지적하였다. 따라서 보육교사에게는 시설의 아동에게 위험을 최소화하고 안전한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취업 전에 아동안전 지식을 획득하고 예방적, 보호적인 실천을 할 수 있도록 교육과 함께 기본적인 안전사고 교육 이수를 받도록 의무화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된다. 또한, 효과적인 안전교육을 위해 시청각 자료나 표준 매뉴얼이 시급히 개발, 보급되어 단순한 이론이 아닌 체험위주의 안전 교육이 정기적으로 이루어져 실질적으로 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하겠다. 뿐만 아니라 안전 교육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교사 연수 기회 제공이나 교육내용의 다양화도 필수 요건으로 요구되며 무엇보다도 기관의 협조와 여건, 동시에 사회 국가적 관심이 뒤따라야 할 것으로 생각 된다

결론 및 제언

본 연구를 통해 보육교사들이 인식하고 있는 안전지식 요구, 보육시설안전에 대한 교육 요구, 안전교육 연수에 대한 필요성 인식, 안전실천 수행 자신감 정도를 살펴볼 때, 안전교육 요구는 매우 높게 나타났는데, 안전실천 수행 자신감에서는 규칙을 제외한 실제적인 수행능력에서는 자신감이 낮게 나타난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대상자의 안전교육 관련 특성과 안전교육 요구에 유의한 차이를 보인 변수는 담당 영유아 연령, 보육시설 근무 중 안전교육 유무, 최근 안전교육 시기, 안전교육의 도움 정도, 보육시설 사고발생 가능성, 보육시설 사고예방 가능성 등이 있었다. 안전지식 교육요구는 보육시설안전에 대한 교육요구, 안전교육 연수에 대한 필요성 인식 및 안전실천 수행 자신감 정도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보육교사들의 안전교육에 대한 높은 요구도와 이에 반하여 실제적인 안전교육 및 응급처치 수행능력에 대한 자신감은 매우 낮은 보육현장의 상황을 고려해 볼 때, 보육교사 대상 안전교육은 시설 내의 간호사를 적극 활용하여 사고예방 교육이나 사고발생시의 응급처치, 주기적인 환경점검과 관리를 통해 발생요소를 파악하고 제거하는 방안이 효율적이라고 생각한다. 또한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를 토대로 안전에 대한 지식, 태도, 기술을 포함하여 보육교사 대상 교육 프로그램을 계획하고 실행하는데 고려해야 할 것으로 생각한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한 본 연구 설문지의 회수율이 낮은 점을 고려할 때 좀 더 많은 대상자를 확보하여 반복연구를 수행할 필요가 있다.
둘째. 교사 뿐 아니라 보육시설을 이용하는 아동의 부모를 대상으로 한 연구를 수행 할 수 있다.
셋째. 안전교육 요구도를 반영한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References

Bang, K. S. Child injury and attitude, knowledge, and practice on safety of mothers with infants and toddler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ublic Health Nursing, (2006). 19(1):30-40.

Chang, Y. H, Chung, M. R, Bae, S. Y. Safety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in Korean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e. International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1997). 17(1):23-44.

Chung, M. R, Bae, S. Y. Early childhood teachers' knowledge and attitudes regarding safety for young children. International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1999). 19(1):189-205.

Fickling, J. A. The construction and testing of a measure of parental knowledge of home-based injury risks to preschool child.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maryland, Baltimore, (1993.

Hong, H. S. A study on the teacher's safety cognition about the infant development.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nkuk University, Seoul, (2002.

Jo, M. S. A study on the child-care teachers’ treatment method in emergent sitation at child care faciliti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ung-Ang University, Seoul, (2008.

Kang, H. S. A Study on the factors and behaviors of childhood injury in Korea. Unpublished doctoral thesis,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1994.

Kim, H. S, Kang, K. A, Kim, S. J, Moon, S. Y, Yang, E. Y, Lee, M. S, Jung, N. O, Park, S. N, Choi, S. E. Child health nursing: Care of the child and family. Seoul: Koonja Publishing Co, (2012.

Kim, H. S, La, J. S, Lee, H. J, Choi, E. K. Health management status of day care center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hild Health Nursing, (2008). 14(3):295-304.

Kim, J. S, Han, K. J. Health problems and health services in child day care center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hild Health Nursing, (2006). 12(1):25-33.

Kim, S. H. A study on safety knowledge, perception of safety training and relevant needs among preschool teachers.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2005.

Kim, S. J, Yang, S. O, Lee, S. H, Lee, J. E, Kim, S. H, Kang, K. A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 child health care protocol for child day care center teachers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hild Health Nursing(201117(274-83
crossref
Korea Consumer Agency. An investigation of child safety accident conditions in home during the 2001-2002. Seoul: Author. (2003.

Korea Consumer Agency. An investigation of child safety accident conditions. Seoul: Author. (2012.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Planning a special issue-honest knowing about children sexual violence. Women-e news 2010. 11. 10. from http://enews.mogef.go.kr/. (2012.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The 2012 prevention education of sexual harassment and prostitution in public institution. Seoul: Author. (2012.

Ministry of Health & Welfare. National policy guidebook of marriage, pregnancy and childbearing. Seoul: Author. (2012.

Nam, H. K. Safety diagnosis and program development for the prevention of injuries at child care centers.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ung-Ang University, Seoul, (2001.

Oh, K. S, Shim, M. K, Choi, E. K. Knowledge, self-confidence and practice of teachers concerning health and safety of children in child-daycare center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hild Health Nursing, (2008). 14(2):155-162.

Park, H. S. Guidebook for child day care center teachers. Seoul: Kangnam University Publishing Co, (2001.

Seok, H. S. A study of the actual condition of the emergency management of child care institutions and of the first-aid knowledge and education of child-care teachers.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nggyunkwan University, Seoul, (2006.

Yang, S. O, Kim, S. J, Lee, S. H, Shin, H. R, Seo, W. K. Analysis and improvement plan of child health management in community child care center. Seoul: Ministry of Health & Welfare, (2009.

Yoon, S. H. Korean early childhood teachers' safety knowledge, perception, and practice. Sookmyung Woman's University, Seoul, (2000.



ABOUT
BROWSE ARTICLES
FOR CONTRIBUTORS
Editorial Office
Department of Nursing,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1 Chungdae-ro, Seowon-gu, Cheongju-si, Chungcheongbuk-do, 28644, Korea
Tel: +82-43-249-1712    E-mail: spark2020@chungbuk.ac.kr                

Copyright © 2024 by The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