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Recognition of Achievement and Importance of Nursing Program Outcome among Nursing Students

간호대학생의 간호학 학습성과 성취도와 중요도 인식

Article information

J Korean Acad Soc Nurs Educ. 2013;19(2):203-214
Park, Jeong Sook College of Nursing, Keimyung University 1095, Dalgubeol-daero, Dalseo-gu, Daegu, Korea Tel: 82-53-580-3907 Fax: 82-53-580-3916 E-mail: jsp544@kmu.ac.kr
Received 2013 April 09; Revised 2013 May 07; Accepted 2013 May 17.

Abstract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cognition of achievement and importance of nursing program outcome among nursing students. Methods: The survey was performed with 439 nursing student and recruited from 3-year or 4-year nursing students, scheduled to graduate from university. The data was collected by questionnaires and was analyzed with SPSS statistics 19.0. Results: The achievement of nursing program outcome was 3.28. and the important of that was 4.38. The achievement of nursing program outcome on critical thinking and communication of 4-year nursing students were higher than 3-year nursing students. Achievement of program outcome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satisfaction of curriculum, club activity and voluntary activity. Conclusion: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outcome-based nursing curriculum is need to consider the importance and achievement level of program outcome for nursing students.

서 론

연구의 필요성

최근 대학교육은 사회 환경이나 학생 또는 산업체 요구에 따라 큰 변화에 직면하고 있다. 과거에는 상아탑에서 지식을 습득하고 새로운 이론을 개발하는 것이 대학의 주요한 임무였으나, 오늘날에는 급변하는 사회경제적 환경과 고용구조의 변화에 따라 졸업생들이 현장에서 우수한 직무수행 능력을 발휘할 뿐만 아니라, 빈번한 이직과 전직에 유연하게 대처하고, 새로운 직업을 창출하여 성공적인 삶을 사는데 필요한 제반 능력을 육성하는 것을 중요시하고 있다(Yoo, 2002).

간호교육에서도 이러한 시대적 요구가 반영되어 간호대학을 졸업한 학생들의 역량강화나 질적 수준 재고에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하지만 보건의료 인력이 부족하다는 이유로 최근 5년간 과도한 간호학과 신설 및 증설이 이루어져서 1990년 6,625명, 2000년 11,053명에 불과하던 학생 수가(Korea Nurses Association, 2013) 2012년 정원내 재적학생수가 4년제 대학의 경우 26,390명, 3년제 전문대학의 경우 26,923명, 201개교에서 총 53,313명으로 단기간 내에 갑작스러운 양적 팽창이 이루어졌다(Korean Council for University Education, 2013). 여기에다 정원외 학생까지 합하면 간호대학생의 증가는 더욱 많아지게 된다. 이러한 급작스런 양적 팽창은 간호교육 환경의 준비가 되었는지 간호교육이 적정하게 이루어져서 역량을 갖춘 졸업생을 배출할 수 있을 것인지에 대한 우려를 낳게 한다.

한편 2011년 5월 19일 고등교육법 개정으로 인해 교육여건을 갖춘 3년제 전문대학 간호과를 한국간호교육평가원의 지정 심사를 거쳐 수업연한 4년제 간호과로 전환할 수 있게 되어, 2013년 1월 기준 46개교의 전문대학 간호과가 수업연한 4년제 간호과로 인증되었다(Korean Accreditation Board of Nursing Education: KABONE, 2013). 이런 변화의 과정 속에서 현재 한국 간호교육은 4년제 간호학과, 수업연한 4년제 간호과, 3년제 전문대학 간호과로 복잡하게 운영되고 있어 간호교육의 질과 배출되는 간호인력의 질 저하에 대한 우려를 낳을 수 있다. 이에 2주기 간호교육인증평가를 실시하는 한국간호교육평가원에서는 간호교육프로그램이 일정 수준에 도달하여 간호의 사회적 책무를 다할 수 있는 간호사를 양성하기에 충분한지를 판단하고, 교육기관이 주기적으로 교육여건과 교육프로그램을 자체평가하게 함으로써 전체적인 간호교육의 질 향상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2주기 간호교육인증평가의 주요 특성은 학습성과에 기반을 둔 교육체제 구축을 강화시키기 위하여 졸업생의 역량 수준과 졸업학년 학생의 학습성과를 설정하고 수행준거에 따라 평가하기를 권하고 있다(KABONE, 2013).

한국간호교육평가원에서는 국내외 문헌고찰을 통해 졸업 후 2∼3년이 지난 시점의 일반간호사가 임상현장의 다양한 직무를 수행하는데 공통적으로 요구되는 7가지 간호사 핵심역량으로, 전인간호를 위한 교양 및 전공지식과 간호술의 통합 적용능력, 대상자 건강개선을 위한 전문분야 간 의사소통과 협력 능력, 간호문제해결을 위한 비판적 사고 능력, 간호전문질 발전을 위한 법적, 윤리적 책임 인식 능력, 간호목표달성을 위한 리더십 능력, 연구수행 능력 및 글로벌 보건의료 정책변화 대응 능력을 도출하였다. 그리고 이렇게 도출된 7가지 핵심역량을 최종 목표로 삼아 졸업 시에 도달해야 할 12가지 학습성과를 제시하였다(KABONE, 2012).

학습성과의 진술과 평가에서 최상의 가치를 가지기 위해서는 교수(teaching), 학습(learning), 평가(assessment), 순환(feedback) 4가지 단계를 거쳐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먼저 기대되는 학습성과에 대한 명확한 진술, 학생들이 학습성과를 성취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학습경험의 설계, 그 다음으로는 핵심 학습성과에 대하여 학생들의 학습성취를 측정할 수 있는 적절한 측정도구의 적용, 마지막으로 교수학습을 진작시키기 위해서 평가 결과를 활용하여야 한다(Park, & Lee, 2011). 교수자와 학습자의 학습성과를 명확히 진술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학습자의 학습에 대한 중요도 인식과 자신의 성취 수준의 대한 파악이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또한 현재 한국 간호교육은 4년제 간호학과, 수업연한 4년제 간호과, 3년제 전문대학 간호과로 다양하게 운영되고 있고, 3년제 간호교육에서는 중견직업인 양성을 목적으로 하는 반면 4년제 간호교육에서는 해당 분야의 지도자 배출을 목적을 가지고 있으며, 한국간호교육평가원에서 제시하고 있는 프로그램 학습성과에서도 학제간의 차이가 있다. 그러나 이들 모두에게 동일한 간호사 국가시험을 거쳐 보건복지부에서 같은 종류의 간호사면허증을 교부하고 있고, 실무현장에서도 졸업 간호사들에게 학제와 관계없이 동일한 업무를 부여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Park, 2011; Shon, et al., 2006). 그러므로 이 두 학제의 졸업학년 학생들이 간호학 학습성과의 성취도와 중요도 인식에 차이가 있는지를 파악하여 향후 시대적․사회적 요구에 부응하여 간호교육의 나아갈 방향을 모색하는데 길잡이 역할을 할 수 있다.

간호와 관련된 학습성과 선행연구를 보면, 간호단위 관리자, 일반간호사(International Council of Nurses : ICN, 2009; Jang, 2000; Shin, 2010), 프리셉터(Kwon et al., 2002)를 대상으로 핵심역량 도출, 역량항목 개발 및 직급에 따른 역량 발휘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 있었다. 또한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로는 간호교육을 통해 육성해야하는 능력(Park, 2011), 4년제 간호교육 평가인정 표준 및 기준 개발(Kim, Ahn, Kim, Jung, & Lee, 2006), 핵심간호능력 중심의 간호학 실습교육목표 개발(Kim, 2003) 등 핵심역량의 도출 관련 연구와 학습성과 중 의사소통과 자기주도적 학습성과를 측정하는 연구(Park, 2010)가 이루어졌을 뿐, 간호대학생의 간호학 학습성과 성취 정도와 그 학습성과를 얼마나 중요하게 생각하는지에 대한 조사는 미흡한 실정이다. 또한 Choi와 Rhee(2009)의 연구에서 대학생의 학습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성별, 가계소득, 학내 구성원과의 상호작용 등을 제시하고 이들이 고차적 사고능력, 의사소통능력과 대인관계능력 등의 대학생의 학습성과에 영향을 미친다고 제시한 바 있으나, 간호학 학습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에 대한 연구는 부족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간호대학생들이 스스로 간호학 학습성과를 어느 정도 성취하였다고 생각하는지, 그리고 어떤 학습성과를 중요하다고 생각하는지를 파악하고, 또한 학제 간의 간호학 학습성과의 성취도와 중요도 인식 정도의 차이는 어떠한지, 간호학 학습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일반적인 요인은 무엇이 있는지를 파악하고자 한다. 향후 이러한 결과를 반영하여 교과정과 비교과과정을 아우르는 체계적인 간호학 교육과정을 구성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연구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학생의 간호학 학습성과에 대한 성취도와 중요도 인식정도를 파악하고,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간호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함이다. 연구의 구체적 목적은 다음과 같다.

• 간호대학생의 간호학 학습성과에 대한 성취도 정도를 파악한다.

• 간호대학생의 간호학 학습성과에 대한 중요도 인식정도를 파악한다.

• 3년제 간호대학생과 4년제 간호대학생의 간호학 학습성과에 대한 성취도 정도의 차이를 파악한다.

• 3년제 간호대학생과 4년제 간호대학생의 간호학 학습성과에 대한 중요도 인식정도의 차이를 파악한다.

• 간호대학생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간호학 학습성과에 대한 성취도 정도의 차이를 파악한다.

• 간호대학생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간호학 학습성과에 대한 중요도 인식 정도의 차이를 파악한다.

용어 정의

● 간호학 학습성과(Nursing Program Outcome) 성취도

간호학 학습성과는 간호교육 프로그램을 이수하는 과정에서 학생이 갖추어야 할 능력과 자질을 말하며(KABONE, 2012), 본 연구에서는 한국간호교육평가원에서 제시한 12개의 간호학 학습성과를 기본틀로 하고 Kim (2003)과 Jang (2000)의 연구에서 도출한 간호역량을 근거로 하여 본 연구자가 간호학 학습성과 64항목을 개발하였다.

성취도(achievement)란 목적한 바를 이룬 정도 말하며(Standard Korean Dictionary, 2013), 본 연구에서는 간호학 학습성과 64항목을 자신이 어느 정도 이루었는지에 대해 ‘매우 낮다’, ‘낮다’, ‘보통’, ‘높다’, ‘매우 높다’의 5점 척도로 측정한 점수를 의미한다.

● 간호학 학습성과 중요도(Importance)

중요도란 중요한 정도를 말하며(Standard Korean Dictionary, 2013), 본 연구에서는 간호학 학습성과 64항목을 자신이 어느 정도 중요하게 여기는 지에 대해 ‘전혀 중요하지 않다’, ‘별로 중요하지 않다’, ‘보통’, ‘중요하다’, ‘매우 중요하다’의 5점 척도로 측정한 점수를 의미한다.

연구 방법

연구 설계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간호학 학습성과에 대한 성취도는 어느 정도이며, 중요하게 여기는 학습성과는 무엇인지를 조사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 대상

본 연구는 간호대학 졸업예정자인 3, 4학년 간호대학생(3년제의 경우 3학년, 4년제의 경우 4학년)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신체적 또는 정신적 장애가 없고, 의사소통이 가능한 자, 연구목적을 이해하고 참여에 동의한 자로 하였다. 대상자 수는 G-POWER 3.1 program을 이용하여 유의수준 0.05, 검정력 0.95, 효과크기 0.3로 설정하여 총 132명이 제시되었다. 본 연구는 대표성 있는 표본추출을 위하여 다단계 비비례층화표출법을 사용하였다. 우선 대구·경북지역 3, 4년제 간호학과를 각각 지역별, 학제별로 분류하여 가나다순으로 번호를 부여한 후 지역에 따른 간호학과 수와 학생 수를 고려하여 대구지역 1/4, 경북 지역 1/5의 비비례로 표집단위인 대학을 추출하였다. 이때 4년제 대학의 경우 2.5:1의 비율로, 3년제의 경우 5:1의 비율로 대구지역 대학 10개중 3개(4년제 2개, 3년제 1개), 경북지역 대학 18개 중 4개(4년제 1개, 3년제 3개)의 간호대학생이 선정되었다.

그 결과 445명의 응답자 중 10.0% 이상 무응답이 있는 6명(1.34%)을 제외한 439명(98.65%)을 최종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연구 도구

● 일반적 특성

일반적 특성에 관한 문항은 대학생의 학습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Choi과 Rhee (2009)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하여 선정하였다. 학년, 성별, 결혼상태, 종교, 부모님의 월평균 소득, 고등학교 3년 평균 내신 등급, 외국어 능력, 컴퓨터 활용능력과 관련된 자격증 취득여부, 동아리 활동여부, 지역사회 및 자원봉사 참여여부, 학업성적, 지난 학기 실습성적, 간호학 이론교육의 만족도, 임상실습의 만족도 등의 15문항으로 구성하였다.

● 간호학 학습성과 성취도와 중요도 측정 도구

학습성과란 교과 및 교과 외 교과과정을 통하여 학생들이 획득해야 할 능력을 말하며(Pyun & Song, 2009), 고등교육 학습성과는 학생들이 대학에서 학습한 결과 얻게 되는 개인적인 변화 또는 이익으로 능력 혹은 성취의 측면으로 측정될 수 있다(Nusche, 2007).

본 연구에서 간호학 학습성과 항목은 한국간호교육평가원에서 제시한 12개의 간호학 학습성과를 기본틀로 하고 Kim (2003)의 연구에서 도출한 핵심간호능력과 Jang (2000)의 연구에서 도출한 간호역량을 근거로 하여 개발하였다. 개발된 간호학 학습성과 항목을 한국간호교육평가원에서 평가위원으로 활동 중인 간호교육전문가 5명으로부터 내용 타당도 검증을 받았다. 각 항목에 대해 ‘매우 타당하다’ 4점에서 ‘매우 타당하지 않다’ 1점의 4점 척도로 평가하도록 한 결과, 64항목 중 62개의 항목이 80.0% 이상에서 타당하다는 평가를 받았으나 2항목이 80.0% 이하를 나타내었다. 제3의 간호교육전문가 2인에게 2개 항목에 대한 재검증을 받은 결과 사용에 무리가 없다는 평가를 받아 그대로 사용하기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의 간호학 학습성과 항목은 학습성과1(PO1) 5문항, 학습성과2(PO2) 21문항, 학습성과3(PO3) 4문항, 학습성과4(PO4) 4문항, 학습성과5(PO5) 4문항, 학습성과6(PO6) 8문항, 학습성과7(PO7) 2문항, 학습성과8(PO2) 2문항, 학습성과9(PO9) 1문항, 학습성과10(PO10) 5문항, 학습성과11(PO11) 4문항, 학습성과12(PO12) 4문항, 총 64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간호학 학습성과 성취도 측정도구는 간호학 학습성과 64항목을 자신이 어느 정도 이루었는지에 대해 ‘매우 낮다’, ‘낮다’, ‘보통’, ‘높다’, ‘매우 높다’의 5점 척도로 측정한 점수를 의미하며 점수가 높을수록 성취도가 높은 것을 의미한다. 간호학 학습성과 성취도 측정도구의 신뢰도는 Cronbach's α는 .924였다.

간호학 학습성과 중요도 측정도구는 간호학 학습성과 64항목을 자신이 어느 정도 중요하게 여기는 지에 대해 ‘전혀 중요하지 않다’, ‘별로 중요하지 않다’, ‘보통’, ‘중요하다’, ‘매우 중요하다’의 5점 척도로 측정한 점수를 의미하며 점수가 높을수록 중요도가 높은 것을 의미한다. 간호학 학습성과 중요도 측정도구의 신뢰도는 Cronbach's α는 .917이었다.

자료 수집 방법

자료수집은 2012년 12월부터 2013년 1월까지 이루어졌으며, 3, 4년제 간호교육기관 7개교의 졸업예정자를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유선으로 각 대학의 학장 혹은 학과장의 동의를 받은 후 연구자나 해당 대학의 교수가 대상자에게 연구의 목적과 조사방법을 설명하고 연구 참여 동의서를 받은 후 대상자에게 직접 설문지를 작성하도록 하였다. 설문지 작성에 소요된 시간은 10-15분 이었다.

자료 분석 방법

수집된 자료는 SPSS 19.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 측정도구의 신뢰도 검증을 위해서 Cronbach's Alpha 계수를 분석하였다.

• 간호대학생의 간호학 학습성과의 성취도, 중요도 인식정도는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였다.

• 학제와 일반적 특성에 따른 간호학 학습성과의 성취도와 중요도의 차이는 t검증 혹은 ANOVA 검증을 하였다.

윤리적 고려

본 연구는 대상자를 보호하기 위하여 D병원 생명의학연구윤리심의위원회로부터 본 연구의 목적, 방법, 피험자 권리보장 및 설문지 등에 대한 심의를 거쳐 연구승인(IRB Protocol No. CR-12-149-AMD-001-R)을 받았다. 연구승인 받은 기간은 2012년 12월 6일(승인일)부터 1년간이다.

연구 결과

간호대학생의 간호학 학습성과 성취도

전체 간호대학생이 간호학 학습성과를 어느 정도 성취하였는지를 살펴보면<Table 1>, 총 성취도는 5점 만점에 3.28점으로 65.6%에 해당하였다. 12개 학습성과 항목 중에서 성취도가 높은 항목을 살펴보면, PO4. 전문분야 간 협력관계 항목에 대한 성취도가 3.56점으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PO3. 치료적 의사소통술 3.55점, PO5. 보건의료팀 내 업무조정 3.43점, PO2. 핵심기본간호술 수행 3.41점으로 성취도가 높은 항목에 속하였다. 성취도가 중간 정도인 항목으로는 PO8. 간호실무의 법적, 윤리적 기준 이해 3.36점, PO1. 통합적 실무적용 3.30점, PO10. 간호 팀 내 리더십 발휘 3.28점, PO6. 비판적 사고 3.27점의 순이었다. 성취도가 낮은 학습성과를 살펴보면, PO7. 간호전문직 표준 이해 3.19점, PO9. 간호리더십의 원리 비교분석 3.01점, PO12. 보건의료정책 변화 인지 3.01점, PO11. 간호연구 수행능력 3.00점으로 나타났다.

Achievement of nursing program outcome

간호대학생의 간호학 학습성과 중요도 인식

전체 간호대학생이 간호학 학습성과를 어느 정도 중요하다고 생각하는지를 살펴보면<Table 2>. 총 중요도 인식정도는 5점 만점에 4.38점으로 높게 나타났다. 12개 학습성과 항목 중에서 중요도가 높은 것으로 인식한 항목을 살펴보면, PO2. 핵심기본간호술 수행 항목이 4.61점으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PO4. 전문분야 간 협력관계 항목 4.50점, PO3. 치료적 의사소통술 항목 4.49점, PO8. 간호실무의 법적, 윤리적 기준 이해 4.46점이었다. 중요도가 중간 정도인 항목으로는 PO6. 비판적 사고 4.43점, PO10. 간호 팀 내 리더십 발휘 4.39점, PO7. 간호 전문직 표준 이해 4.36점, PO5. 보건의료팀 내 업무조정 4.31점으로 나타났다. 중요도를 낮게 인식한 학습성과를 살펴보면, PO11. 간호연구 수행능력 4.26점, PO1. 통합적 실무적용 4.25점, PO9. 간호리더십의 원리 비교 분석 4.23점, PO12. 보건의료정책 변화 인지 4.20점으로 나타났다.

Importance of nursing program outcome

간호대학생의 학제 간 간호학 학습성과 성취도 차이

3년제와 4년제 학제에 따른 학습성과 성취도를 비교해보면, 4년제 간호대학생의 경우 성취도가 3.33점으로 3년제 간호대학생의의 평균평점 3.26점 보다 약간 높았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아니었다. 학습성과 성취도에서 PO3. 치료적 의사소통술(t=-2.04, p=.042)과 PO6. 비판적 사고 (t=-2.44 p=.015)에서 4년제 간호대학생이 3년제 학생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Table 1>. 그 외 10개 학습성과의 성취도는 학제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간호대학생의 학제 간 간호학 학습성과 중요도 인식 차이

3년제와 4년제의 학습성과의 중요도 인식정도를 비교해보면, 3년제 간호대학생의 평균평점 4.41점으로 4년제 간호대학생의 4.23점보다 높게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학습성과 중요도 인식에서 PO8. 간호실무의 법적, 윤리적 기준 이해(t=2.89, p=.004), PO9. 간호리더십의 원리 비교 분석(t=2.81, p=.005), PO11. 간호연구 수행(t=3.47, p=.001), PO12 보건의료정책 변화 인지(t=2.75, p=.006) 항목에서 3년제 간호대학생이 4년제 간호대학생보다 중요도 인식 점수가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Table 2>. 그 외 8개 학습성과의 중요도는 학제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간호학 학습성과 성취도와 중요도 인식정도의 차이

본 연구에 참여한 간호대학생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간호학 학습성과의 성취도와 중요도 차이는 <Table 3>과 같다. 우선 간호대학생의 일반적 특성을 살펴보면, 3학년 278명(63.3%), 4학년 161명(36.7%)으로 총 439명이었고, 남자 43명(9.8%), 여자 396명(90.2%)이었으며, 미혼이 428명(90.2%), 기혼이 11명(2.5%)이었다. 종교는 무교(55.1%)가 가장 많으며, 그다음이 기독교(19.4%), 불교(14.6%), 천주교(10.9%)순이었고, 부모의 월소득은 평균 474.17만원, 부친, 모친 모두가 고등학교 졸업이 50.0% 이상을 차지하였다. 고등학교 내신 성적은 평균 3.27등급, 전 학년 누적성적은 평균 3.18학점, 전 학기 실습성적은 평균 2.95학점, 이론교과목 만족도는 10점 만점에 5.99점, 실습교과목 만족도는 5.68점으로 나타났다.

Achievement and importance of nursing program outcome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일반적 특성에 따른 간호학 학습성과 성취도 차이를 보면, 동아리 활동을 한 군이 하지 않은 군에 비해(t=2.08, p=.038), 봉사활동에 한 군이 하지 않은 군에 비해(t=2.20, p=.029), 이론교과목의 만족도가 높은 군이 낮은 군에 비해(t=7.14, p<.001), 실습교과목 만족도가 높은 군이 낮은 군보다(t=11.39, p<.001) 성취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간호학 학습성과 중요도 인식의 차이를 보면, 이론교과목의 만족도가 높은 군이 낮은 군에 비해(t=7.64, p<.001), 실습교과목 만족도가 높은 군이 낮은 군보다(t=6.87, p<.001) 중요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나머지 일반적 특성에 따른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논 의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간호학 학습성과에 대한 성취도와 중요도의 인식정도를 파악함으로써 향후 간호교육에서 학생들에게 육성하고 강화되어야 하는 능력을 확인하고 간호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시도되었다.

졸업반 간호대학생들의 간호학 학습성과에 대한 성취도는 5점 만점에 3.28점으로 65.6%로 나타났다. 이는 간호대학생의 12개 학습성과의 성취도를 포괄적으로 측정한 선행연구가 없어서 직접적으로 비교하기는 어렵지만, 간호학생의 수행능력을 측정한 Park (2010)의 연구결과에서 나타난 69.2%, Hur, Choi, Jung, Kang과 Kim (2012)의 연구에서 중재 이전 측정한 간호학생의 학습성과 점수 65.1%, 일반대학생의 학습성과를 측정한 Choi와 Rhee (2009)의 연구결과에서 나타난 65.2%와 유사하게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간호대학생의 간호학 학습성과 성취도가 60.0%대로 낮게 나타난 것은 자가기입식 설문평가의 경우 자신의 수준을 보다 낮게 평가하는 경향을 반영한다고도 볼 수 있지만, 한편 현재 운영되고 있는 간호학 교육과정이 2주기 인증평가 기준이 지향하고 있는 핵심역량 강화와 12개 간호학 학습성과 달성에 어느 정도 부족함이 있음을 나타낸다고 볼 수 있다.

12개 학습성과 항목 중 성취도가 높게 나온 항목은 전문분야 간 협력관계 3.56점, 치료적 의사소통술 3.55점, 보건의료팀 내 업무조정 3.43점, 핵심기본간호술 수행 3.41점으로 나왔다. 이 중 전문분야 간 협력관계, 치료적 의사소통술, 보건의료팀 내 업무조정의 성취도가 높은 이유는 간호학문이 인간관계를 중심으로 하는 학문으로써 교과과정에서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 기술을 향상시키기 위한 다양한 노력을 해왔고(Boschma, G., et al., 2010; Son, Kim, Koh, & Yu, 2011), 간호학 교육의 특성인 강의실이 아닌 실무 현장에서의 임상실습을 통하여 이러한 능력이 향상되었다고 볼 수 있다. 간호사는 보건의료 현장에서 대상자의 건강 향상을 목표로 하여 다양한 직종과 함께 일하면서 조정자(coordinator) 역할을 하게 되므로 협력, 의사소통, 업무조정 능력을 성취하고 있다는 것은 상당히 바람직하다고 볼 수 있다. 핵심기본간호술은 간호사가 대상자의 기본욕구를 유지, 충족을 위해 직접적으로 수행해야 하는 행위이며, 간호사라면 반드시 성취해야 하는 핵심 항목이다. 이러한 핵심기본간호술의 수행에서 성취도가 높게 나타난 것은 간호대학생들이 기본간호학 실습과 임상실습에서 직접 관찰하고 간호를 수행함으로써 학습성과의 성취도가 높아진 것으로 볼 수 있다. 특히 2주기 인증평가에서 핵심기본간호술이 도입되어 많은 대학에서 표준화환자사례, 시뮬레이터 활용 실습, 문제중심학습방법, 협동학습 등 다양한 교수학습방법의 적용하고(Hur et al., 2012; Park, 2010) 임상실습기관과 학교와의 유기적인 협력체계 구축, 프리셉터 활용 실습교육 등 실습교육의 향상을 위한 다양한 노력을 경주하여 성과를 거두었을 것으로 보인다.

성취도가 낮은 학습성과로는 간호리더십의 원리 비교 분석 3.01점, 보건의료정책 변화 인지 3.01점, 간호연구 수행능력 3.00점으로 상당히 낮은 성취수준을 보였다. 간호대학생의 입장에서는 간호리더십이 수간호사 등 간호관리자에게 필요한 역량으로 생각될 수 있지만, 최근 간호조직에서 구성원의 역량을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간호관리자 뿐만 아니라 일반 간호사도 리더십을 갖추기를 바라고 있으며, 각 직종별 혹은 직급별로 각자의 위치에서 적절한 리더십을 발휘하는 것은 업무 역량과 조직 활성화를 위해 필수적 사항이므로 전체 간호사의 임파워먼트나 역량 강화를 위해 간호대학생의 리더십 능력을 향상시킬 필요가 있다(Oh & Park, 2010). 또한 간호대학생의 보건의료정책 변화 인지 능력의 성취정도가 낮게 나타났는데, 최근 급변하는 글로벌화 된 환경에서 다양한 대상자에게 간호수행을 해야 하고 또한 근거중심보건의료, 정보기술 활용, 질 개선을 강조하는 보건의료 환경에서(Institute of Medicine, 2004) 최상의 간호성과를 내기 위해서 국내․외 보건의료정책의 변화를 인지하고 능력이 필요하다. 간호사는 변화하는 보건의료정책에 발맞추어 간호를 수행하는 것은 물론이고 나아가서 국민 또는 대상자의 편에서 보건의료정책의 개선이 이루어지도록 역량을 발휘하는 옹호자(advocator) 역할을 해야 하므로 보건의료정책에 관심을 가지도록 교육할 필요가 있다.

간호연구 수행능력은 12개 학습성과 중에서 성취도가 가장 낮은 학습성과로 나타났다. Park (2011)은 연구결과를 실무에 적용하고 연구활동에 참여하는 연구능력은 일반적인 대학교육에서 학생들에게 기대하는 능력에는 포함되어 있지 않고 학생들에게 기대하기에 그 수준이 높은 것이라고 하였다. 하지만 지식과 기술이 하루 다르게 변화하고 있는 보건의료 현장에서 대상자의 건강문제를 해결하려면 근거중심간호(evidence-based nursing)를 수행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또한 대상자의 건강문제와 관련된 제 현상을 정확하게 파악하고 창의적이고 비판적인 간호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간호연구 능력을 반드시 갖추어야 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 간호대학생들의 성취도가 상당히 낮은 것으로 나타난 리더십, 보건의료정책 인지, 간호연구 관련 능력의 성취도를 높이기 위하여 교과과정 혹은 비교과과정에서 이러한 역량을 보다 강화하기 위한 방안이 필요하다. 3년제 간호교육에서는 중견직업인 양성을 목적으로 하는 반면 4년제 간호교육에서는 해당 분야의 지도자 배출을 목적으로 하고 있으므로, 특히 리더십, 보건의료정책 인지, 간호연구 능력의 배양에 더욱 관심을 두어 교육과정을 개발할 필요가 있겠다.

다음으로 간호대학생들의 간호학 학습성과에 대한 중요도 인식 정도는 5점 만점에 4.38점, 87.6% 수준으로 성취도가 65.6%인 것에 비해 상당히 높게 나타났다. 즉 간호대학생들은 자신들의 학습성과 성취수준은 그리 높지 않다고 인식하지만, 12개 학습성과를 상당히 중요하다고 여기는 것으로 나타났다. 12개의 학습성과 중에서 중요성이 가장 높게 나타난 항목은 핵심기본간호술로 4.61점이었다. 이는 기본간호역량이 가장 중요한 항목이라고 한 Shin (2010)의 연구결과, 교수, 수간호사, 일반간호사, 학생에게 가장 중요한 핵심간호능력에 대하여 질문한 결과 기본간호수행능력이라고 밝힌 Kim (2003)의 연구결과와 일치하였다. 간호대학생들이 핵심기본간호술 수행을 4.61점으로 중요도 1위로 선정하였으나 성취도에서는 3.41점으로 4위에 불과하였으므로 성취도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할 필요가 있겠다. 의사소통능력과 협력, 조직 내 업무조정에 대한 중요도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대상자의 요구를 파악하고 문제를 확인하며 신체간호, 정서적지지, 협상, 정보교류, 교육과 상담 등의 주요 간호업무가 의사소통과 협력, 업무조정을 통해 이루어지기 때문(Freeman, Voignier, & Scott, 2002; Lee & Kim, 2010)에 임상현장실습을 한 경험이 있는 간호대학생은 이 항목의 중요성을 인식한 것으로 사료된다.

간호대학생들이 중요도를 낮게 인식한 학습성과는 간호연구 능력 4.26점, 통합적 실무적용 4.25점, 간호리더십의 원리 비교 분석 4.23점, 보건의료정책 변화 인지 4.20점으로 나타났다. 이중 간호연구 능력, 간호리더십, 보건의료정책 관련 능력은 성취도와 중요도 모두 낮게 나타났으므로 교육과정에서 강화시킬 뿐만 아니라 오리엔테이션 등을 통해 중요성을 홍보할 필요가 있겠다. 간호대학생들은 ‘다양한 교양지식과 전공지식에 근거한 간호술의 통합적 적용’이라는 학습성과1의 중요도를 상당히 낮게 인식하였는데, 간호사는 인간과 사회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키는 교양지식을 바탕으로 건강문제를 발견하고 해결하는 전공지식을 적용하여 간호술을 임상상황에 맞게 통합적으로 적용하는 능력을 필수적으로 갖추어야 한다. 임상실습교육을 통해 다양한 지식에 기반을 두고 상황에 맞는 간호술을 적용하는 실습을 해야 하지만, 오늘날 대상자 권리 강화와 관련하여 실습현장에서 학생에게 적절한 의사결정과 통합적 간호술 적용을 실습하게 하는 것이 쉽지가 않다. 그래서 HPS(humal patient simulation) 시뮬레이션 실습이나 표준화환자 실습을 통하여 간호술의 통합적 적용 실습을 경험하도록 실습교육 설계를 하는 학교가 증가하고 있다. 간호대학생들이 기본간호술을 대상자에게 수행하는 것뿐만 아니라 다양한 지식에 근거하여 전반적인 상황을 이해하고 의사결정하여 간호술을 통합적으로 적용하는 것의 중요성을 깨닫도록 할 필요가 있다.

다음으로 학제 간의 간호학 학습성과에 대한 성취도의 차이를 보면, 4년제 간호대학생의 전체 성취도는 3.33점으로 3년제 간호대학생의 성취도 3.26점보다 모든 항목에서 약간 높게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이는 4년제 간호대학생이 모든 수행정도에서 높은 경향을 보였다는 Shon 등(2006) 연구결과와 유사하였다. 세부적으로 보면, 비판적 사고의 성취도가 4년제 간호대학생이 3년제 간호대학생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이는 학제 간 비판적 사고성향을 연구한 Jung (2000)의 연구에서 4년제 간호대학생의 비판적 사고 성향이 3년제 간호대학생의 비판적 사고 성향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는 결과와 유사하다. 4년제 간호교육의 경우 다양한 교양교육을 통해 비판적 사고를 할 수 있는 토양에서 가꾸고(KABONE, 2013) 간호과정과 체계적 문제해결 교육과 팀 학습을 통해 비판적 사고 능력을 향상시켰을 것으로 사료된다. 치료적 의사소통의 성취도 역시 4년제 간호대학생이 3년제 간호대학생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Hwang (2006)은 간호대학생은 상급학년으로 갈수록 이론과 실습의 경험이 쌓여서 간호지식과 기술에 대한 자신감이 향상되고 자기 효능감 증진되어 의사소통능력도 향상된다고 하였다.

학제 간 간호학과 학습성과에 대한 중요도 인식의 차이를 살펴보면, 3년제 간호대학생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으나 전체적인 학습성과 중요도 인식이 4.41점으로 4년제 간호대학생의 4.23점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3년제 간호대학생은 4년제 간호대학생에 비해 학습성과 중요도 인식은 높은데 비해 성취도는 낮다고 응답하였다. 이는 한국간호교육평가원에서는 3년제와 4년제에 따라 학습성과에 약간의 차이를 두고 있는데 비해, 본 연구에서는 4년제 학사학위과정의 학습성과를 바탕으로 측정도구를 개발하여 3, 4년제 간호대학생들에게 공히 사용하였기 때문인 것으로 볼 수 있다. 현재는 3, 4년제 간호대학 졸업반 학생들이 동일한 국가고시 시험을 쳐서 동일한 간호사 면허를 받고 실무현장에서 동일한 업무를 맡고 있다(Park, 2011; Shon, et al., 2006). 2011년 고등교육법 개정으로 인해 3년제 전문대학 간호과를 수업연한 4년제 간호과로 전환할 수 있게 되었으므로(KABONE, 2013), 3년제 간호교육기관에서 졸업반 학생들이 간호학 학습성과를 중요하게 생각하나 실제로 성취도는 낮다고 인지한 점을 반영하여 4년제 간호교육으로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3년제 간호대학생들의 간호실무의 법적 윤리적 기준, 간호리더십, 간호연구, 보건의료정책 관련 학습성과에 대한 중요도가 4년제 간호대학생들보다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간호교육기관의 교육목표를 비교한 Park (2011)의 연구에서 리더십의 경우 4년제 간호교육기관 중 29개교에서 포함하고 있으나, 3년제 간호교육기관 중에서는 오직 1개교에서만 교육목표에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연구능력의 경우, 4년제 간호교육기관 중 17개교의 교육목표에 포함되어 있으나, 3년제 간호교육기관 중에서는 연구능력을 교육목표에 포함한 대학이 한 곳도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현행 3년제 간호대학생들은 리더십, 연구능력, 보건의료정책 등이 교육목적에 포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중요도를 인식하지 못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향후 간호교육기관의 교육목적과 목표 설정 시에 12개 학습성과를 적절하게 반영하는 것이 필요하리라 본다.

간호대학생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간호학 학습성과의 성취도와 중요도 차이를 살펴보면, 이론교과목의 만족도와 실습교과목의 만족도에 따라 학습성과의 성취도와 중요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즉 이론과 실습교과목에 대한 만족도가 높은 군이 학습성과의 성취도와 중요도를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간호대학생의 간호학전공에 대해 만족도가 높을수록 학업성취도가 높았다는 연구결과(Ma, 2009; Park, 2010)와 유사하다. 전공학문에 대한 자부심을 갖고 교과목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 때 교육과정에서 배우려는 목적을 가지고 적극적으로 사고하고 행동하기 때문에 학습성과를 높이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본 연구에서 전체 누적 성적과 직전 학기 성적에 따른 간호학 학습성과 성취도와 중요도의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대학성적이 고차적 사고능력의 개발정도와 유의한 관계가 있었다는 Choi와 Rhee (2009)의 연구결과와 4년제 간호대학생의 학업성적에 따라 학습성과의 일부인 비판적 사고 성향의 차이가 있었다는 Ma (2009)의 연구결과와는 다르게 나타났다. 이는 현행 학업성적이 사고능력을 반영할 수는 있으나 포괄적인 대학생의 학습성과 혹은 핵심역량을 측정하기에는 부족함이 있음을 나타낸다. 오늘날은 대학을 졸업하는 학생이 전공지식이나 기술만을 가지고 사회에 진출하여 자기 몫을 다하기는 어려운 시대이다. 공학교육 인증기준을 살펴보면, 공학의 전공 지식과 기술은 물론이고 의사전달 능력, 평생교육에 참여하는 능력, 시사 논점에 대한 지식, 직업적·윤리적 책임, 국제적 협동능력까지 요구하고 있다. 교육평가에 있어서도 단순한 지식과 기술을 측정하는 것을 탈피하여 12개 학습성과를 포괄적으로 측정하는 평가시스템의 구축이 필요하다고 본다.

일반적인 특성 중 동아리활동과 봉사활동을 한 군의 학습성과 성취도가 유의하게 높게 나타나서, 동아리 활동과 교과과정 외 활동이 의사소통 능력과 대인관계 능력을 향상시켰다는 Choi와 Rhee (2009)의 연구결과를 지지하였다. 동아리활동과 봉사활동의 경우 교과과정의 이수 외에 많은 시간과 노력을 할애해야 함에도 불구하고, 간호학 학습성과의 성취도를 높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학습성과가 단순히 교과과정을 이수하여야만 얻어지는 것이 아니라 교과과정 이외 활동이나 다양한 경험을 통해 성취할 수 있음을 내포하고 있다. 특히 의사소통, 업무조정, 리더십, 정책 인지, 윤리의식 등의 학습성과는 협동, 의견교환, 팀워크, 봉사활동 등을 통해 강화된다고 볼 수 있다. 비록 간호교육인증평가 세부사항에서는 비교과과정으로 동아리활동이나 사회봉사활동을 제외하고 있지만, 다른 교육분야에서는 이와 같은 활동도 비교과과정의 범주에 포함하고 있다(Choi, J. Y., et al., 2011). 그러므로 학습성과기반 교육과정을 효율적으로 운영을 위해서 비교과과정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고 본다. 교과과정만으로 성취하기 어려운 학습성과의 경우, 학습성과의 향상에 영향을 주는 비교과 활동에 대한 개발과 운영이 필요하다.

종합하면 본 연구에서 간호대학생들은 12개 학습성과를 중요하게 생각하지만 자신의 성취도는 낮게 인지하고 있다. 간호대학생이 자신의 성취도가 낮아 대상자의 문제를 해결할 능력이 부족하다고 생각하면 높은 스트레스를 느끼게 되고, 자기효능감의 저하를 야기하여 성과의 달성 저하의 악순환이 계속되므로(Hwang, 2006), 학습성과의 성취도를 높일 수 있는 체계적인 성과기반 교육과정 구성이 필요하다. 또한 학업성적만으로는 학습성과를 효율적으로 평가하기 어려우므로 통합적인 학습성과 평가 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며, 비교과과정을 통한 학습성과 성취 방안도 고려해 볼 필요가 있겠다. 간호교육의 목표의 달성을 위하여 성과기반의 교과과정과 비교과과정을 개발하여 운영함으로써 간호교육의 질적 향상에 기여할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하지만 본 연구는 대구․경북이라는 일부 지역의 소재의 대학을 대상으로 하였으므로 그 결과를 일반화하는데 신중을 기해야 한다.

결론 및 제언

본 연구는 일 지역 간호대학에서 졸업예정자인 3, 4학년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간호학 학습성과에 대한 성취도와 중요도 인식 정도를 파악하여 간호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시도된 조사연구로, 3년제 278명, 4년제 161명 총 43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결과 전체 간호대학생의 간호학 학습성과 성취도는 60.0%대로 낮게 나타나 현재 운영되고 있는 간호학 교육과정이 2주기 인증평가 기준이 지향하고 있는 학습성과 달성에 어느 정도의 부족함이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전체 간호대학생의 간호학 학습성과 중요도 인식정도는 87.6%으로 높게 나타나 간호학생들이 학습성과 성취수준은 그리 높지 않다고 인식하지만, 12개의 학습성과가 상당히 중요하다고 여기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년제, 4년제 간 간호학 학습성과의 전체 성취도와 중요도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세부 학습성과에서 4년제 간호대학생의 비판적 사고와 의사소통술 성취도가 3년제보다 높았으며, 3년제 간호대학생의 간호실무의 법적, 윤리적 기준 이해, 간호리더십의 원리 비교 분석, 간호연구 수행, 보건의료정책 변화 인지의 중요도 인식이 4년제 간호대학생보다 높게 나타나 3년제의 교육과정에 대한 개발과 운영에 대한 검토와 교수-학습방법의 다양화에 대한 지속적인 노력이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동아리활동을 한 군과 사회봉사를 한 군의 경우에는 학습성과 성취도 측면에서, 이론교과목의 만족도와 실습교과목의 만족도가 높은 군이 학습성과의 성취도와 중요도 측면에서 유의한 결과가 나와 학습성과의 성취를 위한 전략에 이와 같은 요인의 활용에 대한 검토도 필요하다고 하겠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학습성과의 성취도를 높일 수 있는 체계적인 성과기반 교육과정과 통합적인 학습성과 평가 시스템 구성이 필요하며, 비교과과정을 통한 학습성과 성취 방안도 고려해 볼 필요가 있다.

본 연구의 제한점을 고려하여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본 연구는 일 지역 소재의 대학을 대상으로 하였으므로, 연구결과를 모든 간호대학생들에게 일반화하는 데 한계가 있다. 따라서 전국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표본 수를 확대하여 재연구해 볼 것을 제언한다.

둘째, 본 연구결과를 반영하여 간호대학생의 간호학 학습성과 성취도를 높이기 위한 성과기반 교육과정과 통합적 학습성과 평가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다.

References

1. Boschma G, Einboden R, Groening M, Jackson C, MacPhee M, Marshall H, O'Flynn Magee K, Simpson P, Tognazzini P, Haney C, Croxen H, Roberts E. Strengthening communication education in an undergraduate nursing curriculum.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Scholarship 2010;7(1):28–41. 10.2202/1548-923X.2043.
2. Choi J. Y, Rhee B. S. Examining factors related to college students' learning outcomes: focusing on effects of college. Journal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2009;27(1):199–222.
3. Choi J. Y, Shin P. S, Kim D. Y, Park J. W, Yoon K. Y. A case study on management system for non-curriculum courses to develop a proper management system for non-curriculum courses.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Research 2011;14(4):69–77.
4. Freeman L. H, Voignier R. R, Scott D. L. New curriculum for a new century: beyond repackaging. Educational Innovations 2002;14(1):38–40.
5. Institute of Medicine. Keeping patient safe: Transforming the work environment of nurses. Washington, DC: National Academies Press 2004.
6. Kim C. J, Ahn Y. H, Kim M. W, Jeong Y. O, Lee J. H. Development of standards and criteria for accreditation of a baccalaureate nursing education program: reflections on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the nursing profession. Journal Korean Academy of Nursing 2006;36(6):1002–1011.
7. Kim M. W. Development of objectives of nursing clinical education, based on the nursing core competency. Doctoral dissertation, Yensei University, Seoul 2003;
8. Korean Accreditation Board of Nursing Education. Accreditation assessment standards for education of korea (the course of the nursing bachelor's degree). Seoul: Korean Nurses Association 2012.
9. Korean Accreditation Board of Nursing Education. Specify the colleges four-year term of study screening. retrieved March, 15, 2013, from http://www.kabon.or.kr/new/new05_01.php 2013.
10. Korean Council for University Education. Academy information. retrieved March, 15, 2013, from http://www.academyinfo.go.kr/mainAction.do?process=load 2013. 3.
11. Korea Nurses Association. Year book of nursing statistics 2007. retrieved March, 15, 2013, from http://www.koreanurse.or.kr/ 2013.
12. Kwon I. G, Jung K. H, Cho H. S, Hwang J. W, Kim J. Y, Jeon K. O, Sung Y. H.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core competency evaluation tool for new graduate nurse's preceptor.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02;8(4):535–579.
13. Hur H. K, Choi H. O, Jung J. S, Kang H. W, Kim G. Y. Influence of Simulation-Based Practice on Emergency Care for Patients with Dyspnea on Learning Outcomes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Critical Care Nursing 2012;5(1):12–22.
14. International Council of Nurses. An implementation model for the ICN framework of competencies for the generalist nurse. Switzerland : International Council of Nurses 2009.
15. Jang G. S. Study on establishment of clinical career development model of nurses. Doctoral dissertation, Yensei University, Seoul 2000;
16. Jung D. Y. A study on the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critical thinking skill about student nurse.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2000;
17. Lee H. S, Kim J. K. Relationship among communication competence, communication types,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hospital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10;16(4):488–496. 10.11111/jkana.2010.16.4.488.
18. Nusche D. Assessment of Learning Outcome in Higher Education: A Comparative Review of Selected Practices. OECD Education Working Paper No. 15. Paris: OECD Publications 2007;
19. Ma R. W.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problem solving ability of nursing students.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2009;
20. Oh S. Y, Park S. N. The changes of self-esteem and leadership during two years in nursing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2010;16(2):186–193. 10.5977/JKASNE.2010.16.2.186.
21. Park J. H. Effectiveness of cooperative learning on nursing students' performance and experience.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2010;16(2):202–212. 10.5977/JKASNE.2010.16.2.202.
22. Park J. H. Study of abilities required to develop for student in nursing educatio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11;17(1):74–87. 10.11111/jkana.2011.17.1.74.
23. Park K. M, Lee K. N. Case research on educational needs of engineering students about program outcomes.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reserch 2011;14(3):38–44.
24. Pyun K. H, Song D. J. A case study on the continuous quality improvement for leadership outcomes education in yeungnam university. The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Research 2009;12(1):64–72.
25. Shin H. S. On a study the recognition of important of nursing core competence and the needs of education. Master's thesis, Ajou University, Seoul 2010;
26. Shon Y. H, Kang H. W, Park Y. S, Han. H. J, Kwon. S. B, Cho K. S, Lim. N. Y, Kim D. O, Kim J. H, Son H. M, Lee E. H, Lee Y. J. Comparison of student nurses graduating from a junior college or a university on observation and performance of nursing role. Journal Korean Academy Fundamentals of Nursing 2006;13(2):172–187.
27. Son H. M, Kim H. S, Koh M. H, Yu S. J. Analysis of the communication education in the undergraduate nursing curriculum of korea.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2011;17(3):326–434. 10.5977/JKASNE.2011.17.3.424.
28. Standard Korean Dictionary. Index. Retrieved April 17, 2013, from http://stdweb2.korean.go.kr/main.jsp 2013.
29. Hwang S. J. The relationship between clinical stress, self-efficacy, and self-esteem of nursing college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2006;12(2):205–213.
30. Yoo H, S. The research on the national standards of life skill and quality management for learning system(1). Seoul: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2002;

Article information Continued

<Table 1>

Achievement of nursing program outcome

Nursing program outcome Achievement
Total(n=439) 3-year(n=278) 4-year(n=161) t p
Mean±SD Mean±SD Mean±SD
4. Demonstrates collaboration with other sectors in promoting health. 3.56±.63 3.53±.65 3.62±.61 -1.41 .161
3. Communicates health using formal and informal channels of communication. 3.55±.68 3.50±.68 3.64±.67 -2.04 .042
5. Demonstrates important of the roles management of each member of the team in the delivery of health care 3.43±.57 3.41±.58 3.46±.55 -0.94 .346
2. Carries out core nursing practices for clients/groups in a variety of settings. 3.41±.59 3.38±.59 3.45±.58 -1.37 .171
8. Provides nursing service in accord with ethical standards and practice codes of the nursing profession. 3.36±.69 3.33±.72 3.42±.64 -1.49 .138
1. Carries out comprehensive nursing practices based on a variety of liberal arts and disciplinary knowledge. 3.30±.52 3.29±.53 3.31±.51 -0.58 .563
10. Demonstrates leadership ability. 3.28±.60 3.28±.61 3.28±.58 -0.12 .902
6. Applies the nursing process based on critical thinking and clinical reasoning 3.27±.60 3.22±.63 3.36±.55 -2.44 .015
7. Understands standards of the nursing profession 3.19±.70 3.18±.72 3.21±.67 -0.40 .689
9. Comparison and analysis a principle of nursing leadership 3.01±.79 3.01±.81 3.10±.75 -1.18 .237
12. Recognizes domestic and foreign health care policy changes 3.01±.70 3.00±.72 3.03±.67 -0.34 .731
11. Contributes to the process of nursing research. 3.00±.71 2.99±.70 3.00±.73 -0.19 .849
Total 3.28±.49 3.26±.50 3.33±.47 -1.45 .147

<Table 2>

Importance of nursing program outcome

Nursing program outcome Importance
Total(n=439) 3-year(n=278) 4-year(n=161) t p
Mean±SD Mean±SD Mean±SD
2. Carries out core nursing practices for clients/groups in a variety of settings. 4.61±.49 4.60±.52 4.64±.46 -0.73 .647
4. Demonstrates collaboration with other sectors in promoting health. 4.50±.57 4.52±.58 4.48±.56 0.54 .588
3. Communicates health using formal and informal channels of communication. 4.49±.57 4.50±.59 4.48±.54 0.20 .845
8. Provides nursing service in accord with ethical standards and practice codes of the nursing profession. 4.46±.64 4.52±.61 4.34±.68 2.89 .004
6. Applies the nursing process based on critical thinking and clinical reasoning 4.43±.56 4.46±.56 4.39±.55 1.34 .182
10. Demonstrates leadership ability. 4.39±.58 4.42±.57 4.32±.58 1.68 .093
7. Understands standards of the nursing profession 4.36±.67 4.40±.64 4.28±.71 1.88 .061
5. Demonstrates important of the roles management of each member of the team in the delivery of health care 4.31±.60 4.33±.62 4.28±.59 0.78 .438
11. Contributes to the process of nursing research. 4.26±.67 4.34±.62 4.11±.73 3.47 .001
1. Carries out comprehensive nursing practices based on a variety of liberal arts and disciplinary knowledge. 4.25±.61 4.23±.66 4.27±.52 -0.83 .409
9. Comparison and analysis a principle of nursing leadership 4.23±.79 4.30±.75 4.09±.84 2.81 .005
12. Recognizes domestic and foreign health care policy changes 4.20±.81 4.27±.68 4.08±.74 2.75 .006
Total 4.38±.51 4.41±.51 4.23±.51 1.86 .064

<Table 3>

Achievement and importance of nursing program outcome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Characteristics Category Achievement Importance
Mean±SD t or F p Scheffe
test
Mean±SD t or F p Scheffe
test
Gender Male 3.34±.56 0.63 .530 4.44±.53 0.86 .388
Female 3.28±.48 4.37±.51
Marital status Married 3.39±.78 0.46 .653 4.47±.42 0.65 .516
Single 3.28±.48 4.37±.51
Religion Christian 3.38±.50 1.55 .201 4.35±.51 0.26 .855
Catholicism 3.24±.44 4.34±.49
Buddhism 3.32±.47 4.37±.60
No religion 3.25±.50 4.39±.49
Family income
(10,000 Won)
100~199 3.21±.58 1.11 .353 4.52±.40 1.61 .171
200~299 3.25±.45 4.30±.57
300~399 3.30±.52 4.31±.50
400~499 3.20±.49 4.28±.50
500≦ 3.37±.51 4.41±.48
Father education level ≤Junior high school 3.19±.47 1.29 .278 4.41±.52 0.41 .747
High school 3.27±.48 4.39±.51
College above 3.33±.51 4.34±.51
Mother education level ≤Junior high school 3.20±.56 1.06 .365 4.48±.47 2.41 .067
High school 3.28±.49 4.39±.51
College above 3.34±.50 4.28±.52
TOEFL, TOEIC, TEPS Yes 3.27±.49 -0.58 .562 4.36±.49 -0.47 .637
No 3.30±.49 4.39±.53
Computer certificate Yes 3.31±.49 1.48 .140 4.38±.51 0.34 .737
No 3.23±.49 4.36±.50
Club activity Yes 3.36±.42 2.08 .038 4.40±.47 0.75 .457
No 3.25±.52 4.36±.53
Voluntary activity Yes 3.38±.50 2.20 .029 4.42±.47 1.057 .292
No 3.26±.48 4.36±.52
Highschool record ≤2 3.32±.47 1.31 .268 4.36±.55 0.62 .651
2.1∼3 3.30±.50 4.35±.46
3.1∼4 3.30±.43 4.42±.46
4.1≤ 3.22±.57 4.45±.50
Cumulative grade >3.00 3.16±.48 1.94 .123 4.32±.56 0.79 .500
3.00∼3.49 3.28±.49 4.40±.49
3.50∼3.79 3.33±.55 4.34±.47
3.8≤ 3.31±.44 4.41±.54
Previous semester grade >3.00 3.24±.52 2.18 .090 4.42±.57 0.41 .747
3.00∼3.80 3.24±.46 4.36±.49
3.81∼4.20 3.29±.49 4.36±.51
4.21≤ 3.42±.47 4.35±.45
Satisfaction of theory curriculum 0∼3a 3.18±.57 7.14 <.001 a,b<d
b<c
4.37±.57 7.64 <.001 b<c,d
4∼5b 3.16±.45 4.21±.54
6∼7c 3.32±.47 4.41±.46
8≤d 3.46±.53 4.54±.48
Satisfaction of practice curriculum 0∼3a 3.11±.53 11.39 <.001 a,b,c<d
a<c
4.35±.59 6.87 <.001 a,b,c<d
4∼5b 3.20±.46 4.28±.52
6∼7c 3.32±.43 4.36±.50
8≤d 3.53±.54 4.61±.37